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oreign language education has so far put emphasis on the so-called communicative and cultural objective where learners communicate with native speakers in the foreign languages they have learned and then understand and execute the native speakers’ cultures. However, the modern society, which has rapidly become a global village with the development of the means of communication, expects foreign language education to play a new role. This new role is taking into account not only the practical aspect of the communication, but also the educational goal of cultivating the ability to properly understand others’ culture and hold a critical attitude toward one’s own culture. The intercultural approach is emerging as a new approach that enables foreign language education to achieve this goal. 2007 Amended Curriculum and 2009 Amended Curriculum used the term, “intercultural”, but did not specifically state it, and thus it was little reflected in the textbooks. As a method of practically resolving this problem, we made an intercultural teaching plan by utilizing the cultural contents in the current textbooks.
본고는 중학생을 대상으로 하여 실제 수업 사례를 통해 바람직한 한문 문법 지도 방안을 고찰한 것이다. 구안 과정과 학생들의 반응 및 그에 따른 피드백 등을 상세하고 체계적으로 기술함으로써 본고에서 마련한 방안들이 실제 학교 현장에서 일정하게 활용될 수 있도록 하였다. 문법 지도 방안은 문법 의식 제고, 한자 및 단어 의미 제시, 문장 제시․설명 등 3가지 측면을 중심으로 마련되었다. 문법 의식 제고 방안으로는 교과융합 방식을 통한 문법 용어 이해, 한문과 국어의 차이를 통한 어순의 이해 등을 거론하였고, 한자 및 단어 의미 제시 방안으로는 의미항목과 용법의의 동시 제시, 영어․국어와의 대조분석적 방법을 통한 접속사의 이해 등을 제안하였다. 문장 제시․설명 방안으로는 대구 문장의 적절한 활용, 오류를 줄이기 위한 방법 등을 기술하였다. 아울러 본고에서는 배움중심학습, 모듬학습 등에서 문법을 통한 독해 수업이 학생들의 흥미를 유발하고 적극적인 수업 참여를 일으키며 사고력을 증진시킬 수 있다는 것에 대한 시론적인 의견을 개진하였다.
본 연구는 漢文敎育 方法論에 대한 內容으로 協同學習의 여러 模型 중 Jigsaw 模型 授業에 관한 것이다. 中․高等學校 漢文科 授業에서 學生들의 授業 興味度는 매우 낮은 편이기 때문에 敎師 中心의 直接 敎授法으로는 漢文 學習의 興味 誘發 및 學業成就에는 限界가 있다. 協同 學習은 學習 目標 達成을 위하여 학생들이 소집단을 구성하여 相互 協力하는 授業이다. 학생들은 協同學習 과정을 통하여 相互 協力하는 社會性과 參與를 통한 自尊感을 기르며 高次元的 思考에 接近한다. 이러한 協同學習은 學業成就度를 높일 뿐만 아니라 정의적 태도와 人性의 涵養에도 肯定的 影響을 미친다는 것이 支配的인 觀點이다.協同學習을 適用하는 方法에는 학생들이 授業의 장면에서 단순하게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協力하는 方法과 協同學習 模型 중 하나의 模型을 中心으로 진행하는 방법과 여러 가지 協同學習模型을 混合하여 使用하는 方法 등이 있다. 이 중 Jigsaw 模型 授業은 敎師-學生의 관계보다는 學生-學生의 協力과 支持를 통해 배움이 일어나도록 설계된 模型으로 모든 학생이 授業의 場面에 參與하고 自身이 맡은 專門家 活動 영역에 책무성을 가지는 授業 模型으로 授業에서 興味와 參與가 낮은 학생들에게 가장 適切한 模型이라 할 수 있다. Jigsaw 模型 授業은 實行 方法에 따라 JigsawⅠ, JigsawⅡ, JigsawⅢ, JigsawⅣ로 나눌 수 있으며, 漢文 授業에서 이 모든 模型을 適用할 수 있다.Jigsaw 模型 授業은 學習者가 쉽고 재미있게 學習할 수 있으며 다양한 學習者의 水準을 考慮한 模型으로 漢文과 授業에 대한 학생들의 낮은 興味度, 評價 및 보상의 미약성, 낮은 성취도 등에 대한 代案的 方法의 하나가 될 것이다. 또한 人性 强化 및 學生 參與度가 높은 授業으로 學習者의 責務性을 强調하여 漢文科 授業 전반에 걸쳐서 體系的으로 適用할 수 있는 授業 模型이다. 이러한 Jigsaw 模型 授業의 大體的인 節次는 ‘집단 구성→개인적 전문과제 부과→전문과제별 모임 및 전문가집단에서의 협동학습→원소속 집단에서의 협동학습→평가 및 보상’의 순서로 진행된다. 高等學校 2학년을 대상으로 실시한 實際的인 Jigsaw 模型 授業에서 학생들의 肯定的인 評價도 있었지만, 學習 態度의 산만함, 원활하지 않은 討論과 意思疏通 등의 과제를 남겼다. Jigsaw 模型 授業을 學校 現場에서 活性化하기 위해서는 漢文科 授業에서 修行評價의 擴大, 敎師 硏修 機會 擴大를 통한 敎授․學習 力量 强化 및 授業 컨설팅 실시 등과 學習者에 대한 폭넓은 理解가 要求된다.
