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5

        1.
        2017.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Citing Zhouyi has formed a considerable number of allusive forms in Stone Inscriptions from WeiJin, Southern and Northern Dynasties to Sui Tang and the Five Dynasties, many of which has disappeared from the Chinese Dictionary. This paper mainly collates the allusive forms of citing Qian、 Zhun and Meng in Stone Inscriptions, and interprets the meanings of the allusive forms which are not in the Chinese Dictionary, and differentiates the meanings of the allusive forms in the Chinese dictionary.
        4,900원
        2.
        201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평창군의 대표적 명승고적으로 분류되는 팔석정의 유래와 그 유래의 원천인 팔석(팔석) 그리고 바위글씨의 현황을 파악하는 한편 바위글씨의 주체인 양사언의 자연관 고찰을 전제로 팔석정에 새겨진 바위글씨의 의미해석을 시도 하였다. 이를 토대로 팔석정의 본질과 문화경관적 가치를 구명함으로써 팔석정의 보존 및 복원을 위한 기초자료 제공을 목적으로 시도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팔석에 새겨진 바위글씨는 ‘봉래⋅영주⋅방장’의 삼신산(삼신산)과 ‘낚시풍류(조어)⋅잠풍류(오수)⋅바둑풍류(위기) ⋅ 연꽃 감상(상련)⋅도약(도약 또는 비상)’ 등 5가지의 풍류 의미를 함의하며, 이는 탈속을 통한 선계지향을 추구했던 양사언의 자연관과 휴양 개념을 담는 풍류놀이로 인식된다. 특히 최상부에 위치한 바위글씨 봉래(봉래)는 양사언의 호 (호)이자 ‘팔석정’과 ‘봉래(봉래고정)’의 주인인 자아(자아) 인식의 기표(기표)로 상정된다. 팔석정은 양사언의 기질과 그 의 시에 드러난 탈속(탈속)과 비상(비상) 등 도가적 유선(유선)을 지향하는 풍류놀이를 적재적소에 표기함으로써 탈속의 공간으로 재해석한 풍류터의 의미를 담는다. 또한 ‘석지청련’ 바위글씨가 전해지는 팔석정가든의 전정(전정)은 “이백과 동일시되는 양사언의 돌 연못”이란 의미로 이는 곧 ‘봉래고정’을 뜻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종합적으로 팔석정은 조선조 대표적 문사이자 서예가인 봉래 양사언의 봉래고정 터와 함께 팔석에 새긴 여덟 개의 바위글씨의 의미가 지속적으로 유전된 임천정원(임천정원)으로서의 장소특성이 잘 드러난 평창의 대표적 정원유적이다.
        4,200원
        3.
        2014.0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동한(東漢) 비각에는 적지 않은 『시경(詩經)』의 내용이 인용되어 있으나, 직금 전해지는『시경(詩經)』과는 다른 이문(異文)을 형성하고 있다. 이문의 유형은 통 자가, 고금자, 이체자, 동의환용(同義換用), 탈문(脫文) 등이다. 동한 시기의 비문 은 주로 “삼가시(三家詩)”를 인용하고 있는 것이다.
        4,900원
        4.
        2013.08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東漢碑刻引用了不少《詩經》成句,與今本《詩經》形成異文。異文類型有通假字、古今字、異體字、同義換用、脫文等。本文擬對這些異文進行較為全面的整理研究,研究目的主要有兩個:第一,漢碑作為實物文字資料,保留了當時的用字情況,對於這些用字方面的差異進行研究,可以從一個角度揭示當時社會的具體用字情況。第二,通過與已有其他《詩經》版本的比較,可以從一個方面瞭解當時社會使用《詩經》版本的情況。 示例:《校官碑》:“布政優優。” 《詩經·商頌·長髮》:“敷政優優。” 按:《韓詩外傳》引《詩》同今本《詩經》。《春秋左傳·成公二年》、《春秋左傳·昭公二十年》、《春秋繁露·偱天之道》、大徐本《說文解字》“憂”下、《孔子家語·正論解》等引《詩》均作“布政優優”,與東漢碑刻相同。《史記》引《尚書》“敷”字多作“布”。“布”與“敷”通。《山海經·海內經》:“禹、鯀是始布土定九州。”郭注:“布猶敷也。《書》曰堯敷土,定高山大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