본 연구의 목적은 arbutine과 유용성감초추출물 혼합물의 미백 효과를 조사하는 것이다. B16 melanoma 세포에서 알부틴 및 유용성 감초 추출물의 tyrosinase 활성과 멜라닌 생성 억제 효과를 시험관내에서 평가하여 미백 효과를 측정 하였다. B16 흑색 종 세포를 이용한 MTT 분석은 혼합물 (알부틴과 유용성감초추출물)이 세포독성이 없음을 확인하였다. 유용성 감초 추출물과 알부틴은 모두 mushroom tyrosinase 활성이 농도 의존적 효과를 보였다. 혼합물은 다양한 농도 (유용성감초추출물 : 알부틴 = 1 : 1, 1 : 1.5, 1 : 2, 1 : 2.5, 1 : 5)에서 B16 melanoma 세포에서 40-51 %의 tyrosinase 활성을 유의하게 억제하였다. 또한, 시험한 모든 혼합물은 B16 melanoma cell의 멜라닌 함량을 50 % 이상 감소시켰다. 이러한 결과는 알부틴과 유용성감초추출물 혼합사용 시 미백 활성에 효과적임을 시사하는 바이다.
Licorice and rosemary contain a number of natural phenolic compounds which have a strong antibacterial and antioxidant activity. Ulleungdo stonecrop (US, scientific name: Sedum takesimense Nakai), indigenous island, is also known as a good antibiotic agent and skin whitening agent and is regarded as a promising materials in cosmetics field. Although the antibacterial activity of each material have been reported, little is known about the effect of using them together.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ynergistic effect on antibacterial activity when licorice and rosemary extract and US were used together. Since licorice and rosemary are lipid soluble materials and US is water soluble material, oil in water (O/W) emulsion system was used for this study. To manufacture O/W emulsions containing three kinds materials, first licorice and rosemary extracts and US was dispersed in soy bean oil and phosphate buffer (pH7) respectively. Decaglyceryl laurate was used as an emulsifier. There was slight decrease (-0.09~-0.46 Δlog) in the number of bacteria when O/W emulsion containing 300ppm of each licorice and rosemary extracts was mixed into B.subtilis. However, adding US (2,700ppm) into aqueous phase caused the rapid decrease in the amount of bacteria to -1.71 ~ -2.96 Δlog which were much higher decrement than US only in normal emulsion (-1.64 Δlog). In particular, there was a noticeable synergistic effect when rosemary extract and US was used together. The results obtained from this study could provide useful information for utilizing licorice and rosemary extracts and US as functional materials in the food and cosmetic areas.
리퀴리티게닌과 이소리퀴리티게닌은 감초의 주요 플라보노이드 성분이다. 이들 플라보노이드는 수용성 감초추출물과 β-glucosidase를 생성하는 잎새버섯 HB0071 균사체 발효배양을 통하여 생산하였다. 감초추출물 내 리퀴리티게닌과 이소리퀴리티게닌은 잎새버섯 발효배양 동안 현저히 증가하였다. 이 균주의 β-glucosidase의 활성은 배양 96시간을 기준으로 최고 91.5 mU/mL로 확인되었으며, 감초추출발효물로부터 생성된 리퀴리티게닌과 이소리퀴리티게닌의 함량은 HPLC 분석을 통하여 최대 568.5 μg/mL과 89.6 μg/mL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감초추출물의 잎새버섯 발효 전․후의 시료가 처리된 각질형성세포를 이용하여 자외선 UVB에 조사로 발현된 염증유발인자(COX-2)와 사이토카인(IL-1β, IL-6) 모두 감초추출발효물(FLEx)에서 농도의존적으로 발현이 억제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결론적으로 리퀴리티게닌과 이소리퀴리티게닌의 함량이 증가된 감초추출발효물은 자외선으로부터 손상된 피부 염증반응을 완화시켜줄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