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arious biometric and geometric measures were used to discriminate between the morphologically similar river puffer, Takifugu obscurus, tiger puffer, T. rubripes, their hybrids, and their triploid hybrids. The hybrids and triploid hybrids had greater anal fin width, nostril width, and snout length than the parental species (p<0.05). However, they had less caudal peduncle depth, inter-orbital width, head length, and head width (p<0.05). The morphometric and meristic characteristics of the hybrids and triploid hybrids were either intermediate between the parental species or more similar to those of one parental species. However, the external morphology of the hybrids and triploid hybrids was predominantly maternal. The triploid hybrids had asymmetry in the fin rays and gill raker numbers. This study identified phenotypic characteristics by distinguishing the morphological variables of river puffer, tiger puffer, their hybrids, and their triploid hybrids.
The sectioned-body morphometric characteristics of the diploid and triploid marine medaka, Oryzias dancena, of both sexes were examined to collect basic data on th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diploid and triploid fish.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diploid and triploid fish in both sexes were observed in the body circumference anterior to the base of the pelvic fin, the body circumference anterior to the base of the anal fin, the body circumference anterior to the base of the dorsal fin, the area anterior to the base of the pelvic fin, the area anterior to the base of the anal fin, the area anterior to the base of the dorsal fin, the total height anterior to the base of the pelvic fin, the total height anterior to the base of the anal fin, the height anterior to the base of the pelvic fin, the height anterior to the base of the anal fin, the width anterior to the base of the anal fin, the belly thickness II anterior to the base of the anal fin, section shape 2-1, and section shape 4-1 (p<0.05). These measurements were greater in the triploid marine medaka of both sexes than those in the diploid marine medaka of both sexes, and they were also greater in the male diploid and triploid marine medaka than those in the corresponding female fish. Therefore, the sectioned-body morphometric dimensions were greater in the triploid males than those in the triploid females and the diploid fish in this study.
This study identified the differences in the morphometric characteristics of the truss and classical dimensions between diploid and triploid Far Eastern catfish, Silurus asotus, and provided methods for sorting diploid and triploid Far Eastern catfish based on morphometric observations. The significant variables were the direct distance between the anterior edge of the lower lip and the anterior insertion of the dorsal fin (DALAD), the horizontal distance between the anterior edge of the lower lip and the anterior insertion of the ventral fin (HALAV), the direct distance between the anterior edge of the upper lip and the first nostril (DAUF), the direct distance between the anterior edge of the upper lip and the second nostril (DAUS), the interorbital width (IW), and the mandible barbel length (ManBL). The more significant variables were HALAV, DALAD, DAUF, IW, and DAUS. The most useful combination of variables for separating the two groups was DALAD, IW, and DAUF, which correctly classified 85% of the catfish as triploid or diploid, and that percentage was the maximum degree of value possible (p<0.05). Triploid Far Eastern catfish had a high rate of growth in the head region and body depth during the first year after hatching. Triploid Far Eastern catfish had smaller heads and shorter mandible barbels than diploid Far Eastern catfish.
