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적: 공기 중에서 플라즈마 처리가 된 상용 불화규소 아크릴레이트 RGP 콘택트렌즈(Boston XO)의 분위기와 유지 시간에 따른 표면 성분 및 습윤성의 변화를 연구하였다. 방 법: 렌즈는 진공, 공기, 물 등의 분위기로 보관했으며, X-선광전자분광분석기(XPS)로 성분과 화학결합을, 접촉각으로 습윤성의 변화를 측정하여 평가하였다. 결과: RGP 콘택트렌즈에 플라즈마 처리를 하면 렌즈 표면에 친수성기(C-O, O-C=O, Si-O)의 증가로 물에 대한 접촉각이 감소하여 표면의 습윤성이 증진되었으나, 모든 분위기에서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친수 성기가 감소하면서 접촉각이 증가하였다. 물 분위기에서는 렌즈 표면에 탄소 및 실리콘과 결합한 산소가 급격히 감소하면서 접촉각이 다시 증가하였다. 결론: 플라즈마 처리된 RGP 콘택트렌즈의 표면이 수분과 접촉하면, 산소가 급격히 감소하고 습윤성이 저하된다.
목적: 본 연구는RGP 렌즈의 형상에 따라 착용 전 후 대비감도를 분석하고 안광학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부산, 경남 소재 대학생 가운데 시력에 영향을 줄 만한 전신질환이나, 안질환등의 병력이 없고, 시력 교정 수술을 하지 않은 38명(남자 21명, 여자 17명)을 대상으로 VCTS 6500(원거리)을 이용하여 명소시(125cd/m2 )와 암소시(3cd/m2 )의 조도에서 나안시력 상태의RGP 렌즈 착용 전과 A, B, C, D 렌즈를 착용한 상태에서 각각의 대비감도를 측정하였다. 결과: 명소시에서 대비감도는 공간주파수1.5cpd에서 RGP 렌즈 착용 전과 비교하여 D 렌즈에서만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16). 3cpd(F=1.062, p=0.377), 6cpd (F=0.277, p=0.893). 12cpd(F=0.941, p=0.441). 18cpd(F=0.512, p=0.727)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암소시에서 대비감도는 1.5cpd(F=1.109, p=0.354)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3cpd(F=1.745, p=0.142), 6cpd(F=2.666, p=0.034), 12cpd(F=5.085, p=0.001)에서는 4가지 렌즈를 착용했을 때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목적: 콘택트렌즈 착용시 렌즈가 각막에 부착된 상태를 정확하게 파악하기 위해서는 콘택트렌즈 운동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이 중 순목에 수반되는 렌즈의 움직임은 각막에 산소 공급 뿐 아니라 안정된 교정시력을 확보할 수 있다는 점에서도 매우 중요하다. 방법: 순목시 콘택트렌즈의 위치 이동은 눈꺼풀이 렌즈를 누르는 압력, 안쪽 눈꺼풀과 콘택트렌즈 사이의 미끄럼 마찰, 순목에 소요되는 시간, 눈꺼풀이 움직이는 최대 수직거리 등에 의해 결정되므로 순목 직후의 콘택트렌즈 위치는 이러한 순목 관련 요소와 함수관계에 있다고 생각할 수 있다. 결과: 눈꺼풀과 렌즈의 마찰력이 관여하는 눈꺼풀의 운동을 설명할 수 있고, 순목시 콘택트렌즈의 직경, 순목시간, 눈꺼풀의 압력 등의 변수에 따른 콘택트렌즈 위치 및 콘택트렌즈 착용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을 예측할 수 있는 뉴턴의 운동 방정식 모델을 수립하였다. 결론: 본 연구의 운동방정식 모델을 측정 가능한 변수인 순목 속도와 눈꺼풀 두께를 이용한 선행된 임상연구와 비교한 결과 좋은 일치를 보여 타당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obtain correlation of blinking velocities and RGP contact lens movements, and to understand lens movements related to blinking velocity through the measurement of upper-lid movement. The lens used in this experiment was two types. One was a standard contact lens and another was a fenestrated contact lens that has three holes(diameter of about 200 11m) at optic zone boundary part. But all of parameter were same in two type of contact lens design. With 4 7 subjects(94 eyes), we measured the refractive error, the radius of cornea curvature, the axial length and the thickness of upper-lid. We measured blinking times per second and the contact lens movement after blinking by high speed camera(l frame = 1/60 sec). Blinking average velocity of upper lid and lens movement amount were no significant correlation both two types of contact lenses, but the blinking average velocity and lens reorientation velocity after blinking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 (Standard C!L: r = 0.586, Fenestrated C!L: r = 0.504). Mean difference of reorientation velocity between low and high groups in blinking average velocity was significant as well(Standard C/L: p = 0.002, Fenestrated C/L: p = 0.003). There was no statistically different of lens movement amount in standard and fenestrated contact lenses. But reorientation velocity of standard contact lens was faster than fenestrated contact lens(p = 0.002).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blinking velocity of upper-lid and lens movement and rotation. While it had strong correlation with blinking velocity and reorientation velocity. lt might be understood through the approach of Bernoulli's equation that is being used commonly in fluid mechanics. As mentioned above, this study is considerably used to evaluate contact lens movements related to blinking and to make some basic information that the upper-lid has an effect on contact lens fitting.
