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repellency, insecticidal activity and repellency duration effect of dagalet thyme, Thymus quinquescostatus against Asian tiger mosquito, Aedes albopictus larvae and adults was investigated. Whole plant body of T. quinquescostatus proved to have the repellent activity of 91.2% against A. albopictus adults. The constituents of T. quinquescostatus were analyzed using GC-MS as follows: α -pinene (1.1%), α-thujene (2.7%), camphene (1.3%), myrcene (4.7%), α-terpinene (5.0%), ɤ-terpinene (33.0%), ρ-cymene (8.3%), β-caryophyllene (4.0%), β-bisabolene (8.9%), thymol (29.9%), and carvacrol (1.2%). Among them, thymol has the perfect repellency on A. albopictus adults and confirmed the electrophysiological response on the antenna of A. albopictus adults. To enhance the maintenance, vanillin was added. Duration of effectiveness of mixture with vanillin (0.18 : 0.36 ㎕/㎠) were significantly more prolonged than thymol alone. The constituents on its original oils were applied onto A. albopictus larvae. The thymol, α-terpinene and carvacrol (LC50 = 9 mg litre-1) revealed to have high insecticidal activity.
지역별로 자생하고 있는 백리향 지상부의 휘발성 향기 성분 및 방부성 물질인 phenols의 성분을 조사하기 위해 제주도 고산종, 제주도 중간산종, 경기도, 울릉도, 강원도 서식종을 TD-GC-MSD로 분석한 결과 제주도 중간산종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62종의 물질이 조사되었으며 함량도 7365.22μg/m3으로 높은 농도를 나타냈다. 또한 백리향의 휘발성 향기성분 중 제주도 중간산종이 다른 조사지역보다 상대적으로 thymol과 carvacrol의 phenol성 물질이 다른 휘발성분에 비해 35.92%로 높은 결과를 보였다.
지역별 백리향 지상부 잎의 phenols 성분의 효과적인 추출을 알아보기 위해 추출용매를 달리하여 추출하고, GC-MS로 분석한 결과thymol과 carvacrol을 포함한 phenol함량이 methanol 추출 시 울릉도, 제주 중간산지, 경기도, 제주도 고산지, 강원도 종이 각각 92.21, 84.92, 77.43, 74.16, 73.51%로 추출되었으며, ethanol 추출 시 전체 추출 성분 중 강원도, 제주도 중간산종, 경기도, 울릉도, 제주고산종이 각각 93.64, 93.62, 90.74, 89.52, 72.65% 순으로 나타났다. Hexane을 용매로 추출하였을 때에는 강원도와 울릉도 서식의 백리향은 거의 100, 95.71%의 phenol만 추출되었다.
섬백리향의 항산화 기능성 성분에 대한 마이크로웨이브 추출특성을 확인하고자 microwave power()와 추출시간(분)을 독립변수()로 하여 중심합성계획에 의해 10개구간의 추출조건을 설계하였다. 또한 추출물의 기능성분인 총 추출수율, 총 페놀 함량,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및 전자공여능을 종속변수()로 하여 반응표면분석을 실시하여 최적 추출조건을 예측하였다. 도출된 회귀식의 는 총 페놀성분을 제외하고는 모두 0.93 이상을 나타내었으며, mic
우리나라에서 자생(自生)하고 있는 백리향(百里香)과 섬백리향(百里香)의 정유성분(精油成分)을 분석(分析) 비교(比較)코저 SDE방법(方法)에 의해 정유(精油)를 분리(分離)한 다음 GC-MS 및 GC에서 표준품(標準品)과의 머무름 시간(時間) 비교(比較)에 의해 성분(成分)을 확인(確認)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백리향(百里香)의 정유함량(精油含量)은 건물중앙(乾物重量)으로 1.94% 이었고, 섬백리향(百里香)의 경우 배엽부위(輩葉部位)에서는 1.91%인데 비하여 꽃에서는 0.68%이었다. 2. 3종류(種類)의 시료(試料)에서 38종(種)의 성분(成分)이 확인(確認)되었는데 그중 백리향(百里香)에서 분리(分離)한 정유(精油)에서는 thymol(39.8%), γ-terpinene(10.0%), σcymene(9.2%), camphor(5.9%), α-terpinene+borneol(4.5%) 및 bornyl acetate(4.0)가 주성분(主成分)이었고, 섬백리향(百里香)에서는 thymol(54.7%), γ-terpinene(15.8%), σcymene(6.7%) 및 carvacrol (3.2%)등이 주성분(主成分)이 었다. 3. 백리향(百里香)과 섬백리향(百里香)을 비교(比較)했을때 α-pinene, camphene, camphor, bornyl acetate 및 α-terpineol+borneol 등(等)은 백리향(百里善)에 서 많이 검출(檢出)된 반면 γ-terpinene, thymol은 섬백리향(百里香)에서 많이 검출(檢出)되었으며, 섬백리향(百里香)을 부위별(部位別)로 비교(比較)했을 때 thymol, γ-terpinene은 잎에서 많이 검출(檢出)되었으나 f-cymene은 잎보다는 꽃에서 특징적(特徵的) 으로 많이 검출(檢出)되는 경향(傾向)을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