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9

        1.
        202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조제프 말로드 윌리엄 터너의 <노예선>은 인간 경험의 극적이고 감정적인 측면을 포착 하는 사례다. 1840년에 완성된 이 작품은 격렬한 폭풍 속에서 노예가 된 아프리카인들이 배 에서 밖으로 던져지는 비인간적인 장면을 묘사한다. 또한 이 작품은 대서양 횡단 노예무역의 잔인성과 경제적 이익을 위한 인간 착취의 윤리적 의미에 대한 회화적 증언이다. 그러나 노 예무역의 열악한 환경은 종 호 사건은 물론 노예무역을 둘러싼 복잡한 법적 문제를 발생시 켰다. 본 연구는 <노예선>이 ‘노예제 폐지’나 ‘노예무역폐지’와 같은 사안들과 결합하는 과정 에서 파생되는 메시지를 어떻게 시각적으로 형상화시키고 있는지를 사회사적 관점에서 분석 한다. 이를 통해 노예제도에 함축된 정치경제적 맥락과 작가의 조형 의식 형성 간의 관계성 을 조명하여 터너의 작품 세계에 대한 기존의 인식론적 지형도를 확장시키는데 집중한다.
        8,100원
        2.
        2021.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Ms. Hee Choon Oh was a Jeju Haenyeo(woman diver) and one of the few surviving victims of the Jeju 4.3 (1948). As a Haenyeo: Jeju society was very poor at the time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nd the division of the two Korea, especially after the Korean War, so she had to work regardless of gender. It was hard to go into the sea, but it was the only thing to support my family. In retrospect, Going out to work in the sea was like a life-threatening adventure every day. While there were many emergency moments, She becomes one with the sea and forgot all the pain. After having spent a lot of time together with the sea, I had to stop working as a Haenyeo because it was hard to take care of nine children after having heart surgery. I was able to receive Honorary Haenyeo through continuous exchanges and dedication to the society. As a victim of the Jeju 4.3: I had no choice but to explain it why I had to do work as a Haenyeo and to understand my life. I am a woman who chose the job of Haenyeo, but I have lived through the pain of the dark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of Korea. The unfair one-year prison life that I wanted to hide even from my children hurt me all my life. Over the past 70 years, sharing pain with the sea, neighbors, and family, serving the region, and hopefully waiting for a better society and justice to come. and finally It was not until 2019, 70 years after 1948, that I was officially acquitted by a Korean court. I regained my honor as a Haenyeo and was able to get rid of my deep sadness.
        4,000원
        3.
        2020.07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형사소송에서 과학적 증거의 증거능력과 증명력은 중요한 쟁점 중 하나이다. 과학적 증거 가운데 일부는 사람의 판단이 개입되지 않은 순수한 ‘머신 출력물’이다. 이러한 과학적 증거도 실무상 감정서의 형태로 제출되고 있다. 그런데 기술 발전에 따라 일상생활에도 다양한 머신이 사용됨에 따라 누구나 이해하는 머신의 경우에는 그 출력물이 직접 법정에 제출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머신 증언’이 갖는 증거법적 문제는 아직 많이 검토되지 않았다. 다른 진술을 단순히 전달하는 역할만을 하는 머신 등의 경우에는 신빙성이 중요하지 않을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머신은 이른바 블랙박스 위험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신빙성이 문제된다. 그러나 현재의 전문법칙으로는 머신 증언의 증거법적 문제에 적절히 대처하기 어렵다. 선행연구는 머신 증언에 적용할 수 있는 증거 법적 안전장치들을 제안하고 있다. 선행연구가 제안하고 있는 절차적 요건, 증거개시, 신뢰성 기준, 탄핵증거는 대체로 우리나라 형사법 체계에서도 충분히 받아들여질 수 있다고 보인다. 다만, 절차적 요건이 심히 지켜지지 않아 신빙성이 의심스러운 예외적인 경우에는 증거능력을 부정할 수 있는 일반적인 법리가 설시될 필요가 있다. 또한 현행 형사소송법의 증거개시 조항에 제기되고 있는 것처럼, 증거개시가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실효적인 강제수단이 마련될 필요가 있다. 한편 판례가 신뢰성 기준을 받아들이고 있는 것으로 보이지만, 머신 증언의 유형을 나누어 보다 구체적인 법리가 설시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 된다. 그리고 피고인이 머신 증언에 대해 효과적 인 탄핵증거를 제출할 수 있으려면 변호인의 조력을 받을 권리를 확장하여 전문가의 조력을 받을 수 있는 방안이 마련될 필요가 있다.
