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1

        2.
        2018.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번식기 조류 조사(Breeding Bird surveys)는 생태계 내 군집 구조와 기능 그리고 생물다양성 보전을 위한 중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한다. 최근 기후변화 등에 따른 생물다양성이 급변함에 따라 산림성 조류조사 데이터의 정확성 및 공간적인 확대와 시계열적 모니터링을 위해 음향 센서 등의 활용이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조류 음성을 녹음한 데이터와 현장 조류조사 자료를 비교 분석하여 번식시기 산림성 조류의 군집 다양성 평가에 음향 녹음 센서의 활용 가능성을 파악하는 것이다. 2013년 5월 2일부터 16일까지 현장조사 및 녹음을 실시하였으며, 조사 대상지는 점봉산지역의 곰배령과 조침령, 그리고 소백산지역의 죽령과 고치령 구간으로 총 4개 권역 48개 지역, 186개 지점이었다. 녹음결과를 이용하여 현장조사에 의한 조류군집지수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녹음에 의한 조류 종의 수와 개체수, 울음소리 횟수는 현장조사에 의한 조류의 종의 수, 개체수와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었지만, 녹음에 의한 조류 종의 수와 음성의 횟수는 현장조사(관측과 청음 병행)에서의 종다양도, 종풍부도와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었지만 종균등도와는 약한 상관관계 혹은 관계가 없음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현장에서의 음성녹음 자료를 분석할 경우 조류군집의 종조성과 함께 종다양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비번식기의 음성녹음에 비하여 번식기의 음성녹음은 녹음결과와 종다양성과의 상관관계에서 보다 신뢰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활용가능성이 더 높은 것으로 사료된다.
        4,000원
        3.
        2015.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본 연구는 2015년 3월부터 9월까지 충청남도 공주시, 금 산시, 부여군, 충청북도 영동군, 옥천군 일대에 입구의 크기 별로 제작한 인공둥지(150×150×250mm, 입구지름 40mm; 250×250×350mm, 입구지름 70mm; 300×300×400mm, 입 구지름 100mm)를 설치하여 조류의 번식생태를 연구하고, 입구의 크기가 조류의 번식생태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자 수행하였다. 연구기간 동안 인공둥지에서 번식이 확인된 조류는 참새 (Passer montanus), 박새(Parus major), 곤줄박이(Parus varius), 파랑새(Eurystomus orientalis), 소쩍새(Otus sunia), 원앙(Aix galericulata) 총 6종이였다. 입구의 크기 별 로 살펴보면 지름 40mm에서 참새, 박새, 곤줄박이, 70mm 에서 박새, 곤줄박이, 파랑새, 소쩍새, 100mm에서 박새, 곤 줄박이, 소쩍새, 원앙이 각각 번식하였다. 특히, 법정보호종 (천연기념물)은 원앙과 소쩍새 2종이 번식하였다. 최초 번 식시기는 박새와 곤줄박이 등 소형의 삼림성 조류가 가장 빨랐으며, 상대적으로 참새, 소쩍새, 파랑새, 원앙이 늦었다. 번식성공률은 종별로 차이가 있었으며, 다양한 실패요인이 확인되었다. 주요 번식실패요인으로 박새는 곤줄박이와 원 앙에 의한 둥지강탈, 곤줄박이는 원앙에 의한 둥지강탈, 소 쩍새는 미부화, 원앙은 사람에 의한 인위적인 방해로 둥지 포기가 확인되었다. 상대적으로 크기가 작은 조류는 입구의 크기가 큰 둥지를 선택하였을 때 대체로 번식에 실패하였으 며, 같은 시기에 번식장소를 선택하는 조류에 있어서 종간 경쟁이 상당히 치열했다. 특히, 원앙의 경우에는 상대적으 로 경쟁력이 높았으며, 소형조류가 둥지 내부에 이끼를 이 용해 산좌를 깔아놓은 곳을 강탈하거나, 또는 알을 훼손하 고 둥지를 차지하였다. 그러나 원앙은 민가와 인접한 지역 에 둥지를 트는 경우가 많아 인간에 의한 갑섭이 크게 작용 하였다. 연구결과, 각종 개발과 도로건설로 인하여 산림 및 나무 의 훼손이 수반되어 자연생태계에는 조류가 산란할 장소가 부족한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짧은 번식기간 중 조류의 종간 및 종내 경쟁은 치열했다. 특히, 시간이 지남에 따라 경쟁에 서 뒤쳐지는 소형의 조류는 번식실패와 개체수 감소가 심화 될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입구의 크기를 달리 제작한 인 공둥지를 설치함으로 다양한 야생조류의 대체 산란지를 제 공하고 생물다양성 증가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 다.
