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

        1.
        200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는 work sampling 기법과 단면분석법을 이용하여 제조업 종사 근로자의 근골격계질환 노출 위험수준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이를 위해 자동차부품 제조업 종사 근로자 29명의 근골격계질환 증상을 자기기입식 설문지로 조사하여, 그 정도를 기준1(KOSHA), 기준2(NIOSH), 기준3(인천노동과학연구소)으로 구분하였다. 그리고 개별 근로자의 작업과정을 고성능카메라로 촬영한 후 OWAS, RULA, REBA를 사용하여 work sampling 기법(1초당 1컷)과 단면분석법으로 근골격계질환 위험수준을 분석하였다. 결과 : 신체부위 중 1부위 이상 통증이 있다고 호소한 근로자는 기준1 24명(82.8%), 기준2 22명(75.9%), 그리고 기준3 19명(65.5%)이었다. 인간공학적 측정도구를 이용한 근골격계질환 노출위험수준은 OWAS는 단면분석-조치단계 4(근골격계에 매우 심한 해를 끼침), work sampling-조치단계 2(근골격계에 약간의 해를 끼침)인 근로자가 3명이었다. 또, RULA는 단면분석-조치단계 4(정밀조사와 즉각적인 개선필요), work sampling-조치단계 3(계속적 관찰과 빠른 작업개선 요함)인 근로자가 2명이었고, REBA에서는 단면분석-조치단계 3(위험 높음), work sampling-조치단계 2(위험 보통)인 근로자가 3명으로 분석되었다. 단면분석과 work sampling 기법에서 고위험군과 저위험군의 일치도는 OWAS Kappa=.4423, RULA Kappa=.4938, 그리고 REBA Kappa=.5193이었다. 결론 : Work sampling 기법을 이용하여 근로자의 근골격계질환 노출위험수준을 객관적으로 분석할 수 있었으며, 결과를 토대로 근로자 작업환경의 개선이 우선적으로 필요한 작업자를 선정하는데 신뢰할만한 방법임이 확인되었다.
        4,300원
        2.
        199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a) investigate the percentage distribution and the time spent of dietetic activities and b) estimate dietitian's staffing needs in employee foodservices. In 6 employee foodservices, the dietetic activities were analyzed by work sampling methodology.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 percentage distributions of dietetic activities, delay and non-dietetic activities were 79.06, 20.39, and 1.55%, respectively; 2. The major activities of dietitians in employee foodservice were production management 21.00%, purchasing management 16.73%, record keepig 14.40%, and menu management 6.30%, 3. The total labor time per week was 3,310 min (55.16 hr) and specially the time spent on 13 dietetic activities was 2,626 min (43.77 hr). 4. The time spent per week on major activities of dietitians such as production management, purchasing management record keeping, and menu management were 693.93, 554.83, 483.99, and 205.22 min, respectively.
        4,000원
        3.
        2008.02 KCI 등재후보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특수아동의 현재 학습수행 수준을 파악하고 장단기 목표를 작성하는 일은 개별화교육계획 작성에 있어서 가장 핵심적인 요소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특수아동의 개별화교육계획의 핵심적인 요소인 현재 학습수행 수준 파악 및 장단기 목표 작성을 위해 활동표본평가를 적용해 보고 그 경험 내용을 질적으로 분석하였다. 또한 활동표본평가 적용의 연구 결과의 제시와 함께 활동표본평가가 특수아동의 교육진단을 위한 검사도구에 적절함을 논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