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0

        1.
        2011.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설갱'은 다양한 전분소재를 육성할 목적으로 1991년 하계에 양질다수성 품종인 일품벼에 돌연변이 유도물질(MNU)을 처리하여 M1세대 697개체를 얻었다. 1992년 하계온실에서 M2세대 113개체를 선발하여 1992/'93 동계 온실에서 M3집단을 육성하였다. M4세대부터는 포장에서 계통선발법에 의해 주요 병충해 및 미질검정을 병행하여 다양한 전분 신소재 계통을 선발 고정시켰다. 중만생종이며 전분의 형태가 아밀로스 함량은 일반 메벼와 같고 투명도는 찰
        5.
        1989.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수도 품질다양화를 위한 품종육종에 이용하고자 India 품종 Pokhareli Mashino에서 발견된 저 amlose opaque형질에 대한 배유의 이화학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Opaque 특성을 가진 계통 CB 243은 쌀의 외관적 특성은 찰벼와 같았으나 요드용액에 대한 반응은 자청색으로 메벼와 같았다. 2. Opaque쌀의 전분형태는 찰·메벼와 차이가 없이 다각형입자이었으나 전분입의 크기는 타 품종에 비하여 현저히 작았다. 3. Opaque 쌀 전분입의 결정구조는 A형을 나타냈다. 4. Opaque쌀의 총 단백질함량은 13.06%로서 다른 품종들에 비해 약 50%정도 높았으나 아미노산 조성비율은 차이가 없었다. 5. Opaque쌀의 알카리 붕괴도는 1.7% KOH 용액에서 1.8정도로 다른 품종에 비해 매우 낮았다. 6. Opaque쌀의 전체 수분흡수량과 흡수속도는 찰과 고 amylose계통에 비하여 적고 늦었으며 메벼 통일과 비슷하였다. 7. Opaque쌀의 amylogram 특성은 호화 개시시간이 36분, 최고점도 980BU,최저점도 500BU, Steback - 260BU, Consistency 200BU로 찰과 메의 중간값을 보였다.
        6.
        1986.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옥수수입의 라이신 및 트립토페인 량을 증가시키기 위해서 오페이크-2 인자와 오페이크-2 옥수수입의 표현형을 변갱시키는 변갱 오페이크-2 인자를 사용하여 합성한 부여 No 2 옥수수와 부여 No. 3 옥수수의 입특성을 분석조사하였다. 부여 No. 2나 부여 No. 3 옥수수의 입 특성을 정확히 아는 것은 이들 옥수수의 증수를 위한 육종방법을 규명하는데 필요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입의 물리적 특성으로서 표현형을 본 결과 부여 No 2나 부여 No.3 모두 원래 오페이크-2 옥수수입이 보여주는 표현형과는 매우 다르게 변갱 되었지만 부여 No. 2는 부여 No.3보다 더 보통 옥수수에 가깝게 변갱되었다. 그리고 부여 No. 2는 동일품종내에서도 표현형의 변이가 매우 크게 분포되어 있었다. 입중에 있어서 부여 No. 2는 No. 3보다 입중이 가벼웠는데 그 이유는 크기가 작기 때문이었다. 배유의 밀도는 부여 No. 3이 제일 작았고 이는 입의 경도에도 크게 영향을 주었다. 부여 No. 2의 소입성은 조와 배유의 함량에도 영향을 주어 일정량으로 옥수수를 두고 볼 때 소입중 부여 No.2는 대입중인 부여 No.3보다 배의 양이 많았다. 변갱오페이크 옥수인 부여 No. 2와 부여 No. 3의 배유내 전분조직을 현미경 관찰한 결과 부여 No.2 옥수수입은 배유내 연질전분 조직과 경질전분 조직이 동시에 매우 다양하게 되어 있었다. 필수 아미노산의 하나인 라이신 함량은 부여 No.2가 공시품종 가운데서 가장 높았다.
        7.
        1985.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보통 옥수수의 배유에서 결핍되어 있는 라이신 등 필수 아미노산의 양을 증가시키기 위해 변갱 오페이크-2 유전인자를 도입하여 부여 # 2와 부여 # 3(가칭)의 두 합성품종을 충남대 농대에서 육성(1980)하여 이들의 두 품종이 가지고 있는 유전변이를 알고져 Hallauer와 Wright의 분석방법에 따라 알아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선 두 품종이 다 같이 초장, 이삭높이, 이삭의 크기, 100립중, 수량/이삭등에 있어서 우성인자효과 보다도 상가적 효과가 큼을 확인하였는데 이로 미루어 보아 이들 주요 식물 특성이 순환선발과 같은 적당한 육종방법에 의해 개량될 수 있다는 것이고 이삭당 열수나, 이삭의 직경등은 우성효과가 상가적 효과(분산)보다 커서 두 품종 모두 육종적 개량이 어려울 것이라는 것을 확인하였다.
        9.
        1977.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옥수수 배유내의 Lysine함량을 배이상으로 증가시킨다는 오페이크-2옥수수의 사양가치를 확인코저 황옥002에 오페이크-2유전원자를 Back cross한후 분리 집단내에서 보통립과 오페이크-2립을 분류하여 흰쥐에다 사양시험하였던 결과 24일간의 사양기간에 오페이크-2옥수수를 결여한 흰쥐의 체중증가는 보통옥수수를 결여한 흰쥐의 체중 증가 31.4g보다 28%나 더 무거웠다. 오페이크-2옥수수의 사양효과는 시험개시 후 3일부터 통계적인 유의차를 나타냈으며 일당 평균체중증가율에 뚜렷한 차이를 인정할 수 있었다. 즉 보통옥수수를 먹인 경우의 일당 평균체중증가율은 1.52 그람이었는데 반하여 오페이크-2옥수수를 먹인 경우에는 1.87그람이었다.
        10.
        1969.0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1. 단백질: 오페이크-2 옥수수에서 비록 적은 단백질함량이 분석되었지만 정상적인 옥수수와 오페이크-2 옥수수 사이에 있어서 유의적인 상관관계는 없었다. 2. 라이신: 라이신 함량역시 품종에 따라 다르며 오페이크-2 옥수수에 있어서의 라이신 함량은 품종간에 큰 차이가 없었다. 정상적인 옥수수와 오페이크-2 옥수수 사이에 있어서 라이신 함량간에는 유의적인 상관관계가 없었다. 3. 분리비율: 오페이크-2 옥수수는 열성단일 인자로서 대개 나타났다. 표현형에 있어서는 사용한 품종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오페이크-2 옥수수는 이병성이 약한 듯 하였으며 종실중이 가벼웠다. 4. 오페이크-2 인자와 후라워리-2 인자는 대립유전인자가 아니다. 5. 배우자적 불화합성과 웅성 불임이 오페이크 교배 조합에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