        4.
        2015.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산불피해지의 복원과정은 산불 후 장기간에 걸친 천이의 영향으로 조류군집에 많은 변화가 예상되므로 장기적인 조사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대형 산불 발생 13년 후 복원 방법에 따른 번식기 조류 군집의 차이를 파악하기 위해 강원도 삼척시 검봉산 지역에서 산불 미피해지와 산불 후 자연복원지, 산림시업복원지 등 3개 지역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2013년 봄철 번식기 동안 108개 지점의 정점을 조사하였다. 조사 결과, 평균 종수와 개체수, 종다양도는 모두 자연복원지역이 피해목 벌채 및 식재와 같은 산림시업복원지역에 비해 높게 나타났으며, 미피해지역과 자연복원지역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길드 분석 결과, 수관 탐색 조류(foliage searcher)와 수간 및 나무줄기 천공 조류(timber driller), 일차 수동성 조류(primary cavity nester), 이차 수동성 조류(secondary cavity nester) 모두 산불 후 산림시업복원지역이 다른 두 지역보다 서식 밀도가 낮게 나타났으며, 미피해지역과 자연복원지역은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산불 후 개벌 및 조림으로 대표되는 복원 방법은 번식기 조류의 밀도 및 종 다양성 회복을 저해할 수 있으므로, 가능한 인위적인 산림시업 방법을 지양하고 자연복원 방식을 채택하는 것이 효율적인 방법이라 생각된다.
        4,000원
        5.
        2015.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We have conducted a verification test of correlation between bird community indices and bird sound recording results in order to use the equipment which deals with the automatic sound collecting system, the song meter. The study areas include four sites which are Gombaeryoung and Zochimryoung in Jeombongsan Mountain and Jookryoung and Gochiryoung in Sobaeksan National Park. We collected the bird sound data five times using a sound recorder and field survey results in the same place of the study site. As a result of the sound recording from the field survey, the species recorded by three researchers of sound analyst include common resident species or species which have a relatively conspicuous call and song. On the contrary, the species recorded by only one researcher are a relatively rare or inconspicuous species or was familiar with the personal experiences of each researcher. The number of species recorded by only one researcher totaled fourteen species (36.8 %), and that of two researchers totaled twelve species (31.6 %), and that of three researchers totaled twelve species (31.6 %). The correlations of the number of species among three researchers was not significant in some results, but the sum or maximum count of the number of species was useful to estimate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result of researchers and the indices of field surveys. As a result of correlation analysis by using sound recordings, the maximum number of species among the three researcher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 number of species, the species diversity index and the species abundance index in the field survey at the same site, however it did not correlate with the number of individuals and species evenness index. As a result of sound analysis collected from the stationary sound recording system; song meter, the number of frequencies in bird songs and calls correlated with the number of species in the field survey at the same site. The number of calls and songs decreased as time went by. Finally, we could test the active time range and change the activity strength by using a sound recording system. In particular, that sound recording system is able to collect data in same time and site, so it is expected so that the equipment not only replenish a shortage of researchers and survey periods in field research in a short term monitoring survey, but also be able to acquire statistical objectivity.
