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주파 흡수제(Accusorb MRI)를 이용한 자기공명영상 검사 중 화재가 발생했다. 다행히 환자는 화상을 입지는 않았 지만 스트랩과 4채널 코일의 케이블, Accusorb MRI가 녹아서 탄 흔적이 발견되었다. 자기공명영상 검사에 사용되 는 도구의 안전 지침을 준수해야 하지만 이를 지키지 않으면 화상, 열상, 장비 손상의 위험이 있다.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철저한 사전 점검을 해야 하고 모든 기기, 물품들이 자기공명영상 검사 시 사용 가능한 제품인지 확인하고 사용법을 정확하게 숙지하여야 한다.
진단 및 치료의 발전에도 불구하고 췌장담도 악성 종양은 여전히 증가하고 있다. 수술적 절제는 유일한 완치를 기대할 수 있는 치료법이지만 대부분의 환자들은 초진단 시 국소 진행 또는 전이성 종양으로 확인되기 때문에 수술이 불가능한 경우가 많다. ERCP 또는 EUS 유도하 RFA와 광역학치료 등은 직접적으로 암 조직을 소작할 수 있는 국소 치료법으로 예후가 불량한 췌장담도암 환자에서 효과적인 치료법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아직 충분한 연구가 진행되지는 못하였지만 ERCP 유도하 ID-RFA는 악성 담도 협착에서 안정성과 유용성이 확인되었고, 추가적인 연구를 통해 장기 효과에 대한 검증이 진행되고 있다.
목 적:치아교정용 보철장치를 부착한 환자의 MRI 검사는 꾸준히 시행돼 오고 있다. 그러나 MRI 검사에서의 안전성에 대한 입증은 명확히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에 본 논문은 3.0T MRI에서의 자기장과 RF에 의한 치아교정용 보철장치와의 상호작용을 실제 임상 조건으로 실험하여 안전성을 입증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3.0T MRI 장치와 광섬유 온도 측정계, 온도 측정용액, 치아교정용 보철장치를 사용하였으며, 자장에 의한 왜곡 실험은 편향각과 토크 측정 장치를 사용하여 측정하였으며, RF에 의한 발열 온도 측정은 wire와 bracket을 결합한 후 온도 측정용액에 담그고, 광섬유 온도계의 온도 센서를 치아교정용 보철장치와 그 주변부에 설치한 후 실제 임상 조건으로 실험하였다.
결 과:고정 자기장에 의한 편향각 측정에서 bracket은 5회 측정 평균 19.88゚, Ni-Ti wire는 1.96゚, stainless steel wire는 119゚로 측정되었으며, torque 실험에서는 bracket과 Ni-Ti wire는 0점으로 no torque이었으며, stainless steel wire는 +4점으로 very strong torque로 측정되었다. RF 주파수인가로 인한 온도 변화는 Ni-Ti wire bracket에서는 임 상 조건 실험 시작 전 target 온도 21.8゚C에서 약 23분 34초간 측정하였을 때 22.2゚C로 약 0.4゚C 상승하였으며, 주변부 온도는 21.4゚C에서 22.4゚C로 약 1゚C 상승하였고, stainless steel bracket에서는 target 온도 23.5゚C에서 23.9゚C로 0.4 ゚C, 주변부 온도는 23.4゚C에서 23.3゚C로 측정되었다.
결 론:본 연구의 실험을 통해 치아교정용 보철장치의 RF에 의한 발열 현상에 따른 온도 변화는 크지 않고, 주 자기장에 의한 영향은 치아교정 보철장치의 자화 감수성에 따라 크게 차이가 남으로써 주 자기장에 의한 치아교정용 보철장치의 치아 내 위치 변화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Maruca vitrata is one of the destructive pests of tropical legumes. Radiofrequency dependent development and adult performances of M. vitrata were examined at five radiofrequencies of 0 (control), 5, 10, 20, and 30 kHz on artificial diet. The results showed that radiofrequency have significant effects on the life variables of M. vitrata. Radiofrequency exposures on pod borer impacted on life-variables of M. vitrata and negative effects were also transmitted to the successive generations. The adults of M. vitrata were emerged with shorter longevity in case of radio-frequency treatment than untreated. Decreasing the radiofrequency level further reduced the longevity of adults. The shortest adult longevity was recorded for 5 kHz. Radiofrequency treatments have also affected on the adult performance such as weight of adult. The outcomes of this study are discussed in terms of an alternative to chemical treatments.
목 적 : DBS 제조사에서는 자사의 일부 제품에 대한 RF power의 제한기준을 B1+rms 2.0 μT 이하로 변경하였다. 이에 brain MRI 영상비교를 통해 새로운 가이드 라인의 임상적 유용성을 평가하였다.
