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7

        1.
        2015.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Low temperature germinability (LTG) is an important trait for breeding of varieties for use in direct-seeding rice production systems. Although rice (Oryza sativa L.) is generally sensitive to low temperatures, genetic variation for LTG exists and several quantitative trait loci (QTLs) have been reported.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employ high-efficiency molecular markers for evaluation of LTG in rice germplasm. A panel of japonica rice accessions (n=180) from temperate regions in Asia was evaluated for LTG and genotyped with markers from regions previously reported to harbor other LTG QTLs. ANOVA revealed that four markers on chromosome 2, 4, and 11 from previously reported QTLs showed highly significant value (p < 1.0e-04) and their R2 ranged 0.083 (qLTG11-1) to 0.190 (qLTG4b-1). An association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SNP data generated by sequencing of the panel. Eight SNP markers were found to b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LTG using general and mixed linear models. Three SNP-based CAPS and dCAPS markers from these results were developed and showed higher accuracy in predicting sensitive LTG germplasm. These new LTG markers will be useful for molecular evaluation of germplasm, particularly to identify sensitive or weak LTG accessions.
        3.
        2006.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Low temperature germination is one ofthe major determinants for stable stand establishment in the direct seeding method in temperate regions. Quantitative trait loci (QTLs) controlling low temperature germiability (LTG) and awn were confirmed in BC1F1 usi
        4.
        2004.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characterize quantitative trait loci (QTL) related with low temperature germination and emergence in rice. A recombinant inbred line (RILs) population was developed from a cross between a cold-susceptible Tongil-type rice var
        5.
        1997.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수도 저하발아성에 대한 유전 양상을 구명하여 저온발아성 품종 육성의 기초 자료를 얻고자 숙기가 다른 세 그룹에서 10품종을 선정 '94년에 15일 간격 4시기로 파종 및 이앙을 실시하여 수량한 종자를 '95년 4~5월에 13℃ 항온 실내 시험과, 건답 직파의 포장 시험으로 저온발아성을 조사하고, 저온발아성 고 1품종, 저 1품종, 중 4품종을 선정 '94 하계에 절영법에 의한 정역이면교잡을 실시하여 얻어진 F1 교배입을 '95년 5월에 13℃ 항온에서 저온발아 시험을 실시하여 얻은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재배 시기를 달리하여 수량된 종자의 실내 및 포장에서의 저온발아성 분산분석 결과 품종에 따라 재배시기간에 고도의 유의차가 인정되었다. 2. 실내 13℃ 항온 저온발아계수와 포장의 자연상태 건답직파에서의 출아계수와의 상관분석 결과 고도의 유의한 상관(r=0.5111)이 인정되었다. 3. 조합능력 분석 결과 일반조합능력 및 특정조합능력 모두 고도의 유의성이 인정되었으며, 일반조합능력이 특정조합능력보다 커서 상가적작용이 상위성 작용보다 더 크게 나타났다. 4. 정역차이 분산분석 결과 정역간에 고도의 유의차가 인정되었다. 5. 부친열 공분산/모친열 공분산 Graph에서 6개의 교배열 모두가 모본 효과를 보였으며, Alpha와 Beta 유전 분석 결과, 저온발아성의 정역간 차이는 Alpha 유전의 효과로 나타났다. 6. 평균우성도 분석 결과, 30개 조합 중 17개 조합에서 초월분리를 보였으며, 그 중 9개 조합이 저온발아성이 낮은 쪽으로 초월분리를 보였다.켜야 했다.0~130일이었고 재배가능 기간인 등숙만한기(CLRD)까지는 인제 154일, 수원과 대전 170~180일, 전주, 밀양 및 부산 등지는 180~200일이었다.환경적응성이 낮은 경향이었다.은 모두 경운 유 ㆍ무에 관계없이 시비수준이 높을수록 높은 경향을 보였고, 10일에 최고수준을 보인 후 완만한 감소를 나타냈으며, K+, Ca2+에 비해 Mg2+이 보다 낮은 함량을 보였다.989년산 일반계를 10분도와 12분도로 도정하였을 때 도정도에 따른 밥맛의 차이는 없었다.X>CoOx는 Co3O4 로 존재하고, 반응 전의 경우에는 이와는 다른 chemical state를 보여주었다. XRD 및 XPS 결과를 바탕으로, 촉매표면에 존재하는 Co3O4 의 외부표면이 Co2TiO4 와 CoTiO3 같은 CoTiOx 로 encapsulation되어 있는 모델구조를 제안할 수 있고, 이는 반응시간의 함수로 나타나는 촉매활성에 있어서 전이영역의 존재를 잘 설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XRD와 XPS에서 얻어진 촉매의 물리화학적인 특성을 잘 반영할 수 있다. 나타냈고, 골격근과 눈 조직에서 피루브산에 대한 LDH의 친화력이 상당히 크므로 LDH가 혐기적 조건에서 효율적으로 기능을 하는 것으로 사료된다.5) and "Cleanliness of clothes & features" (p <0.05) of VIP ward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a genera
        6.
