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국가시책인 국제스포츠 경기대회 개최 시 군이 어떠한 역할 을 했는가를 분석하였다, 전통적으로 군은 국가안보와 국민의 재산을 보호하는 데 사용되었다. 그러나 국제스포츠 경기대회에서 군은 다양한 비 군사적인 역할을 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군은 1988 서울올림픽 경기 대회와 2018 평창동계올림픽 경기대회의 성공적인 개최를 위해 인력과 장비, 물자 및 시설물을 지원하였다. 무엇보다도 당시 민간 부문보다 상 대적으로 지원 여건이 우위에 있던 종목의 선수양성과 지원 임무를 수행함으로써 경기력을 향상하는 데 이바지하였다. 양개 대회의 성공적인 개최를 위하여 조직된 민관군협력체계는 이후 한국이 국제스포츠 경기대회를 개최할 시 지원모델이 되었다. 군은 국가방위의 기본 임무에 추가 하여 국제스포츠 경기대회의 성공적인 개최를 위한 다양한 역할을 수행 함으로써 한국의 스포츠 외교 및 스포츠 강국으로 부상하는 데 일익을 담당하였다. 또한, 전통적인 군사적 역할뿐만 아니라 비군사적 분야로 군의 역할이 확대되고 있음에 따라 군사적 위협과 비군사적위협에 적절히 대처하기 위한 균형점을 유지할 필요성도 제기하였다.
북한의 거듭된 핵실험과 미사일 도발로 인해 한반도의 긴장이 고조되고 있다. 북한 핵에 대한 확실한 핵우산과 북핵의 완전한 폐기를 위해 전술핵 재배치 등 모든 옵션의 가능성을 제한하지 말아야 한다. 스포츠교류로서 2018 평창동계올림픽은 기능주의 입장에서 한반도 통일의 길에 하나의 의미 있는 이벤트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신기능주의 입장에서 현재의 북한 핵 위기는 한미동맹의 강화 위에서 풀어가는 것이 가장 올바르고 분명하며 강한 안보를 통해 북한 도발을 응징해야 한다. 지금은 국제사회와 함께 봉쇄와 압박에 매진할 때이다. 유엔의 제재와 미국 등 여러 국가들의 독자 제재에도 불구하고 북한의 계속되고 있는 핵실험과 미사일 도발은 북한에 대한 더욱 강한 압박이 필요하게 만들고 있다. 미국과 중국의 역할과 협력도 더욱 강조되고 있다. 오바마정부의 ‘전략적 인내정책’ 보다 적극적인 트럼프의 한반도 정책을 확실한 한미동맹을 통해 우리는 잘 대응하고 활용하여 북한의 비핵화와 민주평화통일을 이루어 내야 한다.
OBJECTIVES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stimate the appropriate storage required for deicing materials in Gangwon-do for successful snow removal operations during the 2018 Pyeongchang Winter Olympic Games. The final estimates of the deicing chemicals can be used by public agencies to aid decision making. METHODS: First, the database that exists in the road snow-removal management system (RSMS) of th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South Korea was used to determine historical characteristics of snow removal experiences in Gangwon-do. The database includes historical information, including regional and road weather data and number of snow-removal works. Second, both the maximum and the actual amount of storages used for deicing materials in the past three years were analyzed. Lastly, the final estimates of the deicing materials were evaluated using an additional equation. It considers frequency of salt spray application, total administrative road length estimated by road agencies, and number of days required for snow removal works in Gangwon-do. Consequently, the results show that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not observed between the final estimates and the maximum amount used during the past three years. RESULTS: The final estimates of the deicing materials are almost similar to the maximum amount used during the past three years in Gangwon-do. CONCLUSIONS: The study shows that the estimates of deicing chemicals can be useful when decision making is required for the snowremoval policy.
본 연구에서는 스포츠사진이 언론매체를 통해 보도되는 여성이미지의 젠 더의 맥락성과 이데올로기를 연구하려 하였다. 이를 위해 2012년 런던올 림픽 경기 기간에 종합 일간지와 스포츠신문의 보도된 사진을 분석하고 사진의 제 목을 통해 언어적으로 묘사하고 있는 사진에 대해서 해석하고 텍스트분석을 시도 하였다. 또한 올림픽기간에 스포츠 사진이 가지는 특성과 성 불평등 및 여성이미 지를 규명하려 하였으며, 이를 위하여 보도사진의 의미와 특성을 분석하는데 목적 이 있다. 연구결과 스포츠 사진이 언론매체에 에로티시즘과 성 상품화을 통한 마케팅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선정성과 결합된 인간의 지적요구의 일정인 에로티시즘이 나 타났다. 여성스포츠나 여성 운동선수의 운동행위보다는 특정 신체부위나 복장 등 을 강조하는 사소화(trivalization)나 성격이 아닌 미모 등 스포츠와 무관한 특성에 기사의 초점을 맞춤으로써 스포츠 장면에서의 의미를 축소하는 한계화 (marginalization)가 이루어지는 방식, 여성 운동선수의 신체를 성 상품화 (sexualization)하는 방식으로 나타났다. 스포츠 사진에 함축된 이데올로기는 과감 한 노출 사진을 통해 성 상품화를 강조한 기사의 제목과 내용을 통해 볼거리를 제 공한다. 또한 여성의 우는 모습을 통해 여성의 나약함과 함께 성적 차이를 강화시 켜 여성 나약함을 표현되는 경우가 많음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