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상에서의 안전한 의사소통은 선박 운항의 핵심 요소로, 국제해사기구(IMO)는 SMCP(Standard Marine Communication Phrases)를 제정하여 선내외 교신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SMCP를 포함한 해사영어는 효과적이고 정확한 의사소통을 위해 일반 영어와는 다 른 문법적, 어휘적, 구조적 특성을 반영하고 있으며, 간결성과 명확성에 초점이 맞추어져 표준화되어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상 용 LLM 모델의 해사영어 활용 능력을 PHP Text Similarity 알고리즘과 BERT 기반 모델을 활용하여 평가하였다. 먼저 ChatGPT, Google Gemini, Meta LLaMA 3 70B Instruct 모델을 대상으로 SMCP 기반 문장 구성, 용어 정의, 빈칸 채우기 문제를 포함한 총 60문항을 활용하여 성능을 비교 분석하였다. 이후 해사고등학교 학생들의 시험 결과와 LLM 모델의 결과를 비교하여, LLM이 실제 해기사 교육 수준과 비교 했을 때 어느 정도의 해사영어 이해 및 문장 구성 능력을 갖추었는지 평가하였다. 대체적으로 LLM 모델들은 높은 정답률을 보였으나, 표 준화된 문구를 정확하게 활용하거나 관용적으로 사용되는 해사영어 표현을 이해하고 적용하는 데 한계점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 는 해기교육기관 및 실무 현장에서 상용 LLM 모델의 해사영어 활용 가능성을 평가하는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며, 향 후 보다 정교한 모델을 대상으로 추가연구가 필요하다.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s of text length and question type on Korean EFL readers’ reading comprehension of the fill-in-the-blank items in Korean CSAT. A total of 100 Korean EFL college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study. After divided into three different proficiency groups, the participants took a reading comprehension test which consisted of 4 reading passages (2 short and 2 long) from the Korean CSAT, followed by multiple-choice fill-in-the-blank questions and open-ended inference questions. The longer version of the passages was made from its originally restored version in which one or two paragraphs were adde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college students performed better on the long passages than the short ones. In addition, the college students’ reading comprehension test performance was affect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type of questions. The findings of the study provided implications on how to select and construct reading passages for high-stake nationwide examinations, such as the Korean CSAT.
This paper utilized the dual coding theory (Yang, Hlee, Lee, & Koo, 2017) and theory of latent state–trait (LST) (Steyer, Schmitt and Eid, 1999) to the application of consumer impulse purchasing behaviors and further revealed that the number of reaching can thus be identified as a trigger for impulse buying on social media. Three inputs (number of color, text length, number of photo) and three outputs (number of likes; number of comments, and shares; and number of clicks on post) are used to develop this marketing message performance assessment model in the social medial based on the literature and expert opinions through data envelopment analysis (DEA). The disaggregate efficiencies are also assessed in order to improve the individual input resource performance in a total-factor framework. Resource-saving target ratios (RSTR) for 60 marketing message in a five-star hotel chain. The empirical findings indicate that the average total-factor text length efficiency (TFTLE) is worse than the total-factor photo efficiency (TFPE) in the Facebook platform in the five-star hotel chain. This result suggests that photo message is more attractive for viewer than the text message. Managerial discussion and the future studies are discussed.
본 연구에서는 50대 택시 운전자를 대상으로 동작 신호인 Jerk-Cost function(JC)와 차간거리의 분산계수(Anterior-Posterior Coefficient of Variation, APCV), 차선이격거리의 분산계수(Medial-Lateral Coefficient of Variation, MLCV)와 같은 차량 통제 데이터를 이용하여 운전 중 문자 메시지 전송 또는 네비게이션 검색과 같은 동시 과제 수행이 운전 수행 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남성 14명과 여성 14명을 대상으로 실험을 진행하였다. 피험자는 일정 속도(80km/hr or 100km/hr)로 주행하는 선행 차량과 일정 거리 30m를 유지하며 주행하도록 하였다. 처음 1분간은 운전만을 수행하게 하였으며, 다음 1분 동안은 운전만을 수행하거나 운전과 함께 동시 과제를 수행하도록 하였다. MLCV와 APCV는 80km/hr와 100km/hr 주행 시 Driving only에 비해 Driving + Sending Text Message(STM)와 Driving + Searching Navigation(SN)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JC 또한 주행 시 Driving only에 비해 Driving + STM과 Driving + SN에서 증가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운전 경력이 길고 운전 전문가라고 할 수 있는 50대 택시 운전자도 운전만을 수행하는 경우에 비해 운전과 함께 문자 메시지 전송 또는 네비게이션 검색 과제를 수행하게 될 경우 동작 패턴이 거칠어지고 차량 통제가 어려워진다는 사실을 도출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