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7

        1.
        2023.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체육계열 대학생을 대상으로 VR(virtual reality; 가상현실) 기기의 사용이 안구운동과 양안시기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방법 : 신체 건강한 체육계열의 대학생을 중심으로 굴절교정 수술 이력, 안질환 기왕력, 양안시 이상이 없는(사 위도: 외사위 7 Δ 이하, 내사위 1.5 Δ 이하) 25명(남 14명, 여 11명, 평균 연령 21.4±2.3세) 학생을 연구대상 자로 선정하였다. 검사자는 피검자에게 시청각 콘텐츠(VR outdoor tour contents)를 30분간 시청하도록 지시한 후 굴절검사 및 정지시력 측정, 안구 운동검사, 양안시기능 검사를 시행하였다. 결과 : VR 시청 전과 후의 교정시력은 0.96±0.28(V.A.), 0.95±0.31(V.A.)으로 유의한 변화는 없었으나 사 위도가 –5.74±2.47 Δ(exo.)에서 -10.69±3.90 Δ(exo.)로 외사위량이 증가하여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변화가 있 었다(p<0.050). 그 외 양안시기능에 가장 큰 변화를 보인 검사항목은 조절근점, 조절용이성이었다. VR 시청 전의 조절근점은 12.54±1.40 cm에서 15.19±2.22 cm로, 조절용이성은 1분 동안 반전에 성공한 횟수가 11.15±1.78 회에서 6.02±2.16회로 줄어들어 선명하게 초점을 맺는데 시간이 지체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결론 : VR을 시청한 후 두드러진 시력저하와 시기능의 변화는 없었으나 사위도와 조절근점, 조절용이성 항목 에서 유의한 변화를 확인할 수 있었다.
        4,000원
        2.
        202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대한민국 교육은 코로나19 팬데믹으로 대면 교육에서 비대면 교육으로 전환되었다. 학생들이 사회에 대해 배 울 수 있는 그룹 활동 교육은 축소되거나 중단되었고, 비대면 서비스기술 발전으로 메타버스라는 새로운 서비 스를 탄생시켰다. 본 논문에서 저자는 한국 초·중·고교에서 요구하는 집단 활동 교육을 비대면으로 체험할 수 있는 'Virtual School'(VS)이라는 플랫폼을 제안한다. 이 플랫폼은 학생들이 사용하기 쉬운 VRChat과 3D 가상 환경 렌더링을 위한 Unity 3D 엔진을 기반으로 한다. VS 플랫폼은 졸업식, 입학식, OX 퀴즈 등 다양한 활동 을 제공한다. 해당 플랫폼은 부산진고등학교에서 시범 운영되었으며, 메타버스 관련 비대면 교육 플랫폼 연구 분야에서 활발히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4,000원
        3.
        2022.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Korea Institute of Nuclear Nonproliferation and Control (KINAC) remains dedicated to providing national and international training to train the workforce in the area of nuclear nonproliferation and security. INSA has also provided a number of nuclear nonproliferation courses for the public such as middle or high school students and teachers, senior government officials, NGOs in the field of nuclear energy, and so on. The recent trend calls for education with high field applicability. Additionally, as interest in nuclear nonproliferation has recently increased, the demand of the public for education is expected to be increased. However, since it is difficult for the public to access nuclear facilities, it is not easy to understand regulatory activities at nuclear facilities. Therefore, KINAC has developed Virtual Reality (VR) content to enhance the public’s understanding of nuclear facilities and on-site inspection activities of KINAC. VR technology is expected to be a new means that can enable the public to access nuclear facilities in spite of some “VR dizziness” usually called “Human Factor”. This paper introduces the composition and function of KINAC’s nuclear nonproliferation VR content for Hanaro Rx in nuclear nonproliferation courses for the public and seeks ways to optimize it based on a one-year operation experience.
        4.
        2022.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In the event of an contingency situation of physical protection in nuclear facilities, the first organization to deal with at the forefront is the Special Response Forces (SRF). Since the SRF has to perform nuclear facility protection at the actual battle site, they must repeatedly train tactical understanding such as shooting, entry, and suppression so that their body can remember it even in real contingency situations (called Muscle Memory). In reality, however, repeated training using firearms is very difficult due to high risk and high cost, except for some military and police organizations. Using the advantages of VR technology, the Korea Institute of Nuclear nonproliferation and control (KINAC) has developed educational contents of “VR Shooting Training Center (VR STC)” to enable low-risk, low-cost, and repeated shooting training for these high-risk, high-cost training. This content was developed by dividing it into an “indoor” and “outdoor” training field. Educational firearms are all developed as gas guns to add to the sense of reality, and trainees can choose firearms, distance movement of targets and other options. The “Indoor training field” was developed by imitating an actual indoor shooting field, in particular the “outdoor training field” was developed using VR technology and motion tracking technology. Therefore, in “outdoor training field”, trainees can move freely within the designated spot of not only in VR content but also reality and then have to perform some missions. Trainees have to overcome random obstacles as they move to a designated destination, and at the destination, they are attacked by terrorists. Therefore, trainees must complete missions by concealing their bodies using objects around them. The one training course includes a total of 10 missions, and after the training is completed, comprehensive training results such as shooting accuracy and mission completion are expressed. VR STC will be a representative example of making high-risk, high-cost training into low-risk, low-cost, and repeated training. In this respect, VR technology can be used to develop various radiation protection curriculums accompanied by high risk and high cost, and can improve educational effects.
        6.
        2018.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교사의 VR(가상현실)과 AR(증강현실)에 대한 사용의도를 확장된 통합기술수용 모형을 활용하여 분석하는데 있다. 연구목적의 달성을 위해 전국의 초등교사 211명을 대상으로 VR과 AR의 교육적 사용의도에 대한 설문을 진행하였고, 그 결과를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 활용된 요인은 통합기술수용모형(UTAUT)의 4개(성과기대, 노력기대, 사회적 영향, 촉진조건), 확장된 통합기술수용모형(UTAUT2)의 2개(쾌락적 동기, 비용가치), 그리고 기타 1개(지각된 위험)의 총 7개이다. 분석결과, UTAUT 요인 기반의 ‘모형2’ 에서 초등교사의 VR과 AR의 사용의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 요인은 ‘성과기대’, ‘사회적 영향’, ‘노력기대’ 순으로 이었으며, UTAUT2 요인 기반의 ‘모형3’에서 교사의 사용의도에 정적 영향을 미친 요인은 ‘비용가치’, ‘사회적 영향’, ‘쾌락적 동기’, ‘성과기대’ 순 이었다. 본 연구의 7개 변인이 모두 투입된 최종 모형에서는 초등교사의 VR과 AR의 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친 요인은 ‘비용가치’, ‘쾌락적 동기’, ‘사회적 영향’, ‘성과기대’, ‘지각된 위험’ 순 이었으며, 이 때 ‘지각된 위험’은 초등교사의 VR과 AR의 사용의도에 부적 영향을 미쳤다. 본 설문에 참여한 초등교사의 과반 수 이상은 VR과 AR을 교육적으로 활용하는 것에 대하여 긍정적인 응답반응을 보였다. 때문에 VR과 AR을 미래교육의 한 방법으로써 고려하되, 교육목표를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는 방향으로 도입될 수 있도록 추가적인 교육적 연구가 적극 필요하다.
        6,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