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5

        1.
        202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차먼지응애(Polyphagostarsonemus latus)는 잎들깨에서 잎을 직접적으로 가해하여 농가 소득에 치명적인 피해를 야기하고 있지만 표본단위가 설정되어 있지 않아 적절한 표본 조사가 이루어지지 못하는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잎들깨의 주내분포 연구를 통하여 표본단위와 최적표본수를 제시하고자 수행하였다. 차먼지응애는 하나의 들깨잎에서 엽병 부위를 중심으로 개체가 형성되어 전체잎으로 퍼져나가는 특징을 보였으며, 이때 기간은 접종 후 25일이 소요되었다. 단위면적당 차먼지응애의 밀도를 조사한 결과, 접종 후 경과 기간에 관계없이 신초에서의 밀도가 중엽과 성엽보다 높아 대표성을 띠기 때문에 표본단위는 신초가 적합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주당 표본수는 1개의 신초에 있는 알과 약성충 모두를 조사할 경우 정밀도 0.25를 충족할 것으로 추정되었다. 따라서, 시설 잎들깨에서 차먼지응애의 표본조사는 주당 1개의 신초에서 알과 약성충을 조사 할 때 가장 정확도가 높고 경제적이었다.
        4,000원
        2.
        2014.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greenhouse whitefly Trialeurodes vaporariorum (Westwood) (Hemiptera: Aleyrodidae) is a phloem-feeding pest that causes serious damages in vegetables and ornamental crops by direct feeding and causing diseases such as sooty mold. For the better management of T. vaporariorum, within-greenhouse and -plant distribution of this pest was investigated in strawberry greenhouses in Andong. Ten strawberry plants for each category were randomly selected and examined. Adults per plant was recorded by visual observation, and eggs and nymphs per trifoliate leaf were counted under microscope. Adult, egg, and nymph populations were all more abundant in border rows than in middle rows. The number of nymphs were found more in lower canopy in both border and middle rows, but egg density was higher in upper canopy of border plants. No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sticky trap count and population density on plants. These informations would be important for the development of efficient monitoring and control measures of greenhouse whitefly.
        3.
        2014.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꽈리허리노린재[Acanthocoris sordidus Thunberg (Hemiptera: Coreidae)]는 대만, 일본, 한국에 분포하며 고추, 가지 등의 가지과 식물의 주요 해충이다. 고추에서 꽈리허리노린재에 의한 주요 피해 부위를 알기 위해 작물내 분포를 조사하였다. 두 개의 무방제 시험포장에서 각각 8, 9월에 작물의 높이를 상부, 중부, 하부로 나누어 육안 조사한 결과 작물의 상부에서 노린재(알, 약충, 성충)의 76∼89%가 분포하였다. 고추 작물의 부위별 분포는 줄기에서 71∼85%로 가장 높았다. 발육단계별로는 알의 100%가 잎에서, 성충의 88%가 줄기에서 발견 되어 꽈리허리노린재 성충은 고추의 상단부 줄기에서 가장 많이 분포하고, 고추 과실에서는 거의 발견되지 않았다.
        4.
        2009.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o understand microhabitat distribution of insect pest is important for developing timely management tactics. We investigated within plant distribution of Riptortus clavatus Thunberg (Hemiptera: Alydidae) eggs and its’ parasitism by egg parasitoids such as Ooencyrtus nezarae Ishii (Hymenoptera: Encyrtidae) in soybean fields. Sampling was carried out to determine the most preferred oviposition site (upper leaf surface, under leaf surface, pod and stem) in different varieties of soybean (Daewon, Cheongja, Taegwang, Daepung, Seomoktae, Seoritae) in Andong, 2007 and 2008. Parasitism was recorded only in 2008. In seasonal total, proportion of R. clavatus eggs deposited within soybean plant was significantly higher on under leaf surface (70-97%) followed by upper leaf surface, pod, and stem (2-29%, 0-8% and 0-2%, respectively) depending on varieties of soybean. In seasonal total, parasitism rate by O. nezarae was significantly higher on the eggs collected from under leaf surface (61%) followed by eggs collected from upper surface of the leaves (43%), pods (7%) and stem (33%). In conclusion, R. clavatus prefer upper leaf surface the most as a oviposition substrate in soybean, and highest parasitism by O. nezarae on the host eggs was also found on upper leaf surface.
        5.
        1998.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온실가루이의 발생량은 성충과 약충 모두 토마토보다 오이에서 많았다. 끈끈이 트랩에 온실가루이는 오이에 접종후 3일째부터 유인되기 시작하여 3회의 발생최성기를 보였으며 온실가루이좀벌은 접종 15일째부터 성충이 유인되었다. 온실가루이 성충은 오이잎의 최상위 부분에 주로 서식하고 있었으며 약충은 초기에는 상위부분에서, 40일째 이후에는 하위부분에서 주로 발생하였다. 온실가루이좀벌 성충은 중상위 부분에서 많이 발생하였으나 부위별 차이는 거의 없었으며, 온실가루이좀벌에 의한 온실가루이 mummy는 오이의 중하위부분에서 발생이 많았다. 온실가루이의 방제를 위하여 온실가루이좀벌을 방사하는 시기는 황색끈끈이 트랩에 온실가루이 성충이 1주일 동안 5마리 정도 잡히기 시작할 때 온실가루 이좀벌mummy를 오이 5주당 50마리(1tag)씩 방사한 경우 방사후 40일정도에 방제효과가 인정되었다.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