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9

        1.
        2016.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Recently, systematic management strategy and planning infrastructure is improved the efficiency of infrastructure maintenance are prepared. In this study, a overall rating software tool is developed for SOC facilities to enable rapid analysis results of complex process.
        2.
        2015.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For a efficient maintenance it is necessary to inspect SOC infrastructure using the performance-based evaluation method throughout quantitative measurement. In this study durability evaluation factors of steel structural member are proposed in order to develop performance-based evaluation method of SOC infrastructure.
        3.
        2015.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current domestic SOC facilities focuses on checking stability by a physical evaluation. In this study, the concept for calculating SOC facilities’ Korean representative rating is set up by analyzing international SOC facilities' evaluation methods and objects and factors of evaluation for it. Also, facilities by suggesting design plan based on established concept for calculating each facilities’ rating.
        4.
        2015.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제방, 댐, 교량, 도로 등 주요 시설물은 일상적인 사회·산업적 활동을 지원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뿐만 아니라, 재난발생 시 인적·물적 자산을 보호해 준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그러나 시설물의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이들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는 재난관리시스템이 아직 개발되어 있지 않으며, 정작 재난이 발생할 때는 시설물 보호 및 활용을 배제한 대응이 이루어져 2차·3차적인 피해를 발생시키고 있다. 더욱이, 2014년 한국에서 발생한 세월호 유람선 침몰사건에서 제기된 여러 가지 이슈들, 예를 들어, 재난 발생 시 적절한 대응방안 제시 및 이와 관련된 즉각적인(Golden time) 의사결정, 신속한 현장 파악 및 보고, 구조·복구를 위한 자원(Resources) 관리 및 동원, 통합적 콘트롤 기능 등의 이슈들이 SOC시설물 재난관리 상황에서도 제기될 수 있는 바, 이를 적절히 해결하기 위한 방안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홍수 등 재난 영향흐름(Impact Flow)에 기반을 둔 SOC시설물 위험도 평가체계를 제안하여 상기 이슈들에 대한 해결방안을 논의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Hazus-MH, DIMSuS 등 최근 주요선진국들의 관련 기술 및 연구에 대한 포괄적인 문헌분석을 실시하였으며, System Dynamics 시뮬레이션 모델 구축을 통해 알고리즘 검증 및 TB 적용성을 검토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제공될 SOC시설물에 대한 통합적 위험도 관리 기능은 SOC시설물의 안전 및 재해예방 관련 정책결정자와 관리자들에게 합리적인 의사결정수단을 제공하고 궁극적으로 대상 SOC시설물의 안전도를 향상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6.
        2014.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그동안 우리나라는 화산재해에 대해 비교적 안전한 지역으로 인식되고 있었으나, 최근 백두산 지역의 다양한 화산분화 전조현상 발생 등 화산재해 위험성을 제기하는 전문가의 의견이 증가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향후 발생가능한 화산재해에 대해 신속·정확하게 대응하기 위한 공간정보 기반의 화산재해대응시스템 개발방안을 제시하였으며, 실제 파일럿 시스템을 개발하여 상용화 시스템 개발을 위한 기반을 마련하였다. 향후 화산재해대응시스템이 소방방재청 국가재난관리시스템(NDMS) 체계에 탑재되기까지는 추가적인 연구 및 시스템 보완이 필요하나, 해당 시스템이 방재업무에 실용화 된다면 향후 백두산을 비롯하여 우리나라 인근지역에서 발생하는 화산재해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음은 물론, 인도네시아를 비롯한 중남미 지역 등 화산재해발생 국가들까지의 수출도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7.
        2014.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태풍, 호우등 자연재해로 인한 사회기반시설물 피해를 예방하고 저감시키기 위한 예방 차원의 연구는 다각도로 수행되고 있는 반면, 대응 및 응급복구를 향상시키기 위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효율적이고 신속한 피해복구를 지원하고자 피해복구 의사결정 지원시스템의 개발방안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피해복구 의사결정 지원시스템은 복구자원 관리, 복구 우선순위도출, 피해복구 종합계획 수립 및 복구 지원 요청의 세부 모듈로 이루어져 있다. 복구자원관리 부분은 여러 개의 DB 엔티티로 구성되어 있으며, 복구에 필요한 모든 자원을 포함한다. 복구자원(인력 및 장비)은 복구공법과 연계되어 피해복구 종합계획 수립에 사용되며, 복구자원관리 모듈을 통해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 그와 더불어, 시스템 아키텍처, 복구자원 현행화 방안, ODATA 활용, DB설계, Map을 이용한 자원 정보 표출, 그리고 복구계획 및 실시에 대한 개념설계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는 사회기반시설물에 재해가 발생했을 때 보다 신속하게 복구하여, 2차 피해확산을 방지하고, 인명 및 재산 피해를 최소화 하는데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8.
        2014.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지구온난화에 의한 이상기후는 대기온도 상승과 함께 태풍 등의 대형 강우와 강풍, 강설 등의 자연현상을 유발하며, 이로 인하여 SOC 시설물의 안전이 상시 위험에 노출되어 있다. 매년 전국적으로 공공시설의 피해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으며, 피해지역에 대한 응급복구를 위해 많은 예산이 투입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재해 발생시 신속한 대응과 효율적인 복구를 위하여 원스톱 통합관리시스템의 개념설계를 수행하였다. SOC 시설물 통합관리시스템은 지능형 영상정보 통제센터, e-문서 네트워크, 스트림 피해통합분석 플랫폼, 최적 응급복구 지원 플랫폼으로 구성되며, 내부에서 서로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하나의 시스템으로 통합운영된다. 시설물에 재해 피해가 발생하면 피해 영상정보와 안전도, 위험도 정보가 수집되고 이를 바탕으로 피해유형을 자동으로 분석하게 되며, 피해복구 시나리오에 기반하여 복구지원을 수행하게 된다. 피해복구 시나리오는 피해복구공법, 복구자원 현황, 우선순위 등을 고려하여 수립된다. 본 시스템의 개발을 통해서 재해대응속도를 향상시키고, 복구비용을 저감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9.
        2013.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y using the accelerometer, there are two techniques of measuring the response from structures: forced vibration and ambient vibration method. Recently, ambient vibration technique is successfully being used for bridges, buildings, dams, and mechanical structures. In this study, we briefly introduce and describe a health monitoring system which measures and predicts the structural integrity of the entire structure through the measurement of ambient vibration characteristics and tilt of the structure by using the domestic-made high precision accelerometer. The high precision servo accelerometer is applied in inertial navigation system of the various weapon systems such as missiles, tanks, and armored vehicl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