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8

        3.
        2018.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Asphalt pavement overlay method is one of widely chosen construction methods for remodelling existing aged concrete pavement layer. However, in this case reflective cracking is a challenging issue due to movement of transverse joints: built in existing concrete pavement layer with constant interval length. In this paper, collecting field data: collection of displacement and temperature data on existing concrete pavement layer for further complicated pavement performance analysis, was performed. To fulfil this objective, various types of thermometer were embedded into concrete layer with different depth level. Then, movement of existing concrete layer was measured numerically. Each Displacement Measuring Gauge (DMG) along with thermometer was embedded with depth of 3cm and 15cm, respectively. Additional thermometers were embedded at the middle depth of overlaid asphalt pavement layer for further extensive analysis and data collection. Total four testing sites were considered based on different asphalt mixture type and construction method. The 1st site was constructed with conventional construction approach, the 2nd site was constructed with a new pavement equipment contains simultaneous tack-coating function, the 3rd site was similar to 1st site but Guss-asphalt was constructed as a binder course, and in 4th site Noise-Reduction Porous Asphalt (NRPA) was constructed as a surface course and regular Dense Grade Asphalt (DGA) was constructed as a binder course. A field asphalt pavement layer sample coring works: along with basic material property tests, were also performed to acquire not only overlaid asphalt but also existing concrete pavement materials. This gauge measuring work in this study is an initial step therefore, long-term movement data of each pavement layer was not able to be collected, unfortunately. However through collecting and analysing initial data on each test site, two crucial findings were acquired. First, in all four tested site highest temperature variations were observed at the upper asphalt pavement layer and the variation trends decreased with increase of pavement depth (in case of concrete pavement layer, temperature and movement variations also decreased with increase of pavement depth). Secondly, when Guss-asphalt was applied as a binder course temperature variations of existing concrete pavement layer was crucially smaller than those of other comparison cases. These current findings and collected data set can provide successful input information for further pavement structure analysis such as 2D (and/or 3D) Finite Element Method (FEM) analysis as a future study.
        4.
        2018.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In this paper, first the aging level of Stone Mastic Asphalt (SMA): one of the widely applied asphalt mixture types for highway construction in South Korea, was analysed then those aging effects on various performance characteristics were studied. Then, a suitable methodology for improving performance on real asphalt pavement construction site was recommended. To fulfil the objective, Gel-Permeation Chromatography (GPC) experimental work was performed on various aged SMA mixtures by measuring Large Molecular Size (LMS) then the Absolute Viscosity (AV) value was predicted based on the findings in the previous step. As results, it was found that types of performance change on aged asphalt binders could be estimated by computed Estimated Absolute Viscosity (EAV) values. It also should be mentioned that the performances of tested SMA mixture presented negative trend after aging effect increases; even though the performance deterioration level of SMA is lower than that of regular Dense Grade Asphalt (DGA) mixture, which means proper reactions are recommended to keep its quality. Moreover, better resistance against aging effect was found by applying Hydrated-Lime (HL) or Low Density Poly-Ethylene (LDPE) compared to any other additives on asphalt mixtures. A unique Aging Quantity (AQ) model for SMA mixtures was developed by using two factors: collected aging time data set from field (and/or laboratory) and AV values based on different temperature conditions. The Predicted Absolute Viscosity (PAV) on SMA mixtures was computed by using the introduced AQ model then the aging level of asphalt binder was estimated as a final step. Additionally, five performance characteristics of asphalt binder: Dynamic Shear Rheometer(DSR) high temperature limit, Bending Beam Rheometer (BBR) low temperature limit, G*/sinδ, Creep stiffness, and m-value, were analysed. The value of AV showed the best performance for predicting and representing aging level. Finally, the aging level of given asphalt mixtures in the field can be easily predicted by choosing one of three approaches presented in this research.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performance of asphalt pavement can be increased by selecting proper materials and performance prediction methodologies introduced in this study. However, only limited number of specimens were considered in this study due to limit of raw materials and laboratory equipment condition. Therefore, extensive experimental works with various types of asphalt materials are recommended for strengthen findings in this thesis as a future research.
        5.