해산송사리, Oryzias dancena 2배체와 유도 3배체 각 조직에서의 세포주기를 비교, 분석하였다. G1, S, G2+M기의 분포 빈도에서 꼬리지느러미인 경우 2배체에서는 85.8%, 7.6% 및 6.9%이었으며 유도 3배체에서는 91.2%, 3.6% 및 5.2%이었다. 간 조직인 경우 2배체에서는 78.4%, 10.6%, 및 11.0%이었으며 유도 3배체는 86.2%, 5.9% 및 7.9%이었다. 아가미 조직인 경우 2배체에서는 79.3%, 9.4% 및 11.3%이었으며 유도 3배체는 85.7%, 5.4% 및 8.9%이었다. 2배체와 유도 3배체에서 조직 간 세포 주기 빈도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p<0.05). Mitosis (체세포분열)은 유도 3배체에 비해 2배체가 더욱 활성이 있었으며, 이러한 체세포분열은 2배체와 유도 3배체 모두에서 꼬리지느러미 조직 보다는 간 조직과 아가미 조직에서 더욱 왕성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d cytogenetic and hematological and histological characteristics between diploid and spontaneous triploid on Cyprinidae (Crucian carp, Carassius auratus; crucian carp, C. cuvieri and common carp, Cyprinus carpio) in four major rivers of Korea. In our results, DNA contents of triploid Cyprinidae were 50% more than those of diploid Cyprinidae. Also, erythrocyte size of triploid Cyprinidae was 50% larger than those of diploid Cyprinidae. In all sampling rivers, sex ratios of C. auratus were biased to female, and especially, triploid groups of C. auratus were all female groups (p <0.05). In principle, sex ratios of C. cuvieri and common carp were equivalent between male and female.
본 연구는 이전에 이배체와 삼배체를 교배하여 얻은 이수체 사과 나무의 생장과 과실 특성을 알아보고자 수행하였다. 이수체 사과나무의 화분발아율, 영양생장, 과실의 특징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이수체 사과 나무 간의 화분발아율의 차이가 크고, 모든 이수체 사과 나무의 화분 발아율이 이배체 '홍로' (82.4%) 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수체 사과 나무 과실의 평균 크기와 중량은 이배체 '홍로'보다 작고 가벼운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수체 사과 나무 과실의 길이와 너비에 의해 이수체 JF3942빼고 다른 이수체 과실의 외형이 조금 납작했다. 거의 모든 이수체 사과 나무 과일의 당 함량은 이배체 '홍로' 보다 높았다. 본 실험에서 얻은 이수체 사과의 산 함량은 이전에 대부분의 연구자의 이배체 사과 결과와 완전히 달랐다. 이수체 사과의 시트르산하고 타르타르산 함량은 사과산 함량보다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수체 사과 나무의 수고와 폭은 이배체 '홍로'보다 짧았다. 대부분 이수체 사과 나무의 수고는 폭보다 길지만 네 나무는 반대로 나타났다. 잎의 길이와 너비에 의해 이수체 사과 나무 잎의 크기가 이배체 '홍로'보다 작았다. 이수체 사과 나무는 이배체보다 잘 자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논문에서는 우리나라에 58개 지역에 분포하는 2 배체 및 3배체 참나리 86계통을 이용하여 각 genome 간의 유연관계와 유전적 변이성을 분석하기 위해 RAPD 분석을 실시하였다. 참나리의 배수성은 flow cytometer에 의해 분석되었다. 그 결과 PCR반응에 사 용된 10개의 RAPD primer에서 총 69개의 band가 관찰되었으며, 이중에서 다형화를 나타내는 band의 수 는 42개(60.9%)로, 1개의 RAPD primer당 평균 4.2 개의 다형화 band가 관찰되었다. 수집된 참나리 86계 통에 대하여 RAPD 분석에서 증폭된 다형화 band들 을 이용하여 UPGMA 방법에 따라 dendrogram을 작 성하였다. 그 결과 유전적 유사성 85% 수준에서 크게 2개의 그룹으로 분리되었는데, 첫 번째 그룹에는 강화 도를 포함한 내륙지역에서 수집한 대부분의 3배체 계 통들과 일부 예외적인 2배체 12계통을 포함하고 있었 으며 두 번째 그룹에는 대부분의 2배체 계통들과 백령 도에서 수집한 3배체 1계통(42) 그리고 2배체와 중나 리간에 교잡된 2계통(60, 61)을 포함하고 있었다. 대체 로 3배체 참나리는 제 I 그룹에 포함되었고 2배체 참 나리는 제 II 그룹에 포함되었다. 유전적 변이성은 3 배체 참나리 집단보다 2배체 참나리 집단에서 보다 높 은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