대상 및 방법 : 뇌 질환이 없는 총 5명의 자원자(남자 2명, 여자 3명, 나이 range 19~46세)를 대상으로 T1 SE sagittal, T2 TSE, T1 SE, T2 FLAIR axial로 구성된 Brain MRI routine protocol과 SAR값을 0.1 W/kg 미만으로 조절 된 protocol, B1+rms를 2.0 μT 이하로 조절 된 protocol 등 3개의 protocol을 사용하여 1.5T에서 brain MRI(Siemens avanto, head matrix A Tim coil, Germany)를 시행하였다. 획득된 영상 중 axial영상에서 전두엽 피질(cortex)의 백질(white matter), 회백질(gray matter)과 중심회질(central gray matter)의 조가비핵(putamen), 시상(thalamus)에서 signal intensity를 측정하여 각 부위의 SNR과 백질과 회백질간 CNR을 계산하여 영상을 정량적으로 비교하였다. 정성적 영상평가는 해부학적 묘사력을 기준으로 routine protocol의 영상과 비교하여 RMS, SAR protocol 각각의 영상에 대해 3단계(I: 열등, E: 동등, S: 우월)로 평가하였다. 통계적 유의성은 Medcalc(version 16.1)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유의수준은 0.05로 검정하였다.
결 과 : 전두엽 피질의 백질과 회백질간 CNR은 T2, T1 axial에서 routine과 RMS 영상은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고(p<0.05), FLAIR axial에서는 routine 영상(10.0±0.8)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p=0.004). 백질과 중심 회질간 CNR은 조가비핵의 경우 T2, T1, FLAIR axial에서 모두 routine과 RMS 영상은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고(p<0.05), 시상은 T2 axial에서 3개의 protocol간 차이가 없었으나(p=0.16), FLAIR axial에서는 routine영상(7.9±0.5)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p=0.003), T1영상에서는 routine과 RMS 영상은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p=0.009). 정성적 평가에서는 routine영상에 비해 SAR영상은 모든 sequence에서 ‘열등’으로 평가되었으나, RMS영상은 두 명의 FLAIR영상과 한 명의 T2영상에서만 ‘열등’ 판정을 받았고, 나머지는 모두 ‘동등’ 판정을 받았다.
결 론 : RMS protocol 영상은 백질, 회백질간 CNR과 해부학적 구조의 묘사력을 기준으로 비교하였을 때 SAR 영상보다 모든 sequence에서 우수하였고, routine 영상과는 T2, T1 sequence에서 동등하였다. DBS 환자에 대해 RF power를 B1+rms 2.0 μT 이하로 제한하는 제조사의 새로운 가이드라인은 기존의 SAR 기준에 비해 영상의 질향상, scan time 감소, scan parameter 조절 용이성 등 임상적으로 유용함을 확인하였다.
수술이 불가능한 담관암에서 담관 내 고주파 열치료는 악성 담관 폐쇄를 호전시키는 실용적인 치료로 보고되고 있으나, 내시경적 역행성 담췌관조영술을 이용한 고주파 열치료는 투시조영을 통해 열을 적용하는 방법으로, 병변을 직접 시각화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반면에, 직접 경구 담관 내시경하 담관 내 고주파 열치료는 담관 내 병변을 시각화함으 로써 카테터의 삽입 등에 용이하며 시술로 인한 합병증을 감 소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본 증례에서는 총담 관십이지장문합술을 시행 받은 담관암 환자에서 직접 경구 담관 내시경하 담관 내 고주파 열치료를 적용하여서 스텐트 시술 없이 담관 개존을 보존한 첫 번째 사례로서 직접 경구 담관 내시경하 담관 내 고주파 열치료의 효용성을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This study was focused on the risk assessment of whether radiofrequency electromagnetic fields generated by mobile phone is cytogenetically toxic or not. We conducted the effects of 835-MHz electromagnetic field (EMF) on DNA strand breaks in mouse thymic
Monitored anesthesia care (MAC) has been described as a specific anesthesia service for diagnostic or therapeutic procedures performed under local anesthesia along with sedation and analgesia, titrated to a level preserving spontaneous breathing and airway reflexes. Radio-frequency ablation (RFA) is a kind of methods to remove benign thyroid nodules (BTNs) by inducing the irreversible injuries with the use of an ultrasound-guided RF electrode placed inside the nodules. A 37 years old, 157 cm, 81 kg woman underwent RFA of BTNs under MAC. We present with a case report where laryngospasm under MAC was resolved by the use of positive pressure ventilation without any complications.
To evaluate the outcome, clinical efficacy and safety of endometrial radiofrequency cauterization for the treatment of hypermenorrhea. From January 2011 to March 2015, a total of 195 women who visited to Chosun University Hospital had their charts and telephones reviewed for demographics, procedure data, clinical history, and follow up. The mean age was 43.3±5.9 years old. A decrease in days per cycle (7.9±2.8vs 5.4±2.3 days, p<0.001), and in pads per day (10.1±2.7 vs 5.9±3.8 pads/day, p<0.001) and an increase in hemoglobin (g/dL, mean±SD) / hematocrit (%, mean± SD) (7.4±0.5 / 29.5± 2.7 vs 11.7±1.3 / 36.1±4.2, p<0.001) and an improvement in self-reported quality of life scores (limitation of life: 8.1±2.2 vs 2.9±1.7, p<0.0001, discomfort score: 2.1±1.5 vs 0.9±1.5, p<0.001) were observed after endometrial radiofrequency cauterization. Assessment of the level of satisfaction showed that 83.6% of patients were satisfied with the procedure. No major complications were found. The prognostic factors of endometrial radiofrequency cauterization were age, parity, uterine depth, and cauterization time. But age and cauterization time had no significant difference statistically. Endometrial radiofrequency cauterization is a safe and efficient method to treat of hypermenorrhea. It reduces the menstrual flow, improves the quality of life, and remarkably satisfies patients with a desire to preserve a uteru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