        4,300원
        5.
        200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8,300원
        7.
        2019.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거문도인들은 오래전부터 울릉도에서 배를 만들고 독도에서 물개 잡이를 했으나 그들은 기록을 남기지 않았다. 거기에다 1900년 조선 조정의 금지령과 일본인 벌목공의 목재 남벌로 울릉도에서 배를 못 만들게 되자, 거문도인들의 독도 도항의 역사는 단절되어버렸다. 한동안 단절됐던 독도 도항의 역사는 1960년대 김윤삼 박운학 두 거문도 노인의 언론사 인터뷰를 통해 일반에게 알려지게 되었다. 당시 거문도인들이 독도에까지 과연 갔는지, 독도에 가서는 무엇을 했는지는 인터뷰 기사 검증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김윤삼과 박운학은 1895년부터 1903년까지 독도에 갔다고 증언했는데 이는 러일전쟁 (1904년) 직전의 당시 시대 상황과 모순됨이 없이 일치한다. 또한, 독도에 가서는 물개를 잡고 미역・전복을 채취했다고 증언했는데, 물개기름과 해구신은 해상교역활동을 하던 거문도인들에게는 고가로 거래할 수 있는 상품이었다. 거문도인들이 본 독도 모습은 '큰 섬 두 개와 작은 섬 여러 개'였으며, '큰섬 두개 사이에 뗏목을 두고 작업을 하였다'는 증언은 실제 모습과 일치하여 신뢰성을 더한다. 독도에 나무가 있다는 기록은 거의 찾을 수 없으며, 독도 연구자들 조차도 독도에 나무가 있다고는 인식하고 있지 않은데도, 거문도인 박운학은 독도의 바위틈에 자란 나무를 꺾어서 울릉 도에서 배를 만들 때 못으로 썼다고 증언했다. 이는 역설적으로 그들이 독도에 갔다는 주장이 사실이라는 것을 입증하고 있다. 울릉도 주민들의 증언에 의하면 과거에는 독도 바위틈에 나무가 자라고 있었다고 한다. 거문도인들에게 울릉도는 보물섬, 독도는 조상 전래의 어장이었다. 울릉도개척령 이전은 물론이고 이후에도 울릉도와 독도를 지킨 주역은 거문도인이었다. 특히 거문도인들이 울릉도개척령 이후에 독도에서 조업활동을 한 것은 국제법적으로도 실효지배한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조선(造船)과 미역 채취에 대해서 세금을 납부하고, 일본인 벌목공의 목재 남벌에 대항해서 선봉에서 싸운 것도 거문도인들이었다. 거문도인들의 일본인 벌목공과의 잦은 충돌은 조선중앙 정부의 관심을 이끌어내어, 1899년 황성신문의 '울릉도 사황' 보도와, 1900년의 대한제국 칙령 41호가 있게 하는데 간접적으로 크게 기여했다.
        8.
