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조직 구성원의 정서인식이 인지적 정서조절을 매개로 부정적 피드 백 수용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이 과정에서 그릿(Grit)이 조절 역할을 하는 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 기업에 재직 중인 비관리자급 구성원 174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고, 유효 응답 158부를 최종 분석에 활용하였 다. 수집된 자료는 PROCESS macro를 통해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정서인식은 인지적 정서조절을 매개로 부정적 피드백 수용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이 경로에서 그릿의 조절 효과가 확인되었다. 주요 변수 간 상관관계는 모두 유의 하였고, 간접효과에 대한 그릿의 조절된 매개효과도 유의하였다. 이는 조직 내 정서적 자원과 개인 특성이 상호작용하여 피드백 수용에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보여준다. 특히 정서인식과 정서조절 전략을 향상시키는 코칭 개입, 그리고 그 릿을 강화하는 맞춤형 코칭 프로그램이 구성원의 피드백 수용성 제고에 효과적 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상사의 코칭 행동이 조직구성원의 심리적 퇴사(quiet quitting)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긍정심리자본과 직무 만족의 매개 효과를 규명하여 조 직 내 구성원들의 심리적 퇴사를 낮추고, 직무만족을 높일 수 있는 인적자원 개 발 방안의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기업에 종사하 는 구성원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SPSS 22.0을 사용하여 분석을 수 행하였다. 연구 결과, 상사의 코칭 행동과 심리적 퇴사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 미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상사의 코칭 행동이 구성원 의 심리적 퇴사에 부(-)의 영향을 미치고, 상사의 코칭 행동은 긍정심리자본과 직무만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긍정심리자본과 직 무만족은 상사의 코칭 행동의 관계에서 매개 효과를 나타내는 사실이 확인되었 다. 따라서 조직은 상사의 코칭 행동을 지원하기 위한 인적관리 차원의 투자와 노력을 강화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에서 검증된 결과를 토대로 조 직 내에서 상사의 코칭 행동이 구성원의 심리적 퇴사를 낮추는 데 영향을 미치 는 중요한 변수임을 확인함으로써 조직구성원의 심리적 퇴사를 낮추고, 직무만 족을 이끄는 방안 마련에 토대를 제공하였다.
최근 정보화와 세계화의 급진전으로 기술적 역량이 강조되며 경쟁이 격화되고, 조직 구성원들의 감성 은 메말라 가고 있는데 이를 해결하기 위해 상생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고 감성역량을 배양할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시대적 상황에 대한 인식을 바탕으로 감성리더십과 조직감성, 조직 구성 원의 몰입적 태도 간의 인과관계를 분석했다. 본연구에서 감성리더십은 자기인식능력, 자기관리능력, 사회적 인식능력, 관계관리 능력으로, 조직감성은 개인, 집단, 집단 간 수준으로, 몰입적 태도는 조직몰입, 팀몰입, 직무몰입, 경력몰입으로 나눠 측정하였다. 실증분석을 위해 총 655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였고, 배 포한 설문지 중에서 435부를 회수하였다. 실증분석에 사용한 도구는 Golman(2012, 2022), Hamme(2003), Stubbs(2015), Aleson & Baysinger(1984), Fottler et al.(2011)의 연구에서 사용했던 도구를 수정·보완하 여 본연구에 사용하였다. 통계분석은 IBM SPSS Win과 AMOS 29.0. 버전을 이용해 실시했다. 요인분석으로 구성개념 타당도를 검증하였고, Cronbach's alpha로 신뢰도를 측정하였으며, t-test, ANOVA, 카이제곱 검정, F검증으로 군 집별 차이 분석을 실시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감성리더십과 조직감성은 조직 구성원의 몰입적 태도에 중 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이 확이되었고, 조직감성은 감성리더십의 매개효과를 통해 몰입적 태도에 영향 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코칭리더십이 조직구성원들의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그 과정에서 긍정피드백과 창의적 자기효능감의 다중 매개효과를 실증적으로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 기업의 다양한 업종의 구성원 중 총 396명에게 설문하여 345명으로부터 자료를 수집하였고, SPSS 25.0, AMOS 25.0를 사용하여 설문의 타당도를 Process Macro 3.0을 사용하여 가설을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리더의 코칭리더십은 긍정피드백, 창의적 자기효능감, 혁신행동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긍정피드백은 창의적 자기효능감에 정(+)의 영향을 미치며, 리더의 코칭리더십과 혁신행동의 관계에서 정(+)의 매개효과를 보였다. 창의적 자기효능감은 코칭리더십과 혁신행동 사이에서 정(+)의 매개효과를 보였고, 긍정피드백과 창의적 자기효능감은 코칭리더십과 혁신행동 간의 다중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의 시사점은 첫째, 수평조직구조에서 주목받고 있는 코칭리더십이 긍정피드백과 창의적 자기효능감을 통해 조직 구성원의 혁신행동을 향상시킨다는 것이다. 둘째, 조직의 성과 창출을 위해서는 조직 구성원의 혁신행동이 필요한 바, 이를 위해 리더의 코칭리더십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양한 방안으로 모색하고 적용해야 한다는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최근 정보화 · 세계화의 급진전으로 기술적 역량이 강조되면서 경쟁은 격화 되고 이로 인해 조직구성원들의 감성은 메말라 가고 있다. 조직의 목표를 보다 효율적으로 달성하기 위해서는 상생할 수 있는 환경과 여건을 조성하고 따스한 가슴을 자극하는 감성엔진과 감성역량을 배양할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본 연구는 감성리더십과 조직감성 그리고 조직구성원의 몰입적인 태도간의 인과관계를 구명하는데 연구의 주안점을 두었다. 감성리더십을 측정하기 위한 변인은 자기인식능력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find out a range of cues that trigger employees to willingly make efforts for corporate development in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This was determined by assessing the effects of employees' value inclination on their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s well as how they perceived their organizational support.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A total of 126 valid questionnaire sheets collected from SME employees were analyzed with SPSS 24.0 and AMOS 24.0 involving simple regress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hierarchical moderated regression analysis and 3-step mediated regression analysis.
Results – The analyses highlighted employees’ personal value inclination had positive effects on their job satisfaction, which in turn enhanced their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Meanwhile, individualist and collectivist inclination exerted greater effects on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respectively. The study also revealed that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Conclusion – Hence, CEOs in SMEs should avert any dichotomous analysis of their employees’ value inclination, respect their personal value inclinations and also apply factors that could raise their job satisfaction. Likewise, it was shown that SME employees need to make personal efforts for organizational develop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