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2

        1.
        201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감자수염진딧물 (Macrosiphum euphorbiae)의 온도별 발육은 12.5~27.5°C까지 2.5°C 간격 (상대습도 65±5%, 광주기 16L : 8D), 7개 온도조건에서 1~2령, 3~4령의 2단계로 구분하여 조사하였다. 약충의 사망률은 7개 온도 중 6개 온도에서 10% 미만이었으나, 27.5°C에서 사망률은 53.0% 였다. 온도별 발육기간은 15.0°C에서 15.5일, 25.0°C에서는 6.7일로 고온으로 갈수록 발육기간은 짧아졌으나, 27.5°C 에서는 발육기간이 다시 길어져 9.7일이었다. 약충의 발육 영점온도는 2.6°C였고, 유효적산온도는 144.5일도였다. 약충의 발육을 5가지 비선형발육모형에 적용한 결과 Logan6 (r2=0.99) 모형이 발육에 적합하였고, 발육완료분포모형은 2-Weibull과 3-Weibull의 모형 적합성 (r2)이 각각 0.92 와 0.93으로 유사하였다. 성충 수명과 산자 수에서 성충 수명은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짧아지는 경향을 보였고, 산자 수는 20.0°C에서 64.4개로 가장 많은 산자를 생산하였다. 생명표분석에서 순증가율 (R0)은 20.0°C에서 63.2로 가장 컸고, 내적자연증가율 (rm)은 25.0°C에서 1.393로 가장 컸다. 배수증가기간 (Dt)은 25.0°C에서 2.091로 가장 짧았다. 기간자연증가율 (λ)은 25°C에서 가장 컸고 (1.393), 평균세 대기간 (T)은 25°C에서 9.929로 가장 짧았다.
        4,200원
        3.
        201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진딧물은 감자에 다양한 바이러스병을 옮기는 대표적인 매개충이다. 따라서 감자밭으로 날아오는 진딧물을 방제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비래진딧물의 종류, 비래시기와 비래량, 바이러스 보독률 및 진딧물의 겨울철 월동기주를 구명하기 위하여 강원도 고랭지의 씨감자 생산지역 3곳 을 중심으로 진딧물 비래양상을 조사하였고, 비래초기부터 6월 하순까지 날아오는 진딧물의 잎말림바이러스(PLRV) 보독 여부를 조사하였다. 또한 진딧물의 이동방향을 따라 57종의 수목류 가지와 수피를 채집하여 월동중인 진딧물 알의 존재 여부를 조사하였다. 강릉 왕산 지역과 홍천 내 면 지역의 여름기주 비래최성기는 모두 6월 중순이었고 평창 횡계 지역은 5월 하순으로 나타났다. 겨울기주로 날아가는 비래최성기는 3개 지역 모두 10월 상순이었다. 비래진딧물의 2.8%가 PLRV를 갖고 있었으며, 진딧물 종류별 보독률은 복숭아혹진딧물 15.4%, 감자수염진딧물 9.1% 였다. 시기별로는 5월 하순부터 PLRV 보독 진딧물이 비래하였고 6월 중순에 비래한 진딧물의 바이러스 보독률이 10.4%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고로쇠나무(Acer pictum subsp. mono (Maxim.)), 당단풍나무(Acer pseudosieboldianum (Pax)) 등 17종의 수목류에서 진딧물알이 월동하였다. 월동 진딧물은 복숭아혹진딧물(Myzus persicae), 홉사마귀진딧물(Phorodon humuli) 등 14종으로 동정되었다. 특히 자작나무진딧물(Betula platyphylla var. japonica), 단풍알락진딧물(Yamatocallis hirayamae) 등은 아직까지 감자에서 바이러스를 옮기는지 여부는 알려진 바 없지만, 넓 은 지역에 걸쳐 분포하는 기주식물에서 월동하기 때문에 앞으로 바이러스 매개 능력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4,000원
        4.
        201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최근 기온이 높아지면서 강원도 대관령 감자 재배지로 날아오는 진딧물 발생이 늘어나고 있다. 그 중 복숭아혹진딧물(Myzus persicae)은 전 세계적으로 분포하고 경제적으로 중요한 해충으로, 감자, 고추 등 노지작물에 흡즙을 통한 바이러스 매개하고 생육저하를 일으키는 피해를 주고 있다. 본 연구는 복숭아혹진딧물의 지리적 차이에 따른 집단의 유전적 관계 규명을 통해 기주식물, 메타집단 등의 군집구조 및 발생패턴을 분석하고, 이러한 요인으로 인한 진딧물 집단의 분산 및 이주 관계를 추정하였다. 최종적으로 개체들 간의 집단유전학적 관계규명을 통해 이들의 확산과 비래 양상을 규명하고자 한다.
        5.
        201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world’s climate is changing. This can affect agricultural insects and the damage they cause by altering their ecology, behavior and habitats. Aphids are emerging as an indicator of climate change, and they are a good model for understanding these environmental changes, especially based on their migratory behavior. In this study, the occurrence of aphids in a seed potato field in Pyeongchang, Korea, was monitored daily using a yellow water pan trap from 1977 to 2017. During these 40 years, the annual migration fluctuations of the aphids were analyzed, with particular focus on four species known to vector potato viruses, Aphis gossypii, Aulacorthum solani, Macrosiphum euphorbiae, and Myzus persicae. It was found that, as time goes by, the start point of spring migration in these aphid species was getting earlier while the peak in autumn migration gradually moved to the winter season. Together with a mean annual temperature increase of 1.03 °C in Pyeongchang over the past four decades, there is a potential threat of expansion in the distribution of aphid species. that this temperature change could influence the aphid’s population changes in the Korean peninsula.