        2016.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URPOSES: Reflection cracking has been one of the major causes of distress when asphalt pavement is laid on top of concrete pavement. This study evaluated the reflection cracking resistance of asphalt mixtures reinforced with asphalt embedded glass fiber and carbon fiber using a Texas Transportation Institute (TTI) overlay tester. METHODS : Different asphalt mixtures such as polymer-modified mastic asphalt (PSMA) and a dense graded asphalt mixture were reinforced with asphalt-embedded carbon fiber and glass fiber. For comparison purposes, two PSMA asphalt mixtures and one dense graded asphalt mixture were evaluated without fiber reinforcement. Two different overlay test modes, the repeated overlay test (R-OT) and monotonic overlay test (M-OT), were used to evaluate the reflection cracking resistance of asphalt mixtures at 0 ℃. In the R-OT test, the number of repeated load when the specimen failed was obtained. In the M-OT test, the tensile strength at the peak load and tensile strain were obtained. RESULTS : As expected, the fiber-reinforced asphalt mixture showed a higher reflection cracking resistance than the conventional nonreinforced asphalt mixtures based on the R-OT test and M-OT test. The dense graded asphalt mixture showed the least reflection cracking resistance and less resistance than the PSMA. CONCLUSIONS: The TTI overlay tester could be used to differentiate the reflection cracking resistance values of asphalt mixtures. Based on the R-OT and M-OT results, the carbon-fiber-reinforced asphalt mixture showed the highest reflection cracking resistance among the nonreinforced asphalt mixtures and glass-fiber-reinforced asphalt mixture.
        4,000원
        6.
        2012.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URPOS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lect the proper sealing method and to see the performance of the saw and seal method for concrete rehabilitation based on accelerated pavement testings and lab tests. METHODS : Two accelerated pavement testings were conducted. One is to select proper sealing method of the asphalt joints and the other is to see the performance of the saw and seal method. Lab tests were conducted to select proper sealing method and a test section was constructed to see the field performance. RESULTS : The result of the first accelerated pavement testing indicated that the adhesive preformed sealants showed good performance when asphalt layer was rutted and in terms preventing from water infiltration. The second acceleration test indicated that the saw and seal method using the adhesive preformed sealant showed much better performance than the control. In the lab test bitumen, rubber and epoxy showed good performance as the adhesive. CONCLUSIONS : Saw and Seal method using the adhesive preformed sealant would markedly reduce the joint damage on the asphalt overlay.
        4,000원
        8.
        200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아스팔트 덧씌우기 포장에 나타나는 반사균열을 제어하기 위하여 노후된 시멘트 콘크리트 포장과 아스팔트 덧씌우기 포장 경계면에 보강재의 효과적인 부착 방법을 찾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이를 위한 부착재로는 RSC-4 유화아스팔트, 컴파운드, 불포화 폴리에스터 수지 (UPR) 등 3종류를 사용하였다. 또한 아스팔트 혼합물은 3종류의 밀입도 혼합물(AC 60-80, RLDPE 8%, PG 76-22)을 사용하였다. 보강 재료로서 유리섬유 그리드 하부에 직포가 부착된 것을 사용하였다. 복합모드 파괴(mode II)의 모사를 위한 촉진시험은 휠트랙킹 장비를 이용하여 수행하였다. 반사균열의 진전은 피로수명으로서 하중 사이클 수에 따라 측정하였고, 공시체의 변위는 각각 시험 공시체에 대하여 demec 게이지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본 연구 결과, UPR 부착이 가장 효과적이었으며 다음은 RSC-4의 순이었다. 그러나 현장 적용성을 고려할 때 , RSC-4 유제가 보강 재료의 부착을 위해 적절한 선택으로 판단된다.
        4,300원
        11.
        2003.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은 시멘트 콘크리트 포장 위에 덧씌우기한 아스팔트 콘크리트 포장에서 발생하는 반사균열 제어를 위해 줄눈 실링재를 사용한 포장에서의 반사균열을 평가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사용된 시험방법은 전단반사균열 모사실험 방법으로 실내에서 덧씌우기 아스팔트의 반사균열 저항성 시험을 위해 개발된 시험기법이다. 실험을 통하여 줄눈 실링재는 반사균열 제어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링재 E를 사용하였을 때 피로수명은 가장 크게 나타났으나 수평변형은 상대적으로 크게 나타났고, B의 경우 수평변형은 가장 적게 나타났고 동적 안정도도 가장 크게 나타났다. 일반적으로 실링재의 인장강도가 높은 것일수록 혼합물의 반사균열저항성이 더 좋았다.
        4,000원
        12.
