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검색결과 4

1.
2018.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대추 탄저병 방제에 적합한 친환경 천연물소재를 선발하기 위하여, 약용식물에서 천연물을 추출하였고, 이를 이용하여 탄저병균에 대한 항균활성과 병 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기내 항균활성 검정에서 개똥쑥 지상부 추출물과 복숭아 나무 수지 추출물 처리는 각각 15 mm와 17.7 mm의 균사생장 억제존을 나타내 강한 항균활성을 보였으며, 처리 후 96시간이 경과하여도 항균활성을 유지하였다. 추출물의 실내접종 검 정에서 개똥쑥 지상부, 맨드라미 꽃과 잎, 복숭아나무 수지, 질경이 꽃 추출물은 잎 탄저병 방제에 효과적이었다. 과실에서는 개똥쑥 지상부 추출물은 58.3%, 맨드라미 꽃 추출물은 64.2%, 맨드라미 잎 처리는 66.7%의 병발생 억제효과를 보였고, 복숭아나무 수지와 질경이 꽃 추출물 처리에서는 60.1%의 병발생 억제율을 보여, 약용식물 추출물이 대추 탄저병을 효과적으로 억제하였고, 유과기 과실이 변색기에 비하여 병 발생 억제율이 높게 나타났다. 공시 추출물의포트 검정에서, 상처접종과 무상처접종에서 탄저병 발생 억제율이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공시 약용식물 추출물은 대추나무 탄저병 친환경 방제를 위한 약제 개발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4,000원
2.
2016.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year of 2013, anthracnose disease symptoms were observed on stem of stonecrop in a plant resource field, Southern Forest Resource Research Center, Jinju, South Korea. The disease symptoms were appeared 2-5 cm smudged irregular black spot color on the plant stems. Suspected pathogen was isolated from the lesion with surface sterilization method and identified it as Colletotrichum gloeosporioides by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phylogenetic analyses. Artificially inoculated the isolated pathogen led to the similar disease symptom as originally observed in the field. The fungal pathogen was re-isolated from the inoculated lesion and it exhibited the same characteristics compared to the original isolate. This is the first report of anthracnose of stonecrop grown in open fields, caused by Colletotrichum gloeosporioides in Korea.
4,000원
3.
201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머루(Vitis coignetiae)는 국내에 자생하는 야생종 포도의 한 종류로서, 포도 새눈무늬병에 저항성이다. 내병성 포도 육종에 활용할 유용한 육종소재를 개발하고자 머루의 잎과 과실로부터 cDNA libraray를 제작하였다. 머루의 cDNA library의 총 5,760개의 EST 클론을 분석하여 676개의 contig와 2,306개의 singleton을 분리하여 총 2,982개의 unigene을 분리하였다. NCBI 데이터베이스의 BLAST를 통한 상동성을 검색한 결과, 2,241개의 클론이 기능이 알려진 유전자이었고, 그 중에서 1,442개는 생물학적인 대사에 관여하고 836개는 세포구성물과 관련이 있었다. EST와 contig의 평균 크기는 각각 702bp와 757bp이었다. 포도새눈무늬병균에 감염된 머루 cDNA library로부터 Proline-rich cell wall protein, thaumatin-like protein, class IV chitinase, and pathogenesis-related (PR) protein 10 등의 다양한 방어관련 유전자와 광합성관련유전자 및 수분스트레스 저항성 관련유전자가 많이 검출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머루의 EST 자료는 포도의 새로운 유전자원에 관한 연구 및 내병성 포도 신품종 육종 프로그램에 기본자료로 유용하게 활용될 것이다.
4,000원
4.
2018.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ackground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resistance of Collectotrichum gloeosporioides to 9 fungicides. Methods and Results : With 3 isolates of Collectotrichum gloeosporioides obtained from diseased leaf of ginseng, it was conducted to detect the fungicide resistance of C. gloeosporioides against 9 chemicals through an agar dilution method. PDA medium was used for monitoring the resistance. Among the chemicals, fenhexamid・prochloraz manganese complex, fluazinam and metconazole exhibited high antifungal activity to the ginseng anthracnose fungus. When measuring the effectiveness for the prevention of anthracnose, 3 fungicides at 10 ㎍/㎖ showed 88.1 - 94.7% of preventive effect against C. gloeosporioides. But, the isolates resist to dimethomorph・dithianon, iminoctadine tris (albesilate), kasugamyci n・thiophanate-methyl, dimethomorph・pyraclostrobin, azoxystrobin. Conclusion : In summary, to develop the control system with fungicides, 3 fungicides (fenhexamid・prochloraz manganese complex, fluazinam and metconazole) were applied on ginseng at the indicated time. A reduced spray program based on efficacious fungicides will be useful for ginseng growers and provide more options for controlling anthracnose in 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