        4,000원
        6.
        2014.11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Distribution and abundance of birds have close relationship with the characteristics of habitats. Especially in breeding season, stable place to build up nests, food items for offspring and existence of available mates are important factors affecting successful reproduction. Therefore, breeding bird community varies according to the specific breeding habits for each species and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Mt. Halla is located center of Jeju island and consists of different vegetation according to the elevation. In lowland, Seonheul with 100m elevation has wetlands and evergreen broad leaved forests lies while mixed forest and Korean fir (Abies koreana) community in higher elevation. Mixed forest in Mt. halla was designated as gene conservation forest by Korea Forest Service because of its is high quality of preservation and is located in 1,200m elevation. Abies koreana forest in 1,300m elevation consists of mainly Korean fir (Abies koreana) that is endemic species in Korea, but is susceptable to wind and soil quality because of its shallow and spreading root system and recently being damaged due to the climate change. To investigate breeding bird community in Mt. Halla, bird census was conducted from April to August, 2011 to 2013. A total of 17 species which consists of 17 species in Seonheul, 9 species in the mixed forest, and 7 species in Abies koreana forest were observed during the study period. Community indices such as species diversity, evenness, and richness index were almost consistent yearly but changed according to the study sites. In Seonheul, diversity and richness index were much higher than in others. Mixed forest had slightly higher diversity and richness index than Abies koreana forest. According to the correspondence analysis(CA), bird community in Seonheul showed distinctive difference with that in mixed forest and Abies koreana forest. Similarity in bird community was higher in Seonheul, compared to that in mixed forest and Abies koreana forest. Bird species and individuals were more abundant in Seonheul. Nesting guilds were classified as ground, bush, canopy, hole, brood parasite, and artificial structures. All sites had the same composition of nesting guild across all three years. In Seonheul, variability of nesting guilds was greatest including ground, brood parasite, and artificial structures which were not observed in the other sites. In Seonheul, the number of species that bred in canopy was largest and in mixed forest and Abies koreana forest, the number of species that bred in hole was the greatest indicating most of the bird species used tall trees as nesting sites. The number of individuals in the entire sites tended to decrease yearly. The number of individuals that bred in canopy was greatest in Seonheul but decreased across years as well as in bush and hole. In Abies koreana forest, the number of hole nesters and the birds breed in canopy tended to decrease from 2011 to 2013. Foraging guilds were categorized into ground, bush, canopy, and air. The number of species consisiting foraging guilds was the same from 2011 to 2013 throughout study sites. The most preferred foraging guild was ground in Seonheul(7 species), while canopy in the mixed forest(6 species) and Abies koreana forest(5 speices). Also, the species foraged in the air, the barn swallow and the japanese paradise flycatcher were observed only in Seonheul. The average number of individuals that foraged in canopy, 50 individuals, was greatest in all the sites across all three years and the following was in ground consisting 32 individuals. The number of individuals that foraged in canopy which mainly comprised of great tits, varied tits,and japanese white-eyes, tended to decrease in Seonheul, 80 to 44 and Abies koreana forest, 46 to 24 from 2011 to 2013, except mixed forest in which the number of these increased. In Seonheul, the number of individuals foraged in air