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논문은 한·중관계가 크게 경색되는 2016년 사드(THAAD) 배치 이후 양국 지방 정부 간 교류가 어떻게 이루어졌는지 현황과 특징, 문제점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사드 배치 이후 국가 관계가 크게 경색된 이후에도 양국 지방정부는 신규 교류를 체결하는 등 지속적인 교류 관계를 유지하고 있으며, 코로나19로 교류가 급감한 이후 에도 온라인 방식을 통해 교류를 지속하였다. 그리고 교류의 지속은 경색된 국가 관 계의 개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그러나 팬데믹 이후 물리적 교류의 감 소, 교류 대상 지방정부의 중첩성 문제, 교류 대상이 특정 지역에 치중되어 있다는 외형적 문제와 더불어 국제교류의 성과가 실질적이고 가시적이지 못하다는 점, 예산 사용에 관한 문제점 등이 한·중 지방정부 교류에 있어 중요한 문제로 지적된다. 지방 정부 국제교류가 국가 관계를 보완한다는 측면에서 향후 교류의 질적 제고를 위해서 이와 같은 문제들이 반드시 개선되어야 한다.
In the contrasting reports of the THAAD deployment in South Korea, the conflicting national media stances are reflected in the discursive patterns of the Chinese and Korean newspapers' headlines. Grounded upon van Dijk's socio-cognitive perspective in the critical discourse analysis, these patterns are analyzed in terms of the Attitude systems of the Appraisal Theory. The data of headlines are collected from online articles in Chinese and Korean major daily newspapers. The findings show that the newspapers' contrasting stances on the THAAD issues are discursively differentiated into their attitudinal representations of the headlines. These results also demonstrate the discursive strategy of positive self and negative other presentation to establish each nation's solidarity involved in the THAAD issues.
There has been heated debate between China and South Korea over the issue of THAAD deployment in ROK. From the standpoint of China, the deployment is a major issue which concerning the global strategic balance. It seems to China that the THAAD deployment will do nothing to solve the nuclear issue of north Korea,and it is beyond the South Korean defense needs. Moreover, it has seriously threatened China's security interest, undermined Sino-ROK relations and the trust between the big powers. The issue’s essence is the promotion of US deploying global anti missile system. For that ,China and Russia jointly defend the THAAD has become an inevitable trend. The Improvement of Sino-ROK relationship focus on the the national interest and prospects for denucleariz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It means that the two sides have not changed their positions, and the THAAD problem has not really been turned over.
본 연구는 사전지식 수준이 어떠한 조절요인을 통해서 소셜커뮤니케이션 행동을 하는지를 검 토하였다. 정치쟁점 ‘사드’에 대한 사전지식 수준이 관여도와 뉴스신뢰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 한 결과, 관여도 구성 요소중 이슈관여, 가치관여 측면에서 차이를 보였고, 뉴스신뢰도에는 영향 을 미치지 않았다. 정치쟁점 ‘사드’에 대한 사전지식 수준이 소셜커뮤니케이션 행동에 미치는 영 향을 검토한 결과, 정보전달과 정보공유행동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정치쟁점 ‘사드’에 대한 사전지식 수준과 소셜커뮤니케이션 행동의 관계에서 관여도와 뉴스신뢰도가 조절 요인으로 효과가 있는지 살펴보았다. 그 결과 모두 조절요인으로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 다. ‘좋아요’에는 뉴스신뢰도와 가치관여가 조절변인으로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댓글달기’는 가치관여가 가장 높게, 정치관여가 조절효과를 보였다. ‘공유하기’의 경우엔 뉴스신 뢰도, 이슈관여, 정치관여, 가치관여등 모든 요인이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