        2003.09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은 시멘트 콘크리트 포장 위에 덧씌우기한 아스팔트 콘크리트 포장에서 발생하는 반사균열 제어를 위해 줄눈 실링재를 사용한 포장에서의 반사균열을 평가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사용된 시험방법은 전단반사균열 모사실험 방법으로 실내에서 덧씌우기 아스팔트의 반사균열 저항성 시험을 위해 개발된 시험기법이다. 실험을 통하여 줄눈 실링재는 반사균열 제어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링재 E를 사용하였을 때 피로수명은 가장 크게 나타났으나 수평변형은 상대적으로 크게 나타났고, B의 경우 수평변형은 가장 적게 나타났고 동적 안정도도 가장 크게 나타났다. 일반적으로 실링재의 인장강도가 높은 것일수록 혼합물의 반사균열저항성이 더 좋았다.
        4,000원
        15.
        200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아스팔트 덧씌우기 포장에 야기되는 반사균열 실내 시험을 통해 여러 보강된 혼합물의 반사균열 저항성에 따른 피로수명을 추정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아스팔트 개질재로는 LDPE, SBS 및 카본블랙을 이용하였고 보강재로는 합성섬유(PF), 비닐(PV), 그리드 (GG)를 이용하였다. 공시체 몰드 바닥에 보강재를 미리 깐후 배합설계를 통해 얻은 아스팔트 혼합물을 부어 공시체를 제조하였다. 반복하중 하에서 균열이 있는 시멘트 콘크리트 위에 부착된 아스팔트 콘크리트 공시체 하단의 수평변위를 측정하여 각 혼합물별 균열지연에 따른 반사균열 피로수명을 추정하였다. 본 연구의 반사균열 실험 결과를 토대로 균열진전에 따른 각 혼합물별 피로수명에 대하여 이론적인 예측식을 개발 제안하였으며 예측식에 의한 추정치와 실측치와의 상관관계가 상당히 높게 ($r^2=0.95$이상) 나타났다.
        4,000원
        16.
        2000.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아스팔트 덧씌우기 포장에 야기되는 반사균열 실내 시험을 통해 여러 보강된 혼합물의 반사균열 저항성에 따른 피로수명을 추정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아스팔트 개질재로는 LDPE, SBS 및 카본블랙을 이용하였고 보강재로는 합성섬유(PF), 비닐(PV), 그리드 (GG)를 이용하였다. 공시체 몰드 바닥에 보강재를 미리 깐후 배합설계를 통해 얻은 아스팔트 혼합물을 부어 공시체를 제조하였다. 반복하중 하에서 균열이 있는 시멘트 콘크리트 위에 부착된 아스팔트 콘크리트 공시체 하단의 수평변위를 측정하여 각 혼합물별 균열지연에 따른 반사균열 피로수명을 추정하였다. 본 연구의 반사균열 실험 결과를 토대로 균열진전에 따른 각 혼합물별 피로수명에 대하여 이론적인 예측식을 개발 제안하였으며 예측식에 의한 추정치와 실측치와의 상관관계가 상당히 높게 (r2=0.95이상) 나타났다.
        4,000원
        17.
        1999.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노후된 기존 콘크리트 포장위에 아스팔트 덧씌우기를 했을 때 윤하중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전단 반사균열을 모사할 수 있는 실내 실험방법을 개발하였다. 또한 각 혼합물의 기본 특성시험을 토대로 본 연구에서 개발한 실험방법을 사용하여 각 혼합물의 전단 반사균열 저항 특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본 연구에서 개발한 실험방법을 사용하여 측정한 전단 반사균열 저항 특성이 재료 및 보강 효과의 차이를 적절히 보여 현장에서의 상황을 잘 모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일부 혼합물에 대하여 기존 피로수명 예측모델을 이용하여 전단 파괴수명을 예측한 결과 높은 상관성을 보여 향후 포장의 수명을 상대적으로 예측하는 것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4,000원
        18.
        1999.10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노후된 기존 콘크리트 포장위에 아스팔트 덧씌우기를 했을 때 윤하중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전단 반사균열을 모사할 수 있는 실내 실험방법을 개발하였다. 또한 각 혼합물의 기본 특성시험을 토대로 본 연구에서 개발한 실험방법을 사용하여 각 혼합물의 전단 반사균열 저항 특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본 연구에서 개발한 실험방법을 사용하여 측정한 전단 반사균열 저항 특성이 재료 및 보강 효과의 차이를 적절히 보여 현장에서의 상황을 잘 모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일부 혼합물에 대하여 기존 피로수명 예측모델을 이용하여 전단 파괴수명을 예측한 결과 높은 상관성을 보여 향후 포장의 수명을 상대적으로 예측하는 것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