본 연구는 원추각막을 시험렌즈로 피팅하기 위하여 개발된 Ecc Keratoconus Design 렌즈를 임상적으로 평가하기 위하여, 원추각막으로 진단받은 58안(남자: 37안, 여자: 21안)에 대하여 렌즈 착용 전 및 착용 1개월 후 교정시력, 세극등 현미경검사, 자동각막곡률검사, 각막지형도검사(Oculus topographer 및 Orbscan pachymetry system) 및 자각증상에 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최종 처방렌즈의 베이스커브와 각막의 곡률반경을 비교했을 때 약주경선 곡률반경은 모두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각막의 약주경선 곡률반경을 참고하여 처음 피팅할 시험렌즈의 베이스커브를 선정하면, 비교적 용이하게 적합한 피팅상태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적합한 피팅상태를 얻을 때까지 피팅을 시도했던 횟수는 평균 2.9회였으나 실제 렌즈 교환 횟수는 1.9회였다. 시험용 렌즈의 디자인을 변경한 경우는 없었으며, 교정시력은 기존 렌즈보다 0.1 정도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자각적 착용감에 관한 설문 결과, 기존 렌즈보다 착용시간이 증가하고 착용감이 개선되고, 통증이 감소하며, 원거리시력이 개선되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야간운전, 눈부심 및 근거리시력 역시 유의성은 없었으나 불편한 증상이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으로부터 새로운 렌즈를 피팅할 때 각막의 약주경선 곡률반경을 기초로 시험용 렌즈의 기본커브를 선택하여 비교적 용이하게 피팅할 수 있으며, 전반적인 임상성능이 개선된 것으로 사료된다.
안질환이 없는 20대 학생 26명(52안, 나이 22.46±3.35세)을 대상으로 정점부 눈물층 두께와 edge clearance가 동일한 3가지 직경(8.7mm, 9.0mm 및 9.3mm)의 RGP 콘택트렌즈 중 각막의 약주경선 곡률반경을 기초로 선정된 시험렌즈를 착용시키고 플루레신 패턴과 동적 피팅상태를 평가하였다. 가장 이상적인 피팅상태에서 over-refraction을 실시하여 최종적으로 주문할 렌즈의 베이스커브와 상측정점굴절력을 결정하여 직경변화가 피팅상태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분석하였다. 적정 피팅상태에서 순목 후 렌즈의 움직임은 9.3mm: 1.03±0.36mm, 9.0mm: 0.93±0.43mm 및 8.7mm: 0.97±0.44mm로 9.3mm에서 가장 움직임이 컸지만 직경에 따른 평균 움직임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직경별 적정 피팅상태와 1D 플랫한 상태에서 순목 후 움직임은 플랫한 상태에서 더 움직임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9.3mm: 0.29mm, 9.0mm: 0.29mm, 8.7mm: 0.23mm). 적정 피팅상태에서 직경변화에 따른 움직임은 유의한 상관성이 있었으며(9.3mm와 9.0mm: r=0.58, 9.0mm와 8.7mm: r=0.58, 9.3mm와 8.7mm: r=0.45), 직경별 적정 피팅상태와 플랫 피팅상태 사이에서도 유의한 상관성을 보였다(9.3mm: r=0.43, 9.0mm: r=0.47, 8.7mm: r=0.61). 또한 최종 처방된 렌즈의 베이스커브와 각막의 Flat K나 Mean K의 차이와 적정 피팅상태에서 움직임, 그리고 최종 처방된 베이스커브와 Flat K 및 Mean K의 차이와 플랫 피팅상태에서 움직임 사이에는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순목 후 렌즈의 움직임은 직경 변화보다는 베이스커브 및 개인의 해부학적 요인과 관계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각막정점부 눈물층 두께와 edge clearance가 동일하도록 3가지 직경 (8.7mm, 9.0mm 및 9.3mm) 의 RGP 콘택트렌즈를 시 험 제작하였다. 