        2011.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Criminal procedure holds the discovery of substantive truth as its highest value. However, this fact-finding function cannot be the sole aim of criminal procedure to be attained at all costs. Rather, it is constrained by the principles of due process and a timely trial. Therefore, although the Criminal Code provides for the crime of perjury which deters witnesses from hindering a fair trial with false testimony, the Criminal Procedure Code partially concedes the fact-finding function of criminal procedure by providing for the witness’s right to refuse testimony as a function of due process.This right to refuse testimony is enforced by the obligation to inform the witness on the existence of this right. The question is, if the judge questions a witness in violation of the right to refuse testimony and the obligation to inform, and the witness makes a false statement under oath, can the witness be punished for perjury? This is a question of weighing the values of substantive truth and the principle of due process when they are in contradiction, as due process is the source of the right to refuse testimony and, in certain circumstances, constitutes a limit on the ideal of substantive fact-finding.The decisions in this study take the position that the standard for finding a witness guilty on perjury should be whether there has been an actual hindrance to exercise the right to refuse testimony due to the failure to inform. In this sense, the cases give more weight to the due process considerations of witness examination than previous Korean Supreme Court cases. However, the studied cases are incorrect in limiting the affirmative defense to perjury to those cases where the failure to inform resulted in an actual hindrance to exercise the right. The witness is an individual who bears the obligation to appear at court even though it is not the witness’s own trial, swear a legally binding oath, and testify, all in the interest of substantive fact-finding. The Criminal Procedure Code obligates these witnesses to give testimony, but also gives them the right to refuse testimony where the witness may incriminate himself or herself or close family members. The obligation to inform the witness of this right forms a procedural safeguard to enforce the right. Therefore, the presiding judge’s failure to inform the witness of the existence of the right is a violation of due process and the testimony is given illegally, meaning the witness should not be found guilty of perjury even if the testimony was false.The obligation to inform the witness of the right to refuse testimony exists to guarantee the right to refuse testimony by reminding the witness of the right, thereby giving the witness the ample opportunity to reached an informed decision on whether to stay silent or testify. Therefore, the obligation to inform (Article 160 of the Criminal Procedure Code) guarantees the exercise of this right even when the witness does not know he or she has this right, or is ignorant of how to exercise the right. If the presiding judge violates this regulation and compels the witness to testify without informing the witness that the witness has the right not to testify, such an act on the judge’s part is far more than a minor infraction that has no effect on the legal existence of the crime of perjury. In the cases where the court has failed to inform the holder of the right to refuse testimony, there is no expectation that the witness in question will not commit perjury. It is worth noting that the newly amended Criminal Procedure Code now provides for the exclusion of illegal evidence, and due process is increasingly important at trial as well as during the investigative phase. Therefore, a failure to adhere to laws protecting the witness, especially the failure to inform the witness of a right to refuse testimony should be a full defense to the crime of perjury.
        9.
        2007.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1983, Supreme Court ruled that policemen could not testify to the defendant's confess when the defendant objected. The Court reasoned that since the Code of Criminal Procedure denied the admissibility of the documents which was made by the police and contained the defendant's confess when the defendant object, the policeman was not allowed to testify to that effect, either. The Code of Criminal Procedure, however, does not explicitly prohibit the use of such testimony. As for the document which contains the confess of the defendant, it is extremely difficult to contest. Because the defendant cannot cross-exam the policeman who interrogated the defendant or the defendant himself. But as for the testimony, the reliability can be guaranteed by the cross-examination. In addition, such testimony often includes first-handed, accurate information and cannot be obtained otherwise. This study is an attempt to illustrate such an occasion. In this case which was ruled in 2005, Supreme Court once again denied the admissibility of the interrogator's testimony. However there are some special elements to be considered. Here, the policeman met the defendant near the crime scene just after he had committed homicide; the setting was not interrogatory; the defendant freely admitted that he had killed the victim. If he had met a civilian, he would have told the same story. In situation like this, there is no danger of misconception, manipulation, or memory lapse. This case clearly shows that under certain circumstance it is necessary, sometimes desirable to admit interrogators' testimony. In conclusion, the admissibility of the policeman's testimony should not be decided uniformly. Rather, it should be decided case by case in the light of reliabil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