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하 (Zinger mioga Rosc.)를 이용하여 기능성 식품소재로 개발하기 위한 기초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일반성분 분석 결과, 수분함량은 생양하 95.3%, 건양하 7.63% 및 분말양하 9.81%이었다. 분말앙하가 조단백 11.21%, 조지방 2.f4%, 회분10.78% 그리고 조섬유 14.47%로 생양하와 건양하보다 함량이 높았다. 양하의 항산화효과는 Rancimat와 DPPH free radical scavening activity를 측정하였다. 유지산화안정도 실험의 결과 분말양하가 4.21 AI로 대조구에 비해 4.6배의 항산화효과가 있었고, DPPH fiee radical scavening activity를 측정한 결과분말양하의 값이 76.61%로 생양하 49.35%,건양하 61.78%에비해 항산화 활성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양하의 휘발성 향기성분을 SDE 방법으로 추출하여 GC와 GC-MS 분석 · 동정한 결과 총 122종의 성분이 동정되었으며, 주요향기성분은 테르펜류인 α-pinene, β-pinene, β-phellandrene, 1,4-terpineol, and β-terpinene 등 이었다.
Activate charcoal (AC) can be utilized as a soil conditioner in agricultural crop area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AC on growth and yield of Zingiber mioga ROSC as affected by different amounts of AC. The results obtained are summarized as follows. Growth characteristics including plant height and leaf length were the highest when activated charcoal added with 10-30%, suggesting that optimum amount of activated charcoal was ranged from 10 to 30%. Growth and enlargement of the root were improved by 10% AC with higher rhizome length and weight.
우리나라에 자생하는 양하의 인공재배시 지하경의 키기와 피복재료가 주요생육 형질과 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시험을 실시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지하경이 클수록 출현이 빠르고 생육이 양호하였으며 9월 하순경 개화되었다. 2. 지하경 크기는 12~15cm에서 초장이 크고, 화뢰엽수가 많아 대량번식시킬 때 가장 알맞은 키기로 사료된다. 3. 멀칭은 짚피복이 초장이 크고 엽수가 많아 생육이 양호하고 화뢰수와 화뢰중이 무거워 수량이 증수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