tended to increase because of the sudden increment in the number of barn swallows: 24 individuals in 2011 to 52 in 2013 as shown in the number of individuals nested in artificial structures. Since Seonheul provides diverse habitats such as wetlands, various vegetation structures and high coverage of tree layer, many different bird species inhabit. Barn swallows and japanese paradise flycatchers which forage for these flying in the air were observed in Seonheul and it seems that this is because the environment seems suitable for insects. Generally tall trees were most favored as nesting and foraging place in all the study sites. For example, the japanese paradise flycatcher and the fairy pitta which favor dark area seemed to have bred in Seonheul, because of the high coverage of tall trees blocked sunlight enough. Also, Family Paridae such as great tits and varied tits nested in holes in tall trees. Furthermore, Family Paridae, japanese white-eyes and brown-eared bulbuls foraged for insects and fruits on tall trees, occupying the largest portion in terms of the number of individuals in foraging guilds. Despite this high usage of tall trees, these are now being lost in Seonheul and Abies koreana forest. Especially in Seonheul, Pinus thunbergii that infected by Bursaphelenchus xylophilus are logged out since October, 2013, deteriorating habitat quality. Furthermore in Abies koreana forest, almost half of the Abies koreana has died and 20.7% of them died since 2011 mainly due to the climate change, according to the Mt. Halla research institute. Such environmental change might have caused decrease in the number of individuals that rely on the tall trees for both nesting and foraging place such as white-backed woodpeckers, great tits, coal tits, varied tits and brown-eared bulbuls. From 2011 to 2013, average daily temperature increased rapidly and average maximum temperature in March, right before egg laying period, increased by 4℃ compared to that in 2011. It has been reported that abrupt change in early breeding period could result in decreased reproduction success rate because of mismatch of time between hatching period and time when caterpillar abundance is high enough to feed nestlings. Therefore, the average temperature increase also might have caused decreased individual number of the species in great tits and varied tits.
        7.
        200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조류가 식물 열매의 성숙도와 크기에 따라 어떻게 선택하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사육 중인 3종의 새에게 성숙도와 크기가 다른 식물 3종의 열매를 주어 그 먹는 양을 계수하고, 다변량통계로 분석하였다. 실험에 사용한 새는 금계(Chrysolophus pictus, 꿩과), 양비둘기(Columba rupestris, 비둘기과)와 자바공작 (Pavo muticus, 꿩과)이고, 열매는 왕벚나무(Prunus yedoensis, 장미과), 뜰보리수나무 (Elaea
        4,000원
        8.
        2008.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지리산국립공원의 해발고도와 식생에 따른 번식기 조류군집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조사를 위하여 고도와 식생에 따라 4개 조사구를 선정하고 2006년 3월부터 8월까지 번식기 조류군집과 서식지환경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전체 조사지에서 관찰된 조류 종수는 총 32종으로 각 조사구별 관찰 종수 및 밀도는 고도가 낮은 혼효림 조사구에서 27종, 37.31마리/ha, 고도가 낮은 활엽수림 조사구에서 23종, 34.99마리/ha, 고도가 높은 혼효림 조사구에서 18종, 23.95마리/ha, 고도가 높은 활엽수림 조사구에서 19종, 20.21마리/ha이었다. 고도가 낮은 지역에서만 관찰된 종은 11종(멧비둘기, 검은등뻐꾸기, 직박구리, 호랑지빠귀, 붉은머리오목눈이, 숲새, 산솔새, 쇠솔딱새, 큰유리새, 박새, 동박새)이었으며, 고도가 높은 지역에서만 관찰된 종은 4종(들꿩, 매사촌, 두견이, 흰배멧새)이었다. 조류 종수와 밀도는 고도가 낮은 지역과 혼효림에서 높게 나타났다. 영소길드는 고도가 낮은 지역은 3가지 유형의 종수가 비슷하게 나타났으며, 고도가 높은 지역은 수관층 영소길드의 종수가 적게 나타났다. 채이길드는 모든 조사구에서 수관층 채이길드의 종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종별 밀도의 조사구별 차이분석에서 식생에 따른 밀도의 유의적 차를 나타낸 종은 고도가 낮은 지역에서 4종으로 그 중 오목눈이와 박새는 수관층의 피도량의 차이, 진박새는 침엽수서식지 선택 특성에 따른 것이었다. 고도가 높은 지역에서 5종은 관목층 수목의 밀생에 따른 것으로 조사되었다. 고도에 따른 밀도의 유의적 차를 나타내는 종은 10종으로 벙어리뻐꾸기, 굴뚝새, 쇠유리새, 쇠솔새, 진박새, 노랑턱멧새는 고도가 높은 지역에서, 흰배지빠귀, 오목눈이, 곤줄박이, 동고비는 고도가 낮은 지역에서 밀도가 높게 나타났다. 지리산 번식조류군집 분포는 관목층의 밀생과 수관층의 총피도량 차이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보여진다. 그러므로 관목층의 피도량과 수관층의 엽층다양성 및 총피도량 관리 및 유지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4,000원
        9.
