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progress that becomes a basis for measuring the outcome of project is a core of project control. Follow-up corrective actions are determined depending on the degree of their differences. The methods of measuring the project progress have been developed though a variety of research and many were verified through the cases. Among such methods, this study selected Start/Finish method and Fixed Formula method. In order to check the limitations of the progress utilized in the two methods, the study compared their progresses to the progress of Percentage Complete method and analyzed the differences shown in their actual applications. Through this, it suggested the forms and scale of the projects appropriate to the application of Fixed Formula method. As for the research progress method, the study first generated a number of virtual project schedules for the establishment of an analysis model. These project schedules were varied in a way that they had different project periods and the number of different activities. The study also generated numerous project schedules for difference test. After establishing a virtual schedule plan by the scale of projects, it measured their progresses by period, analyzed the differences and repeated this procedure to obtain the results.
The large field multi-color CCD sky survey program based on the 60/90 Schmidt telescope of NAOC has been processed in cooperation among many observatories and universities of Asian countries. The observation and scientific results are reviewed.
기후변화 조건에서 강우량 특성치 전망들은 도심지 폭우재해에 큰 우려를 낳고 있다. 폭우재해란 도시의 배수능을 크게 상회하는 집중호우에 의해 침수가 발생하여 주민, 주거지, 자산 및 경제활동 등을 위협하는 현상으로 설명할 수 있다. 폭우재해로 인한 직 · 간접적 피해를 중장기적으로 예방하기 위해서는 저류기능 부여, 침투능 향상, 우수유출 분산 · 지연 등 전통적 방재대책과 더불어 도시 기반시설(공원, 녹지, 광장, 도로 등) 개발입지와 토지이용 규제를 강화하는 대책들을 도시계획으로 메인스트리밍 (mainstreaming)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유역을 폭우재해 피해지점 또는 침수발생 유역의 하류지점으로 설명되는 재해발생지점 (Point), 잠재적인 침수발생이 가능한 지역으로 분석되는 재해직접영향권 (Site), 침수발생을 최소화하기 위해 종합적 도시계획 수립이 가능한 지역인 재해간접영향권(Region)으로 구분하였다. 이 개념을 토대로 Point, Site, Region을 체계적으로 도출하기 위한 ‘분석모듈’과 구조적 비구조적 재해저감대안들의 효과를 분석하기 위한 ‘계획모듈’을 구축하여, 최종적으로 GIS 기반의 Urban PSR System을 개발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개발된 시스템에 대해 2011년 홍수피해가 심각했었던 서울 한강 이남지역을 대상으로 적용성과 유용성을 검토코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