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8

        1.
        202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한국에서 예체능 계열 박사 과정에 재학 중인 중국인 유학생들의 교육 현황을 조사하고 분석하여, 한국 대학의 외국인 유학생 모집부터 교육에 이르기까지 합리적인 개선과 유용한 유학 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 절차를 거쳤다. 먼저, 한국 대학의 예체능 계열 박사 과정에 재학 중인 중국인 유학생들이 선호하는 사립 대학 상위 3곳을 선정하여 이들 대학의 학과, 전공 구분, 입학 요건, 지원 절차, 장학금 혜택 등의 내용을 분석하였다. 다음으로 인터뷰와 설문을 통해 예체능 계열 박사 과정 중국인 유학생들의 대학 선택 요인, 일상 및 학교생활 현황, 학습 상태, 학습 만족도, 한국어 능력 수준, 논문 진행 등의 교육 현황을 파악하였다. 이에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 지원 절차, 중국인 유학생 수, 어학 성적 여부 그리고 지인과 유학 중개소의 추천을 대학 선택의 선결 조건으로 생각하기 때문에 대학교에서 유학생 모집 홍보, 한국과 중국 학교의 교류 프로그램 및 연합 과정 개설 등을 적극적으로 고려해야 한다. 둘째, 한국어 능력이 부족하여 일상, 학교생활에 불편한 데가 많다는 조사 결과에 따라 학교 측은 유학생들의 원활한 언어 소통에 관한 적극적인 지원과 도움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셋째, 모든 교과목의 타당성과 전문성은 높은 반면, 실용성은 상대적으로 낮은 편이기 때문에 예체능 계열의 특수성을 고려한 맞춤형 한국어 연계 교과목의 개설이 매우 필요하다. 넷째, 논문의 진행에 있어 어느 정도의 한국어 실력을 갖추어야 하는 상황이므로 해당 학과에 속하거나 전문 용어를 통역할 수 있는 실력을 갖춘 통역자가 논문 통역을 담당해야 한다. 다섯째, 논문 작성 프로그램이나 사이버 시스템의 사용법을 가르치는 수업이 매우 필요하다. 이뿐만 아니라 유학생들이 희망하는 한·중 교류프로그램 등을 만들어 일상과 학교생활을 풍부하게 하고 불안감을 약화시킬 수 있다고 생각된다. 저자는 현재 한국 대학 외국인 박사 과정 모집에 있어, 언어 능력이 떨어지는 학생들을 선발하는 것이 본질적인 문제라고 생각한다. 그러나 각 대학의 운영 및 모집에 있어 실제적인 해결이 어렵다고 본다. 이를 본 연구의 한계점으로 보고, 가장 현실적인 상황을 고려하여 예체능 계열 중국인 유학생들의 교육 환경, 수업 설계, 학생 지원, 혜택 및 학습 방향과 관련된 근본적이고 구체적인 방안을 제공하였다. 본 연구가 한국의 고등 교육 기관의 외국인 유학생 모집 시스템 구축, 입시 그리고 유학생 교육, 지원 등 상황에 따른 교육 개선과 발전에 보다 유용한 자료로 활용되기를 바란다.
        6,900원
        2.
        2021.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고는 대학 교양한문 수업에서의 ‘능동적 고전 읽기’ 지도 사례를 검토한 글이다. 검토 대상인 보고서 과제는 한국의 한문 산문을 한 편 선택하여 원문을 해석하고 비평 및 감상을 작성하는 것이다. 먼저 대상 작품 선택 현황을 목록으로 제시하고, 학생들의 작품 선택 기준을 분석하였다. 이어서 비평과 감상의 내용을 네 측면에서 검토하였다. 첫째는 작품 및 관련 주제에 대한 재해석이다. 둘째는 작성자의 삶과 연계 지은 감상이다. 셋째는 현대 사회의 문제와 접목하여 논하는 방식이다. 넷째는 한문 문장의 미감과 번역 문제에 초점을 맞춘 감상이다. 마지막으로 한문 고전 읽기 지도에 대한 필자의 견해를 덧붙였다. 먼저 원문 독해를 포함하는 것이 필수적이라는 점을 강조하였다. 원문 독해의 과정에서 고전의 내용을 온전히 소화할 수 있게 되기 때문이다. 또, 학생들 스스로 작품을 선 택하게 하는 것이 중요한데, 이때 참고문헌이나 작품 목록을 제공하는 것이 도움이 된다. 비평과 감상은 자유롭게 작성하되, 다양한 의견을 논리적으로 펼칠 수 있도록 이끌어 주어야 한다. 학생들 은 작품 선택, 원문 독해, 비평과 감상의 작성 과정에서 ‘한문 독해’와 ‘고전 읽기’의 방법을 배울 수 있다. 이러한 경험은 이후의 고전 독서를 추동하는 힘이 될 것이다.
        10,700원
        3.
        202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university learners’ preferences and other related factors for two general English courses, one course focusing on reading and another on conversation, with students divided by their language proficiency level. The participants were 554 students at an engineering university. A 4-point Likert-type scale was used to record general tendency. Students were evaluated and divided into three and four proficiency levels for the reading and conversation course, respectively. 88.1% of participants had a favorable opinion of the level-divided conversation course, and 87.7% had a positive view of the level-divided reading course. Cross tabu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any relationships between the preferences and other factors such as sex, favorable feelings toward English, students’ majors, and English proficiency. The chi-square analysis showed no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level-divided course preference and factors like sex or fondness for English. However, there appears to be a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students’ majors and level-divided course preference for both the conversation and reading courses as well as a preference relationship between English proficiency and the reading course. The participants liked the effectiveness of the level-divided course content and the tailoring of educational content according to students’ proficiency.
