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3

        1.
        201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비행예방센터 직원의 교수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추후 청소년비행예방센터의 비행 예방 교육기능 강화 방안을 모색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청소년비행예방센터에서 근무하고 있는 직원 272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주요 변수에 성실히 응답하지 않은 6케이스를 제외한 266명을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개인관련 요인 가운데서는 정서적 공감능력과 의사소통능력이, 조직관련 요인들 가운데에는 기관장의 리더십이 교수역량을 유의미하게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시 말해, 정서적 공감능력과 의사소통 능력이 뛰어나고 기관장의 리더십에 대한 긍정적 인식을 가질수록 교수역량이 높게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중심으로 청소년비행예방센터 직원의 비행예방 교육기능 강화를 위한 교수역량 발전방안에 대해 모색해보았다.
        6,400원
        2.
        2013.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One of major education process flaws in the Lembaga Pendidikan Tenaga Kependidikan (LPTK) or Teacher Training Institute in Indonesia is portrayed in the implementation of the Program Pengalaman Lapangan (PPL) or Apprentice Program that has not optimally developed candidate’s proficiency to be competent teachers. Therefore, this research is intended to construct a teaching and learning model of practical teaching that can improve pedagogical competence as the ultimate goal to be achieved by future teacher candidates. The main subjects of this study were undergraduate students of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 Education program conducting their PPL in Indonesia University of Education and Lampung University. Based on the analysis of Wilcoxon Signed Rank Test, on the level of significance of 95% (α = 0,05), the model produced from the research and development process and called theModel Pembelajaran Praktik Mengajar Reflektif (MP2MR) was verified to help improve students competence based on the following benefits,(a) teaching and learning and evaluation designs focused on standardized achievements (b) individual and contextual implementation of problem-solving based process of teaching and learning, and (c) priority to intrinsic evaluation.
        4,300원
        3.
        2013.06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group-based consultations on pre-service primary school teachers' English teaching competence. Twenty nine pre-service teachers in groups of four or five received two rounds of consultations on their micro-teaching demonstrations from two native English instructors. The consultation procedure was three steps: preparation, micro-teaching observation and feedback. The self-evaluation checklists and micro-teaching evaluations were analyzed quantitatively to find how much improvement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micro-teaching had been made. The results indicated that consultations helped the pre-service teachers to improve their English teaching competence in general. The comments written by the consultants and the pre-service teachers about their micro-teaching observations were examined qualitatively. The results showed that consultations enabled the pre-service teachers to realize the strengths and weaknesses in their teaching behavior. Also, the observation of peer teaching and group discussion helped them to gain useful teaching skills and insights on what a good English lesson should be like.
        5,700원
        4.
        2013.0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는 대학에서의 교수역량강화를 위한 전략으로 부각되고 있는 “수업컨설팅”의 효과를 측정하기 위한 객관적 평가지표를 개발하기 위한 연구이다. 이를 위하여 기존 문헌 연구를 통해 교수역량에 관련한 국내 연구들을 바탕으로 교수역량 요인들을 추출해 델파이 설문지를 만들어 전국대학 교수학습개발센터에서 수업컨설팅을 업무를 맡고 있는 실무자 20명의 응답으로 2회에 걸친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였다. 1, 2차 델파이 조사를 통해 선정된 25개 문항을 놓고 3차 조사는 전문가들의 심층토의를 거쳐 최종 교수역량 평가지표 24개 문항을 선정하였고 각 문항이 속할 대영역의 명칭과 문항 분류를 결정하였다. 수업설계와 준비에 해당하는 부분은 대부분이 문항에서 제외되었고, 실제 수업활동에 속하는 문항이 다수가 포함되었다. 이를 통해 개발된 평가지표가 실천적 교육역량에 속하는 것임을 고려한다면, 수업컨설팅 현장에서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9,800원
        5.
        2012.08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Neither Chinese character (Hanzi) learning nor classicalChinese literature instruction should be done in isolation. This paperexplores the way to integrate Hanzi learning, classical Chineseliterature and comprehensive reading in primary schools. It firstdiscusses the hypothetical mental process of children’s readingcompetence development. Guided by this hypothesis, children couldeasily learn Chinese characters in their reading practice, higher gradeprimary school students could learn to fluently read simple classicalChinese articles with proper pause, and they do not need to spend extratime on Chinese learning. In this paper, all of the practices are guidedby the principles of teaching target category in the curriculum designtheories accepted worldwide, such as how we teach students learn tocorrectly write the commonly used Hanzi required by course standards, howwe teach students to write Hanzi in a standard way so that theirhandwriting looks good, how we teach students to learn Pinyin, and howstudents could improve both reading and writing skills in comparativeclassical Chinese literature reading exercises, etc..
        6.
