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뮤지컬 넘버의 샘플링을 통해 재창작 된 현대팝송을 분석하여 그 특징을 알아 보고, 이를 통해 뮤지컬 넘버의 샘플링이 대중음악에 기여하는 효과를 분석함으로써 음악적 창작 및 재현에 새로운 시각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해 원작 뮤지컬의 개요 및 넘버 분석을 통해 원곡의 분위기와 쓰임새를 파악한 후, 가사 변형 양상을 통해 샘플링 곡의 메시지를 분석하고, 전체적인 음악 구성의 비교와 편곡 부분을 대조하여 살펴보는 연구 방법을 사용하였다 세 곡의 샘플링 양상을 분석한 결과, 대중음악에서의 뮤지컬 넘버 샘플링은 다섯 가지 유형의 효과를 도출 할 수 있었다. 첫째, 친숙한 멜로디의 사용으로 대중들과의 거리감을 좁힐 수 있는 가능성이 생긴 다. 둘째, 뮤지컬 곡이 가진 서사적 특성을 통해 주제의식을 강화시킬 수 있다. 셋째, 자유로운 가사 변형으로 원곡과 다른 메시지를 부각시킬 수 있다. 넷째, 편곡이나 새로운 가창방식을 통해 새로운 곡으로 재창조하여 신선한 느낌을 자아낼 수 있다. 다섯째, 앞서 나열한 네 가지의 효과를 이용하여 아티스트가 대중에게 전달하고자 하는 메시지를 매우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본 연구자는 대중음악에서의 뮤지컬 넘버 사용이 전 세계 다양한 청자들의 뮤지컬 진입장벽을 낮출 수 있고, 두 장르간의 융합이 양측의 인지도에 좋은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하였다. 향 후, 본 연구가 앞으로의 대중음악 재창작에 다양한 관점을 제공하고, 국내 음악 산업 발전에도 기여할 수 있는 양분이 되길 기대한다.
본 논문은 베베른의 ≪3개의 가곡≫ op. 25, no. 2 작품을 스트라우스(Joseph Straus)의 총체 적 성부진행(Total Voice Leading)을 통해 음향 사이 내재된 모든 성부진행의 가능성들을 조명하 고, 음향 간 성부진행의 관계를 다각적 관점에서 분석한 연구이다. ‘음향 간 성부진행’ 분석을 통 해, 베베른의 가곡 작품에 내재되어 있는 음향 간 총체적 성부진행 구조와 시의 구조, 시에 내재 된 의미들의 의미화 과정을 밝히는 것이 본 논문의 목적이다. 분석 결과, 다른 가사가 등장할 때 선율은 실제로 다른 선율 음정 구조, 다른 선율 방향성, 다른 다이내믹, 다른 텍스쳐 등으로 등장 하지만 다른 시어에 내재된 의미가 유기적으로 연결되는 부분은 음향 간 성부진행의 총체적 가능 성을 통해 연결 구조를 확보하며 음향 간 성부진행에서 ‘의미의 구조화’를 확립하고 있음을 확인 하였다. 본 연구는 무조음악의 음향 진행의 근저에 내재된 총체적 성부진행을 통해 시의 의미적 구조와 음향 간 성부진행이 어떻게 연결되어 ‘의미화’ 될 수 있는지 조명한다.
Advertisement songs play an important role on species recognition and mate choice in cicadas. Males generate complex species-specific calling songs to attract conspecific females. In central Korea, Cryptotympana atrata, Meimuna mongolica and Hyalessa fuscata are widely distributed, yet their songs have not been described. We analyzed acoustic characteristics of these cicadas’ advertisement songs in temporal and spectral domains. In sum, C. atrata’s songs followed the pulse-echeme pattern, in which each echeme consisted of groups of pulses with the peak frequency of 6423 ± 589 Hz. In M. mongolica, the calling song had the pulse-echeme-combined echeme-phrase structure. A group of three echemes formed one combined echeme, and one full phrase comprised hundreds of combined echemes. Lastly, the calling song of H. fuscata was constructed of the pulseecheme- phrase structure, in which one full phrase included a train of low and high-frequency echemes and the ending echeme at the end of the phrase. The carrier frequency of low frequency echeme was 4576 ± 151 Hz and that of high frequency one was 14089 ± 628 Hz.
Cryptic species are hardly distinguished by their morphology but reproductively isolated. To understand the evolution and speciation of cryptic species, differentiations between cryptic species should be studied using multiple approaches including morphological analysis. Two of three species under the genus Loxoblemmus in Korea are morphologically similar and may constitute the cryptic species. We studied the differentiations in morphology, calling songs, and genetic sequences to understand patterns of speciation in these three species. Although L.doenitzi was easily distinguished from the other two species based on morphology, the distributions of the number of file teeth and wing morphology overlapped in L. campestris and L. equestris. However, there were clear differentiations in some calling song characters among three cricket species. The number of pulses in a chirp was two in L.doenitzi and four in L. campestris, but that was greater than or equal to six in L. equestris. The genetic sequence analyses using 16S rRNA and COI barcode revealed that L. doenitzi diverged off earlier from the other two species. Calling songs of L. campestris and L. equestris largely differed in spite of their short divergence time. Our results suggest that the speciation processes may involve differentiation in calling songs in the Loxoblemmus complex.
The genus Loxoblemmus has three speices in Korea: L. doenitzi, L. campestris and L. equestris. Males of L. doenitzi have flat heads and triangular horns on both sides of their frons, whereas males of L. campestris and L. equestris have flat heads and no horns. The latter two species are not clearly distinguished based on morphology and thus may constitute cryptic species. We studied the divergence in morphology, calling songs, and genetic sequences to understand patterns of differentiation of these three species. Distributions of the number of file teeth and wing morphology overlapped in L. campestris and L. equestris. In calling songs, the number of pulses in a chirp was four in L. campestris, but that was greater than or equal to six in L. equestris. The genetic sequence analyses using 16S rRNA and COI barcode revealed that L. doenitzi diverged off earlier from the other two species. Thus, the genetic data were congruent with the calling song data in three Loxoblemmus species. Our results suggest that the speciation processes may be closely related to differentiation in calling songs in the Loxoblemmus comple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