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

        1.
        2017.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rehend the change of the terms and the structure of the Pungpanbu in the T-shaped wooden shrines in the later Joseon period through the Salleung-dogamuigwes. Following conclusions have been reached through the study. First, the terms in the Salleung-dogamuigwes were similar to Yeonggeon-dogamuigwes but timing difference was verified. The word about the frame of Pungpanbu was different from the current. Second, in accordance with the extended of Pungpanbu, the members of frame of Pungpanbu had been increased and it had been changed to the lattice. The members of Pungpanbu used as plan dimensions and the size of the members had been gradually increased. Third, the Pungpanbu had been extended to protect the side of T-shaped wooden shrines. At the same time, the range of Chukjungbang had been extended. This was the result of the efforts of the era to reduce the range of plaster. This affected the overall elevation change of T-shaped wooden shrines.
        4,300원
        2.
        2016.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rehend the procurement system of iron materials and the production process of ironwork in royal tombs constructions in the later Joseon period. For this purpose, sixteen Sanneung-uigwes were analyzed. The following conclusions have been reached through the study. First, it was procuring five types of iron materials in constructions of royal tombs. Sincheol had been supplied up to the mid- 18th century. On the other hand, the amount of jeongcheol was increased rapidly. Because of the procurement system of initial tools was changed from bokjeong(a kind of tribute) to self-production in the Noyaso. Second, the government stockpiles were utilized as much as possible than bokjeong to manage the limited construction period and sudden construction start. Third, before moving the site of tombs, the melting furnace was installed in the Gungisi(armament factory). The amount of the melting furnace was increased from 5 to 8 since producing the initial tools in the Noyaso. Fourth, six kinds of master artisans were worked in the field of producing ironwork. Metal worker was assigned to one person per melting furnace. Fifth, the quality of final iron materials was controlled by use. Since the 19th century, it had been produced enhanced ironwork.
        4,600원
        3.
        2008.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고는 조선후기 여항인의 교육양상과 그것이 지니는 의의에 대해 고찰하는 것 을 목적으로 하였다. 조선후기 여항인들은 사대부가의 자제들을 비롯하여 여항인 과 하층민 등 광범위한 계층을 대상으로 교육활동을 전개하였다. 그 형태는 여항 인에게는 書堂방식의 강학이, 사대부를 대상으로 행해진 강학은 塾師의 형태를 띠고 있다. 또한, 조선후기 여항인들은 규모의 차이는 있었지만, 한문학 전반에 관한 지식 과 유교적 교양뿐만 아니라 학문, 처세 등 삶의 자세에 관한 全人敎育차원의 교 육을 실시했는데, 이러한 조선후기 여항인의 교육은 여항인 내부에 문식층을 증가 시키는 결과를 낳았다. 그리고 이는 점차 동류의식으로 발전하며 높은 수준의 ‘여 항문학’을 산생하는 데 일조하는 한편, 여항인에 대한 기존의 시각을 일부 교정하 는 역할을 하기도 했다.
        6,700원
        4.
        2020.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지금까지 울릉도 수토에 관한 각종 사례를 종합하고 누락된 수토 사례를 추정하여 울릉도 수토의 지속성과 빈번함을 확인하였고, 그와 관련하여 울릉도 수토 자료에 나타나는 울릉도 특산물 이용 형태를 통해서 조선 후기 사회의 울릉도 인식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확인된 사례와 추정한 사례를 통해서 1694년부터 1894년까지 최대 84회의 울릉도 수토가 시행되었을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지속적인 수토와 울릉도 특산물의 우수성 때문에 왕실에서 서민에 이르기까지 울릉도의 특산물을 이용하였고, 연안 백성들은 매년 울릉도로 항해하여 울릉도 특산물을 배 한가득 채취하였다. 함경도, 강원도, 경상도, 전라도에 이르는 연안에서 출발하는 많은 배들이 울릉도로 항해 함에 따라 울릉도는 이들 연안 백성들의 생활권이 되었다. 독도는 울릉도의 시각공간 안에 있다. 따라서 독도는 좁게는 울릉도 생활권에 속하면서, 넓게는 연안의 생활권에 속하게 된다. 앞으로는 연안 백성들과 울릉도 및 독도와의 관계를 체계적으로 연구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