        6,100원
        4.
        2020.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다양한 학문기반의 토대가 되는 한문과의 중요성에 대한 논의는 이미 선행 연구들을 통해서 가치 실현이 되었다. 이러한 전제 속에 본고는 연구자 실제 강의했던 경험을 바탕으로 실제 한문과의 운영이 어떻게 존립하고 현상 유지되거나 위기에 처해 있는지 실증적으로 보여주고자 했다. 이를 종합하면 2019년도 강행된 강사법 시행령 문제와 관련하여 대학 내 현장적 운영 모습은 다음과 같이 정리될 수 있다. 첫째 현 시류에 영향을 받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나 계속 그 추이를 주목해야 하는 경우, 둘째 시행령의 포섭되어 강좌 폐지로 즉결된 경우 두 가지 사례가 진단되었다. 이러한 사실의 목도는 기실 이 논의가 필요한 이유이자 배태한 연원과 관련 깊다. 이러한 전후 상황과 관련하여, 실제 학습자들의 요구 사항을 검토해 본 결과, 유념해야 할 사항을 정리하면 3가지 정도로 추릴 수 있다. 먼저, 대학 본부에서는 학생들의 의견 수렴 창구 토대를 긴밀히 구축할 필요가 있다. 둘째, 학과별 한문과가 연합하여 제각기 다른 가치 창출을 위한 밑거름 이 될 수 있도록 통합적 모색이 필요한데, 이때 다양한 채널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비전공자를 위한 수강과목 그리고 전공생을 위해서는 난이도 평가 구별을 통해 소수로만 운영될 분반별 강좌가 시행될 수 있도록 하는 조처도 요구된다. 이 같은 필요점은 취업 혹은 실용과 직결되는 교과목이 아닌 여타 학문과나 교양과 전체로 확대될 수 있을 것이다.
        5,700원
        5.
        2011.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近年,香港中學學制逐漸轉變,其中中國語文的教學模式和學習範圍也作出了大幅度的改動。對於學生的語文能力來說,究竟帶來了甚麼影響呢?當中關於漢字部分,究竟學生經過十多年的語文學習之後,對漢字的認識有多深呢?  筆者在過往數年的教學過程中,接觸的主要是大學一年級的同學。不管原來唸文科、理科還是商科,從他們的表現中,都發現一個有趣的現象。愈是近年的同學,對於「傳統正字」(例如「鉅、祕」等)的認識愈是模糊,很多時把正確的字誤以為錯字而逕予改正。可是,這種情況在數年前並不是那麼嚴重的。那麼,近年來這種情況有多究竟嚴重呢?  為觀察同學漢字認識程度的變化,筆者根據過去數年的錯別字試題做了統計。本文將根據這些統計數字,考察同學對「傳統正字」的認知失落情況。  同學的漢字認識是在小學養成,在中學深化的,如果經過中學階段後,卻出現對「傳統正字」的認知失落,看到與所教所習不同的字,就視為錯字,則問題出在哪裏。  當前香港的中學中文課程改革仍在進行,這個研究將持續多年,從而看看由範文到取消範文,由七年制轉成六年制之後,香港學生對「傳統正字」的認識能力有何轉變。筆者希望透過持續研究,審視這個現象跟中學階段中國語文科取消範文閱讀以及增加其他內容的課程改革之間有沒有關係。  筆者希望藉這個研究所得的結果,重新思考在香港的漢字學習環境下,大學「正字」教學如何定位,以樹立語文的判別能力為目標,使同學「習其一亦知其餘,明其新亦識其舊」,來補足同學對傳統漢字正字的認知缺失,不至於遇到他人所寫「正字」迥異時,瞠目結舌,甚至誤以為錯字,逕行改正,結果貽笑大方。
        7.
        2000.05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QFD (Quality Function Deployment) was defined by the American Supplier Institute in 1987 as a system for translating consumer requirements into appropriate company requirements at every stage, from research, through product design and development, to manufacture, distribution, installation, and marketing, sales and services. Although QFD has complex and tedious procedure to complete, it has now been In use in the world for at least IS years because QFD enables us to catch a lot of fruitful information on the given system. The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provide and analyze the trend on the choice of subject courses of university students using QFD. The data are collected by questionnaires. The samples for this study are randomly chosen from the universities in Seoul, Kangnung, and Samchok during 3 months (2000. 3 ~ 2000. 5)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play an important role not only for service of students but also for opening of subject courses.
        4,000원
        8.
        2011.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Climate change is practically everywhere in the world, and education should pay particular attention to the issue since the challenges that climate change poses to the society, technology, and environments are predicted to be monumental. Climate change is no longer a subject discussed solely by scientists because of the complex web of “causes and impacts” of altered climate system. Education is believed to be one of the key ingredients for the better solutions that would work for long term goals. However, educating future generations about climate change issues, especially in higher teaching institutions where leaders of coming years grow has a long path to follow to synthesize different fragments of climate sciences that are taught by multiple yet disconnected disciplines spanning Environmental Sciences, Physics, Engineering, Economics and Political Science. One promising way to address the complex nature of issues in the climate change is through science, technology, society, and environment (STSE) education. STSE education is an umbrella term, bridging a vast array of different types of theorizing about the interface between science and the social world. To achieve the teaching goals, curriculums and pedagogies of STSE education should be much more than infusion or the reference to science and technology and its application to society and environment. Drawing on existing literature in the STSE education, this research presents an overview of examples of STSE pedagogies and curriculum structures applicable to the subject, followed by a realization of STSE education practice for a university level climatology cour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