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research examines how voluntary simplicity lifestyle can mediate the tourists’ COVID-19 anxiety and the tourism motivation during the COVID-19 pandemic and demonstrates how resilience can moderate the effect of the anxiety and pull motivations. The results show the effects of mediation and moder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nxiety and tourism motivations.
본 연구는 심미적 영향요소 중 하나인 단순/복잡이 과연 선호도에 어떠한 영향을 주고 다른 심미적 차원들과 어떠한 관계를 갖는지를 정립하기 위한 기초연구로 진행되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단순/복잡, 균형 그리고 선호도를 가지고 진행하였다. 본 연구는 근본적인 질문으로부터 시작하였다. 첫째, 심미적 차원 중 하나인 단순/복잡이 다른 요소인 균형과의 관계. 둘째, 심미적 영향요소인 단순/복잡 그리고 균형과 선호도와의 관계를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제품들을 범주화하고 각 범주별 제품들을 대상으로 실험하여 범주별 성향을 찾고 이를 기본으로 디자인 프로세스에 적용하여 검증하도록 한다.
본 연구는 심미적 영향요소 중 하나인 단순·복잡이 과연 선호도와 어떠한 관계가 있으며, 다른 심미적 차원들과의 관계를 정립하기 위한 초기 연구 과정 중 하나이다. '제품이 가져야 할 가장 기본적인 기능이 제품 형태에 표현될 때 과연 심미적 영향요소 중의 하나인 단순·복잡이 그 기능 표현에 영향을 주는가' 그리고 '기능 표현, 단순 복잡 그리고 선호도와의 관계는 어떠한가'를 알아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선택된 제품들을 범주화하고 각 범주별 제품들을 대상으로 실험하여 범주별 성향을 찾고 이를 기본으로 디자인 프로세스에 적용하여 검증하도록 한다.
1970년대 이전까지의 디자인은 합리주의에 따른 대량 생산과 소비에 대한 요구 의해 단순성만을 추구하였다. 그러나 당시 디자인은 획일화를 야기했을 뿐더러 상징성 내지는 문화적 내용이 결손 되었다는 비난을 받고 말았다. 결국 당시 디자인은 이 시기를 지나면서 포스트모더니즘의 영향으로 복잡성과 다양성이라는 요구와 직면하게 된다. 단순성의 내용은 디자인 형식과 기능에 관계하며, 그 개념 또한 크게는 철학과 미학적 차원에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단순성의 유형은 형이상학적 차원과 내용적인 측면에서는 디자인에 포함된 정보와 기능적 차원으로 구분된다. 단순성이 강조된 디자인은 명료한 정보를 소유하고 있기 때문에 이해와 사용이 용이한 사용자 중심의 디자인으로 구분된다. 특히 단순성은 제품을 구입하는 소비자 입장이 고려된 국민경제적 차원과 디자인을 생산하는 과정에서 야기되는 에너지 절감과 노동력 절약 그리고 수명 연장을 통한 환경 친화적 내용을 지니게 된다. 따라서 디자인 형식의 단순성은 제품의 기능과 더불어 사회, 경제 그리고 생태학적 의미를 지니게 되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