안질환이 없는 20대 학생 26명 (52 안, 나이 22 .46:t 3.35세)에게 착용시켜 가장 적합한 피팅상태를 보였을 때 최종 처 방렌즈의 베이스커브와 상측정점굴절력을 측정하여 콘택트렌즈의 직경에 따른 베이 스커브 및 상측정점굴절력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최종 처방렌즈의 베이스커브는 직경이 작을수록 더 짧아졌고 (9.3 mm: 7.92:tO.16 mm, 9.0 mm: 7.88:tO.l6 mm 및 8.7 mm: 7.83:t0.16 mm), 두 값 사이 에 높은 상관성 이 나타 났다 (9.3mm: r 二0.979, 9.0 mm: r = 0.962 및 8.7mm: r 二0.931). 또한, 최종 처방렌 즈의 베이스커브와 각막의 평균 곡률반경(평균 7.75:t0.17 mm)을 비교했을 때 직경이 작을수록 두 값의 차이가 감소했고 (9.3 mm: 0.17:t0.16 mm, 9.0 mm: 0.13:t0.16 mm 및 8.7 mm: 0.08:tO.l6 mm), 두 값 사이에 높은 상관성을 보였다(9.3 mm: r = 0.925, 9.0 mm : r = 0.965 및 8.7 mm: r = 0.969). 최종 처방렌즈의 상측정점굴절력 (9.3 mm: -2.92:t 1.40D, 9.0 mm: -2.98:tl.48D, 8.7 mm: -3.30:tl .59D) 과 눈 굴절이상도의 구면성분 ( -3.40:t1.73) 및 등가구변도( -3.65:tl.83D) 사이에서 직경 변화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처방렌즈의 상측정점굴절력과 눈 굴절이상도의 구면성분 사이에서 높은 상관성 이 나타났고 (9.3 mm: r = 0.970, 9.0 mm: r = 0.973 및 8.7 mm: r = 0.971), 등가 구면도와도 높은 상관성을 보였다 (9.3 mm: r = 0.957, 9.0 mm: r = 0.965 및 8.7mm: r = 0.968).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가장 이상적인 피팅상태에서 각막곡률과 베이스커브의 관 계, 안경교정도수와 콘택트렌즈 교정도수의 관계로부터 계산피팅법의 적용 가능성을 분석하여, 실무에서 피팅이 용이한 구변 RGP 렌즈를 개발하고 적합한 피팅상태를 얻 기 위해 렌즈의 여러 가지 변수를 변화시키는데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는 자료를 얻 고자한다.
최근에 개발훤 플로로혐 재철의 RGP 콘태트렌즈에서도 렌즈를 착용하고 관리함에 따라 변수 변화가 나타날 수 있어 본 연구에서는 일반세척액, 마모제가 함유된 세척액 및 얄콜성분이 함유된 세척액옳 사용하여 세척회수에 따라 렌즈의 변수변화를 측정하 였으며, 콘택트렌즈 착용자의 렌즈를 수집하여 렌즈변수와 관리방법 동에 따른 변수 변화를 조사하였다. 플로로펌 재질의 RGP 콘택트렌즈를 각각의 세척액으로 5회, 15회, 30회, 50 회, 100 회, 150회 맞 200회 세척한 후 굴절력, 베이스커브, 중심두께 및 직경을 측정한 결파 렌즈의 변수에 변화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콘택트렌즈 착용자가 착용한 렌즈에서 는 손가락으로 세척한 경우 (-) 도수가 증가하는r 경향이 나타났고 중심두께가 O.l2mm 이하인 앓은 렌즈의 경우에는 베이스커브에 변화가 관창되었다. 또한 착용한 콘택트렌 즈에서는 대부분 표변 긁혐 현상과 단백질 침전물이 관찰되어 콘택트렌즈 관리 상태가 나쁜 것으로 판단되었다. 따라서 플로로펌 재질의 RGP 콘택트렌즈의 경우 중심두께가 앓거나 잘못된 방법으 로 렌즈롤 관리하면 렌즈 변행이 유발될 수 있으며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콘택트렌 즈 착용자에 대한 올바른 관리 교육이 펼요하다고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