        6.
        2016.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Potato Virus Y (PVY) (Potyviridae: potyvirus) is one of the serious emerging virus of seed potato world-wide. It affects the seed potato by transmitting non-persistently via aphids. Here, we developed a simple PVY detection method which used the boiling technique for releasing of the viral RNA from aphid such as stylet and amplification by PVY specific primers located in the viral coat protein gene which suitable for various strains. This simplified method could save the time compared to earlier detection method due to the simplified RNA extraction step. Following this procedure, we tested this one step RT-PCR based PVY detection method by using three PVY vectoring aphid species (M. persicae, A. gossypii and M. euphorbiae) as well as other sucking type insect such as thrips (F. occidentalis). This PVY detection method is rapid, easy-to-use and suitable for large-scale testing in laboratories of seed potato.
        7.
        2014.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PVY (Potyviridae: potyvirus)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potato virus affecting seed potato production and also it is transmitted non-persistently via aphids. For healthy seed potato production, a virus detection system is highly important in addition to aphid monitoring and control. To achieve this detection method, it need to fast and easy to use. About two decades ago RT-PCR based PVY detection method was developed. However that was very time consuming and has low sensitivity. Here, we developed an advanced PVY detection method which a uses the boiling extraction of the viral RNA from aphid stylet and amplification by specific primers located in the viral capsid protein gene. Therefore, it could directly synthesize cDNA of PVY viral capsid gene from extracted RNA of PVY using one-step RT-PCR method in very short time compared to previous methods due to the omission of RNA extraction step. We confirmed this PVY detection method using the two aphid species (Macrosiphum euphorbiae and Aphis gossypii) that known as PVY vectors. The efficiency of this PVY detection method was 60% to 80% from two the aphid species. Hence, this method could be potentially applied to virus free seed potato production programs.
        8.
        2011.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green peach aphid(Myzus persicae) and sweet-potato whitefly(Bemisia tabaci) biotype Q are serious pests in hot pepper and cucumber. To optimize the formulation type of Clothianidin 1.8% granule, coated and extruded granule formulation types were tested against green peach aphid in hot pepper and sweetpotato whitefly in cucumber. Clothianidin 1.8% granules were incorporated in soil before transplant of hot pepper and cucumber. At recommend dose(540g ai/ha), the efficacy of Clothianidin 1.8% coated and extruded granules were 83.3% and 94.4% and continued until 50 days and 70 days against green peach aphid, respectively. Against sweet-potato whitefly, the efficacy of Clothianidin 1.8% coated and extruded granules were 65.7% and 96.3% at 32 days in cucumber, respectively. Clothianidin 1.8% extruded granule was safe on crops (hot pepper, cucumber, melon, cabbage etc.) at 540g ai/ha (recommend dose) and 1080g ai/ha. The results suggested that Clothianidin 1.8% extruded granule is promising as a best insecticide against green peach aphid and sweet-potato whitefly, because of the high efficacy and low phytotoxicity.
        9.
        2008.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Fifty potato cultivars were screened for potato aphid, Macrosiphum euphorbiae Thomas infestation degree in the field. Aphid honey dew secretion and contents of foliar substances (glycoalkaloids, total nitrogen, Ca, K and Mg) of the cultivars were measured in the laboratory to analyze the correlation between infestation degrees and those factors. The number of aphids ranged from 4.1 to 31.4 per five leaves. The lower density (less than 5 aphids) was found on cvs. Jidose, Recent, and Sebago. The aphid secreted highest (40.3 droplets) and lowest (15.7 droplets) honeydew on cvs. Jopoong and Anco, respectively. Degree of infestation is positively correlated to glycoalkaloids and total nitrogen contents of the potato leaf.
        4,000원
        12.
        196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거의 모든 국가에서 생산된 씨감자는 감자바이러스 이병율을 검사해서 합격품만을 농민에 분배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딴 씨감자 생산국과는 사정이 달라 고령지에서 씨감자를 생산하고 있는 관계로 감자밭의 필수는 전국적으로 막대한 수에 달한다. 우리나라에서의 감자바이러스 김정은 원원종에 한하고 있으나 농민에 분배되는 씨감자도 바이러스 검정을해서 합격품만을 나누어주어야 국가의 체면이 서겠다. 그러나 현재의 시설로는 이를 감당 할 수 없어 이에 대치 될 만한 실제적 방법의 하나로 매개진딧물 밀도와 감자바이러스 이병율간의 상관관계를 밝혀 번잡한 바이러스 검정법 대신 매개진딧물의 공중밀도를 조사하여 해지점의 감자바이러스 이병율을 추산 할 목적으로 본 시험에 착수하였다. 본 보고에서는 진딧물조사 결과만을 발표하고 18개소에서 행한 포장시험결과는 1970년에 행할 바이러스 검정을 마치면 종합결과를 발표 할 예정이다. 표 1에서와 같이 서해안, 내륙, 및 대관령에서의 매개진딧물과 일반진딧물의 수는 각각 8/31, 179/680 및 50/237이었으며 필자가 행한 1967, 1968년의 조사성적을 뒷받침하는 결과를 얻었다. 이에 필자는 씨감자 부족량 약 60,000톤의 조속한 충족을 위해 씨감자의 증식 단계에서는 서해안 일모작 답을 환용 할 것을 다시 한번 강조하는 바이다.
        3,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