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starch addition and type on the characteristics of extruded products of floury rice powder (FRP). Native starches from waxy, normal, and high-amylose corn, wheat, tapioca, and potatoes were used. Each starch replaced 30% of the dry weight of FRP. FRP and FRP-starch mixtures were extruded using a twin screw extruder at 19–20% moisture content, 18 Hz screw speed, and barrel temperature of 160℃, followed by drying at 80℃ for 3 h. The water absorption and water solubility indices of the FRP-starch mixtures were higher than those of starch alone, whereas swelling power exhibited the opposite trend. The gelatinization temperatures of the FRP-starch mixtures, except for the FRP-wheat starch mixture, shifted to higher temperatures than those of FRP, whereas their gelatinization enthalpies were lower. The pasting viscosities of the FRP-starch mixtures, except for the FRP-high-amylose cornstarch mixture, were higher than those of FRP. Regarding the extruded products, partial replacement of FRP with starch improved the expansion ratio and specific volume of the extrudates. The failure strength, measured using a 3-point bending test, was higher for the FRP-starch mixture (except for high-amylose corn and tapioca starches) than for FRP.
목적 : 해마다 고령인구는 급격히 증가하고 있어 연령 증가에 따른 백내장 환자도 증가하고 있다. 대부분의 백 내장 수술은 원거리 중심으로 근거리에 대한 부분은 많은 정보가 없다. 다초점 인공수정체를 사용한 수술의 경우 시력 흐림등의 부작용이 존재하고 있어 백내장 수술 후 근거리 가입도에 대한 효과적인 처방이 필요한 실정이다.
방법 : 백내장 수술 전 ․후의 성인 21명 총 42안을 대상으로 굴절이상도, 교정시력, 가입도, 입체시력 등을 측 정하였다. 백내장 수술 후 굴절력이 안정되는 3달 후 검사를 진행하였다. 성별 및 굴절도에 따라 가입도 변화를 분석하였다.
결과 : 백내장 수술 후의 교정시력, 입체시력 및 가입도 모두 유의미하게 상승하였다. 남성이 여성보다 가입도 변화가 적은 것을 확인하였고 원시안에서 근시안보다 가입도 변화가 크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결론 : 백내장 수술 후에는 위조절에 의해 이론적인 가입도보다 낮은 가입도가 측정된다. 위조절이 나타나는 다양한 인자들을 고려하여 가입도 처방을 한다면 보다 나은 시생활을 영위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고주파 저손실 재질로 사용되고 있는 Mn-Zn 페라이트의 제조공정 중 소결조건과 Ta2O5첨가가 Mn-Zn 페라이트의전력손실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연구하였다. 등조성선을 따라 냉각하기 위하여 컴퓨터를 사용해서 정확하게 산소분압을 조절하였으며 적절한 등조성선을 선택함으로써 보다 좋은 손실특성을 얻을 수 있었다. CaO-SiO2 첨가계에 Ta2O5를 0ppm에서 400ppm으로 변화시켜 가며 첨가하였으며, Ta2O5 가 400ppm 첨가되었을 경우 균일한 grain 성장과 더불어 낮은 전력손실을 나타내었다. 온도에 상응하는 상평형 산소분압을 정확히 맞춰 냉각할 경우 전력손실 최소값이 질소 분위기에서 냉각시킨 시편보다 높은 온도쪽으로 이동됨도 확인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