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7

        1.
        2024.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마이크 니콜스 감독이 2001년 미국에서 개봉한 영화 <위트>에 나타난 죽음의 존엄성과 웰다잉의 필요성에 관한 논의를 수행하는 것이다. <위트>는 존 던의 시적 장치였던 위트, 아이러니, 그리고 역설이 여주인공이 직면한 상황과 연계성을 지니면서 전개된다. 입원하기 전 이성과 냉정, 그리고 학문적 열정을 지니고 저명한 영문학자였던 여주인공은 역설적 상황의 재현 대상으로 활용되고 있다. 이러한 과정은 여주인공이 학문의 주체에서 연구 대상으로 전락한 상황을 드러낸다. 병실에 입원하기 전 여주인공은 인생의 본질과 가치를 열정적 학문 탐구와 냉철함에서 찾고자 했다. 그러나 고통스러운 치료 과정에서 학문 연구의 주체가 아닌 대상으로 전락한 여주인공은 인생의 진정한 가치는 친절함, 배려, 결론적으로 여주인공은 죽음의 주체적 선택을 통해서 독자들에게 위트의 현실 재현, 웰다잉 구현, 그리고 죽음에 대한 새로운 인식을 제공한다.
        5,200원
        6.
        2013.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마늘을 이용하여 기능성이 향상된 식혜를 제조 조건을 확립하고자 동결건조한 생마늘 분말 및 증숙마늘 분말을 마늘식혜 제조 시 농도별로 첨가하여 당화 1, 3, 6 시간 후 시료를 취해 품질특성을 조사하였다. 마늘 식혜의 pH는 당화시간의 경과에 따라 증가하였는데, 생마늘 및 증숙마늘 분말을 첨가한 식혜는 대조구에 비해 알칼리화 되는 경향이었고 증숙마늘 분말 2% 첨가군(6.65±0.56)이 가장 높았다. 당화 1시간 후 당도는 1.60±0.10~ 2.03±0.06 brix에서 당화 6시간 후에는 3.60±0.2 brix 이상으로 높아졌으며, 마늘분말 첨가군이 대조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다. 총당 함량은 마늘 분말의 첨가량이 많을수록 더 높았고, 당화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환원당은 총당과 유사한 경향으로 당화 1시간에는 마늘분말 첨가량이 많을수록 높았으나, 당화 6시간 후에는 대조군이 7.20±0.10g/100 g으로 유의적으로 높았다. 탁도와 착색도는 당화 시간의 경과에 따라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마늘 식혜의 관능평가 결과 당액의 색은 대조군이 기호도가 가장 높았고 마늘냄새는 증숙마늘 첨가군보다 생마늘 첨가군이 더 높았다. 감미와 전반적인 기호도는 대조군과 마늘분말 첨가군간에 유의차가 없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생마늘 및 증숙마늘 분말의 첨가는 식혜의 초기당화를 지연시키지만 무첨가군과 동일한 당화 경향을 나타내며, 6% 미만으로 첨가할 경우 관능적인 특성에도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4,000원
        7.
        2009.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 new spray chrysanthemum 'Pink Berry' was released by National Institute of Horticultural and Herbal Science (NIHHS),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RDA), Korea in 2007. A cross was made in 2004 between 'Lineker Salmon', a spray cultivar with salmon petals, and 'Baeksokuk', a spray cultivar with white petals. Trials were conducted from 2005 to 2007 for evaluation and selection of this cultivar, including shade cultivation in summer and retarding cultivation in autumn. The natural flowering time of 'Pink Berry' is late October, but year-round flowering is possible by photo-periodic control. The cultivar has single type flowers with pink petals and a green flower center. It shows long vase life of 22 days and resistance to white rust. The diameter of flower is 52.0 mm. The numbers of flowers per stem and petals per flower are 15.5 and 29.5, respectively. Days to flowering under the short day treatment is about 56 in autumn seas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