        2008.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남산과 광릉의 침엽수림을 대상으로 번식기 조류 군집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2006년 4월부터 8월까지의 기간 동안 실시되었다. 두 지역에서 각각 10ha 크기의 고정조사구를 설치하고 세력권 도식법을 이용해서 번식기 조류군집의 특성을 조사하였다. 남산과 광릉의 침엽수림 지역에 생육하고 있는 수목의 흉고직경 분포와 엽층의 수직적 구조는 큰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 지역의 번식기 조류 군집 조사 결과, 번식 종수 및 번식 쌍수, 번식 밀도, 종 다양도 지수 등이 모두 광릉 지역에서 높았다. 번식기 조류 군집의 길드 구조에서도 두 지역 간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류 군집의 다양성 및 특성이 두 지역 간에 차이가 있는 것은 두 지역의 서식 환경과 밀접한 관련이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남산과 같이 훼손된 생태계 내에서 조류 군집의 보호 및 관리를 위해서는 산림 환경 구조의 다양성을 확보 할 수 있도록 산림의 엽층 피도량을 증가시키고 또한 구조적, 기능적으로 다양한 구조의 환경으로 유도하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4,000원
        10.
        2000.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1994년 4월에서 8월까지의 기간 동안 지리산국립공원내 임걸령 지역과 노고단 지역에서 등산로가 개설되어 있는 지역과 개설되어 있지 않은 지역을 대상으로 등산로가 번식기 조류 군집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함으로써 등산로의 합리적인 관리방안을 모색하고가 실시하였다. 조사지역별 서식지 환경은 노고단 등산로 지역과 노고단 지역이 유사하였으며 임걸령 등산로 지역과 임걸령 지역이 각각 유사하였다. 4개 지역에서 조사를 실시 한 결과 총 25종의 조류가 관찰되었으며. 그 중 18종이 번식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번식기 조류 군집의 종 수 및 번식 쌍수와 길드구조에 있어서 산림 지역과 등산로 지역간에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아, 등산로가 조류 군집에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았던 것으로 판단된다. 이는 등산로의 상층식생이 울폐되어 상층수관이 연결되어 있었으며, 등산로 주변에 하층식생이 발달해 있는 지역이므로 조류 군집에 큰 영향을 주지 않았던 것으로 보여진다. 그러므로 등산로의 개설 혹은 현재 등산로의 유지 및 관리를 위해서 등산로 주변의 수관 울페율을 높게 유지할 수 있도록 등산로 주변의 대경목 및 상층임관이 보호 및 관리되도록 해야 하고, 또한 주변의 식생, 특히 관목층 및 하층식생의 보호 및 유지가 할 것으로 판단된다.
        4,000원
        11.
        2009.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Early Bird"는 국립원예특작과학원에서 2007년도에 육성한 포인세티아 신품종이다. 이 품종은 2004년에 착색엽의 결각이 강하고 포엽이 밝은 적색인 'chiban'을 모본으로, 생육이 왕성하고 진한 적색 포엽의 'reedom Red'를 부본으로 교배를 실시하여 양성된 실생계통 중 선발되었다. 2005~2006년 2차에 거쳐 특성검정을 하여 '원교 D5-33을 육성하였고 2007년에 3차 특성검정과 품평회를 실시하여 최종선발 하였으며 "ar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