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

        1.
        2015.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Recently an outbreaked pest belongs to Hemiptera: Recaniidae, Ricanula sp. is greatly concerned about the outspreading throughout the South of Korea by wide range of host, including Cornelian cherry, Jujube, and peach trees. In Chungbuk province, this pest was first occurred at Jincheon and Okcheon in 2012, Cheongju in 2013 and now found out at Eumseong and Goesan in 2015. Ricanula sp. was oviposited directly into one-year twig, did damages on fruit-bearing formation and finally withered the host. This study was performed to understand the ovipositional characteristics and to develop the standardized forecasting method. Oviposition by Ricanula sp. was abundant in tree than in bush, adult laid eggs on new inner twigs and then covered with wax compound. Total no. of oviposited egg-mass was 10 to 318, and that of on new twig was 5 to 185 per tree, with different to host trees. Thickness of oviposited twigs were done within 2 ~ 5.5 mm and the height was mostly founded with range of 1 to 2 m, founded with highest height over 3 m. Oviposited no. of egg-mass within 30 cm twig was appeared differently from 2 to 7 every host. From based on this investigated result, we provide this for standardized forecasting method. This pest will need to control when egg-mass will occur over 2 at new twig, within 30 cm from the tip, set as total 25 point/ 5 plants (5 point per plant).
        2.
        2011.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2011년 3월 전남 구례군 산동면 일대의 산수유나무 1년생 가지에 산란된 알을 발견하여 농과원 작물보호과에 분류의뢰하였고, 기주식물 조사, 산란 특성, 해충의 발육단계별 방제가능한 친환경 자재선발을 위하여 시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구례지역에 발생한 날개매미충은 2010년에 충남 공주와 예산, 전북 순창에 발생한 종과 동일하며 전남지역에서는 산동면 286ha, 순천 서면 1ha가 발생하였고, 매미아목(Auchenorrhyncha) 큰날개매미충과(Ricaniidae)에 속하는 Ricanula sp.로 분류되었다. 알 크기는 장경 1.2mm, 단경 0.6mm로 우유색이며 1년생 가지속에 2줄로 난괴당 25.4개를 산란하였다. 산수유, 감나무, 후박나무 등 5종의 주요 산란기주에서 평균 25~31개 정도를 산란하는데 난괴 길이는 15.2~18mm정도이며, 기주식물에 따른 산란수와 난괴길이는 유의차가 인정되지 않았다. 날개매미충 약충은 4회 탈피하는데 1, 2, 3, 4령 약충의 평균 체장은 각각 1.7, 2.5, 3.4, 4.5mm이며, 항문 주변에 밀납물질로 ×자 모양을 형성하는데 몸체보다 긴 경우도 있으며, 3령충 이상이 되면 백색이 황색으로 변하는 경우도 있다. 날개매미충의 기주식물을 조사한 결과, 목본류 32종과 초본류 19종으로 총51종이었으며, 산란 기주식물은 대부분 목본식물로 감나무, 산수유, 느티나무 등 31종이었다. 월동중인 알 방제에 적합한 친환경자재는 없었으나 클로피리포스수화제 처리에서 부화율이 0.3%로 매우 낮았으며, 부화약충 방제에는 친환경자재 중 홍맹이가 92.3%의 살충율을 보였으며, 2~3령 약충은 진압이 94.3%, 성충은 뉴바이오다킬이 82.4%의 살충율을 보였다.
        3.
        2010.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Ricanula sp.으로 추정되는 날개매미충 일종이 2010년 충청남도 공주시 신풍면 일대와 예산군 덕산면 일대에 대발생하여 농작물에 피해를 주었다. 성충의 몸체 색과 형태를 보아 먹날개매미충(Pochazia albomaculata (Uhler))로 오인될 수 있 으나 약충의 형태와 성충의 날개에 존재하는 점무늬 모양 등의 특징으로 보다 먹 날개매미충은 아니었으며 Ricanula sp.에 속하는 종으로 추정된다. 충청남도내 발 생지역은 공주, 청양, 예산, 홍성 이었으며 선호하는 기주는 두릅, 옷나무, 대추나 무, 사과나무, 밤나무, 감나무 등 대부분의 작물을 선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