        2004.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paper aims to make some suggestions for the direction and objectives of teaching English as a global language (EGL). To this end, the examination reveals that the number of people who use English as a second or foreign language is much more than that of people who use English as the primary language. Moreover, in many parts of the world the status of English is shifting, being used within the country as well as for international communication. Thus, it will be more likely for the learners to communicate in English with other people than English natives. Communication across cultures demands mutual intelligibility and speaker’s identities. The objective of EGL is to provide intercultural learners with intercultural communicative competence, which is a knowledge of one or more cultures and social identities, and which is also a capacity to discover and relate to new people from other contexts for which they have not been prepared directly. Teaching English as a global language will be effective and prosperous under due consideration of local situations around learners. Several ideas are suggested for the new direction for EGL education.
        5,800원
        7.
        1999.09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10,400원
        8.
        1997.06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6,300원
        9.
        1997.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4,800원
        11.
        2019.0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글로벌 시대에 교사에게 새롭게 요구되는 글로벌 교육역량을 구체화하고, 해외교육 실습 프로그램에 참여한 예비교사들의 글로벌 교육역량과 영어 의사소통능력의 변화를 살펴본 연구이다. 해외교육실습 프로그램은 국내 사전교육과 해외교육실습으로 구성되었다. 국내 사전교육으로 예비교사들은 글로벌 특강, 교수·학습 지도안 작성 및 시연, 영어 회화 수업을 수강했으며, 해외교육실습은 미국 중서부와 서부 지역에서 교육실습을 중심으로 2~3주간 실시되었다. 참여한 예비교사 20명을 대상으로 글로벌 교육역량 변화는 설문지와 예비교사들의 학습일지 및 소감문 자료, 영어 의사소통능력 변화는 사전, 사후에 실시한 영어 의사소통능력평가 결과지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해외교육실습 프로그램 사전, 사후에 실시한 글로벌 교육역량 변화 조사에서 예비교사들의 글로벌 교육역량은 모두 상승하였으며, 각 요인간 상관관계는 비교적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둘째, 예비교사들의 영어 의사소통능력은 20명 중 17명이 1단계에서 4단계 까지 상승한 것으로 분석되어 해외교육실습 프로그램이 긍정적인 영향을 준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해외교육실습 프로그램 전후에 글로벌 교육역량의 각 요인을 분석한 결과, 글로벌 교육이 해역량, 글로벌 교수능력, 문화간 의사소통능력의 평균이 눈에 띄게 향상되었으며 통계적으로 의미가 있었다.
        12.
        2018.07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연구는 지각된 학교조직문화유형, 교사-학생관계 교사효능감, 문화간감수성과 다문화교수역량의 구조적 관계를 살펴보는 것이 주목적이다. 조사대상은 중학교 교사 231명의 설문자료를 분석 하였다. 구조방정식 모형 검증결과, 학교조직문화요인들 중 수직적 개인주의, 수평적 개인주의와 수평적 집단주의는 다문화교수역량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면서 동시에 교사-학생관계 교사효능감과 문화간감수성을 매개로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부분매개모형을 적합한 모형이었다. 그러나 수직적 집단주의는 다문화교수역량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았고, 문화간감수성을 매개로만 다문화교수역량에 간접적인 영향을 주었다. 또한 문화간감수성과 교사-학생관계 교사효능감의 매개 효과의 통계적인 유의성을 살펴보기 위해, 부트스트래핑을 통한 간접효과를 분석한 결과, 수직적 개인주의, 수평적 개인주의와 수평적 집단주의는 95% 신뢰구간에 0이 포함되지 않아 통계적으로 유의한 매개효과가 있었다. 이상의 결과들을 토대로 중학교교사의 다문화교수역량을 향상하기 위해서는 교사의 교사효능감과 문화간감수성을 반영한 수평적인 개인주의 또는 집단주의 조직문화를 조성할 필요가 있다는 점에서 대해 논의하였다.
        13.
        2013.12 KCI 등재후보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교사보조로봇을 활용한 활동이 유아의 사회적 능력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충청남도 공주시에 소재한 K유치원 만 5세 두 학급 유아 38명을 대상으로 실험집단과 통제 집단으로 구분하여 실험을 실시하였다. 유아의 사회적 능력을 측정하기 위한 도구로는 Lafreniere와 Dumas(1995)의 Social Competence and Behavior Evaluation(SCBE)를 안라리(2005)가 번안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t검증 결과에 따르면 실험집단이 통제집단의 유아보다 사회적능력 점수가 높았으며, 유의한 수준에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능력 점수의 하위수준을 따로 분석한 결과는 또래와의 상호작용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으며, 성인과의 상호작용에만 유의미한 차이가 발견되었다. 따라서 교사 보조로봇을 활용한 활동이 유아의 전반적인 사회적 능력에는 긍정적인 영향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지만, 또래와의 상호작용에 유의미한 차이가 없다는 결과는 추후 후속연구가 필요한 부분이라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