이 글의 목적은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 해설에 따른 교수․학습 실행 방안을 모 색하기 위해 고려해야 될 점과 실행의 곤란 요인을 규명하고, 효율적인 실행 방안 을 모색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 해설에 따른 실행의 전제 를 고찰해 보고, 단위 학교에서 개정 교육과정의 효율적인 실행을 위해 학생 관련 자료를 어떻게 수집할 수 있는가를 살펴보았다.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 해설에 따라 효율적인 교수․학습을 실행하기 위해서 는 한문과 교수․학습 관련 연구가 활성화되고, 한문과 교수․학습 관련 변인에 대한 고려가 선행되어야 한다. 한문과 교수․학습 관련 연구의 활성화는 교수․ 학습 관련 개념의 정립, 다양한 사례 연구, 내용 영역별 교수․학습 모형 및 방법 의 개발을 구체적으로 방안으로 제시하였다.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교수․학습 관련 변인은 교육과정 자체, 학습자 변인, 교사 변인, 텍스트 변인, 상황 맥락을 제시하였다. 이 중 교사는 교육과정 전달자로서 교육과정 성공의 핵심이라 할 수있다. 한문과 교육과정을 실행하는 교사는 교육과정의 내용을 학생들의 학습 능력에 따라 재구성할 수 있어야 한다. 학생들의 학습 능력과 학습 곤란 요인을 파악은 실행의 기초작업이다. 연구자는 이를 위해 검사와 설문을 실시하여 그 결과를 분 석하였다. 분석 결과 해당 학생들은 한문 독해의 기초 능력이 부족하며 그 원인은 문맥에 따른 한자의 뜻 파악 능력 부족, 직역 능력 부족 등이었다. 또한 한문 학습 에 대해 흥미를 느끼지 못하는 학생은 한문 학습에 동기부여가 이루어지지 않고, 한문 교과를 他者化하려는 경향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연구자는 이런 결과를 토대로 향후 교수․학습 전략을 수정․보완해야 하는 과제를 부여받게 되었다.
본고는 현재 서울시의 소재 초등학교를 중심으로 한자교육의 현황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그에 대한 문제를 발견하고 그에 대한 대안을 제시하였다. 設問 調査를 통한 初等學校 漢字敎育의 現況을 5개의 항목으로 살펴보았고, 이에 관한 5개의 문제점을 지적하였다. 그리고 이의 해결책을 아울러 제시하였고, 이와 관련하여 3개항의 보완책을 제안하였다.
본고의 목적은 일본인 학습자에게 효율적인 한국어 연결어미 ‘-아/어서’와 ‘-고’에 대한 학습방안을 모색하는 데 있다. 먼저 한국어 연결어미 ‘-아/어서’와 ‘-고’에 대응하는 일본어 접속조사 ‘-て’의 의미 용법을 한일 대조의 입장에서 살펴보았다. 일본어의 ‘-て’의 용법을 분석한 결과, 순서, 나열, 수단․방법, 원인․이유, 역접 등 거의 모든 연결 관계에 걸쳐서 나타났다. 이에 오류의 원인을 과잉일반화와 모국어의 간섭에 주안점을 두고 학습자의 오류양상을 형태상의 시제오류와 의미상의 대치오류로 분류하였다. 시제오류에서는 ‘-ので’의 간섭으로 보고 반복적 활용연습에 초점을 두고 학습방안을 제시하였다. 대치오류에서는 ‘-て’의 과잉일반화로 ‘-아/어서’와 ‘-고’에 대치되는것으로 보고 초급에서 중점으로 다루는 순차성과 수단 방법의 용법으로 범위를 제한하여 교수 학습방안을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