        1995.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수도 저온발아성이 양호한 품종의 육성을 위한 효율적인 저온발아성 검정 조건을 모삭하기 위해 최근 육성된 신품종과 도입품종을 합하여 50품종을 공시, 1994년 영남농업시험장에서 13 , 16 , 25 에서 20일간 발아시험을 실시한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13 , 16 , 25 에서 발아시킨 50품종들의 발아율 기초통계량 분석 결과, 13 11일 치상일에서 평균발아율이 43.8%, 발아율의 절위가 92, 그리고 분산이 748로 가장 높아 품종간 저온발아성의 차가 가장 현저한 조건이었다. 2. 13 11일 치상일의 발아율과 평균발아일수, 발아계수와의 상관에서 고도의 상관이 검증되어 13 11일 치상일의 발아율로써 저온발아성을 나타내는 지표로 시용 가능할 것으로 여겨진다. 3. 13 11일 치상일의 발아율을 근거로 공시품종들의 저온발아성을 구분해본 바, 동진벼 등 11품종이 저온발아성이 양호하였고 상주벼 등 17품종이 저온발아성이 매우 불량하였다. 4. 공시품종의 저온발아성과 몇가지 미질관련형질들과의 상관에서 출수 소요일수 및 아밀로스함량은 고도의 정의 유의상관이, 입폭과는 부의 유의상관이 인정되었다.
        7.
        1970.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저온발아성의 품종간차이를 생리적관점에서 도출하기위하여 저온발아성을 달리하는 5개품종을 대상으로 10℃ 조건에 치상하고 경시적으로 수분흡수, 건물중의 변화, Amylase의 활성, 호흡량 및 산소분압과의 관계를 실험조사하였는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수분흡수의 A상의 장단에는 품종간차가 없으며 발아과정에 있어 저온발아성의 낮은 품종은 B상에서 C상으로의 전환을 인정할 수 없다. 2. 배란에 대한 배의 건물중변화는 저온발아성이 낮은 품종에서는 전연 증감을 볼 수 없으나 저온발아성이 큰 품종에 있어서는 기계적흡수의 종료와 더불어 점차로 감소되고 발아완료와 동시에 급격히 증대함을 볼 수 있다. 3. Amylase의 활력은 품종의 저온발아성정도와 잘일치하며 저온발아성이 낮은 두품종에 있어서는 그 활성증가를 전연 볼 수 없었다. 4. 치상후의 호흡은 저온발아성이 낮은 품종에 있어서는 전연 그 증가를 볼 수 없었으나, 그 높은 품종에 있어서는 발아전 즉 A상의 종료후부터 높은 호흡량을 보이고 발아전이후에 급격한 호흡량의 증가를 볼수있었다. 5. 발아상의 산소농도와 품종에는 유의적인 높은 상호작용을 볼 수 있어 저농도의 산소조건은 저온발아성이 높은 품종의 발아 및 발근을 억제 내지는 지연시키지만 저온발아성이 낮은 품종에 있어서는 발아 또는 발근의 유발내지 촉진함을 볼 수 있으며, 최적산소농도는 5%이고 2.5% CO2 의 우연에도 그 효과를 인정할 수 있으며 처리기간이 길수록 발아 또는 발근을 촉진시키는 효과가 크다. 6. 저산소농도에 의한 발아의 유발내지 촉진효과는 종자의 내적조건에 따라 다르며 아직 어느정도의 휴면성을 갖고 있는 종자에 있어서는 저온발아를 유발 내지는 촉진시키는 효과를 볼수없었다. 그 품종의 염분지에서의 정조생산이 추측될 것으로 생각되었다. 7. 염분구들에서의 수수는 숙답구에 비하여 21~24% 정도 감소되었다. 숙답구 저 및 고염분구에서 다같이 수수와 정조량과의 사이에는 유의성 있는 상관을 나냈다. 8. 염분구들에서는 수중과 정조생산과의 사이에 각 품종에서 유의성있는 상관을 나타냈으나 숙답구에서는 상관이 없었다. 수중과 수수와는 숙답구 및 염분구에서 다같이 부의 상관을 나타냈다. 9. 저염분구와 고염분구는 숙답구에 비하여 수당입수가 평균에서 각각 16% 및 21%씩 립수가 줄었다. 숙답구에 대한 염분구들에서의 수당립수 감소율과 정조생산의 감수율과는 고도의 유의성있는 상관을 나타냈다. 10. 임실율은 대체로 저염분구에서 현저히 높았다. 그리고 조생중이 낮으며 중생중에서 높은 경향이었다. 11. 정현비율은 숙답구와 염분구들에서 거의 같았으며 설미는 숙답구에 비하여 염분구들에서 현저히 적었으며 또한 중 및 만생중들에 비하여 조생종들이 많았다. 12. 고중은 염분구에서 적었으며 숙답구 및 여분구에서 다같이 조생조이 적었고 중, 만생중의 순으로 많았다. 정조/고중은 염분구들에서는 숙답구에 비하여 적은 경향이었으며 숙답구와 염분구들에서 다같은 경향으로 조생종이 크고 중생중 만생중 순으로 적었다.을 지나 더욱 증가하면 W.R 효과도 다시 양호하여지는 현상을 볼 수 있었다. 이와같은 경향은 특히 견과 면포에서 현저하였으며, 이 결과로 보아 견과 면포는 반응액의 (H+)을 전부 중화시키고 남은 NaOH와 NH4 OH의 잔여(H)에서도 Formaldehyde와 작용할 수 있지 않는가 추측된다. (11) 견포는 Curing온도가 비교적 낮을 때 W.R 효과가 좋았고 면포는 높을 때 좋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