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0

        1.
        202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경동맥의 치료 초음파 자극이 뇌의 생리적인 작용에 미치는 영향은 여전히 연구가 필요한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 에서는 치료용 초음파를 이용한 비침습적이고, 정량적인 열자극 기법을 이용하여 경동맥의 자극을 통해 뇌의 생리적 인 기능을 개선하고 건강한 뇌 기능을 유지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건강한 20대 성인 남녀 27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바로 누운 자세에서 진단용 초음파를 이용하여 우측 총경동맥(right common carotid artery, CCA)의 자극 위치를 확인하고, 우측 목빗근(sternocleidomastoid muscle)에 치료 초음파 자극을 적용하였다. 치료 초음파 자극은 치료용 초음파를 이용하여 3MHz의 주파수에서 총 2가지 강도 (5W/cm2 and 10W/cm2)에서 각각 2분 동안 중재하였다. 근적외선분광법(near-infrared spectroscopy, NIRS)을 이용하 여 대뇌산소포화도(regional cerebral oxygen saturation, rSO2) 및 헤모글로빈(hemoglobin, Hb) 농도의 변화를 측정 하여 비교하였으며, 추가적으로 강도에 따른 중재 구간별 변화를 비교 분석하였다. 두피와 대뇌피질 사이(Shallow) 영역에서 rSO2는 강도에 따라서 서로 증감이 다르게 나타났다. 즉, 5W/cm2에서는 중재전과 비교하여 중재중과 중재후에 모두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고, 10W/cm2에서는 모두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지 만,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 반면, 대뇌피질(Deep) 영역에서는 중재중에서 강도와 상관없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감소를 보였고(p = .001 for 5W/cm2; p < .001 for 10W/cm2), 중재중과 비교하여 중재후에는 다시 중재전의 상태로 회복되는 경향을 보였다(p = .016 for 5W/cm2; p = .012 for 1 0W/cm2). 옥시헤모글로빈 (oxyhemoglobin, HbO)의 변화는 5W/cm2 자극에서 중재중에서만 유의한 증가를 보였고(p = .036), 디옥시헤모글로 빈(deoxyhemoglobin, HbR)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지만,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 10W/cm2 자극에서 HbO와 HbR이 모두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지만,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강도에 따른 변화는 Shallow 영역에 서 rSO2가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중재중, p = .023; 중재후, p = .022). 결론적으로 3MHz의 주파수와 5W/cm2와 10W/cm2 강도로 중재를 수행하게 된다면, 중재중에 Deep 영역의 rSO2 의 감소를 야기한다는 것을 볼 수 있었다. 10W/cm2의 강한 강도의 자극에서는 Shallow 영역에서 rSO2가 증가하고, Deep 영역에서는 감소하는 것을 보여주었다. 이는 강한 강도의 자극에 의해 내경동맥의 혈류 증가로 인한 대뇌피질 에서의 효과적인 자극이 아니라 외경동맥의 혈류 증가로 인하여 Shallow 영역에서의 혈류 공급의 과다로 인한 현상 이 나타난 것으로 보여 진다. 반면, 대뇌에서 HbO는 5W/cm2의 강도에서 증가하였고, 이는 전반적인 산소 공급량이 높아졌음을 의미한다. 이에 적절한 강도의 치료용 초음파 자극을 사용한다면 기존에 알려져 있던 뇌혈류의 개선을 통하여 뇌혈관 건강을 개선하는 기능과 더불어 대뇌의 생리적인 기능을 조절하여 뇌기능의 개선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4,000원
        2.
        2020.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o accurately determine the resection margin for maxillary cancer, it is important to closely examine the extent of tumor infiltration into the maxilla, nasal cavity, maxillary sinus, palate, and surrounding tissues. Various methods have been described for the resection of maxillary tumors, such as alveolectomy, partial maxillectomy, subtotal maxillectomy, total maxillectomy, and extended maxillectomy.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troduce external carotid artery (ECA) ligation on the ipsilateral side, a perioperative bleeding control method with fewer complications. Incidence of major bleeding during maxillectomy is a rare but potentially life-threatening complication. Cases of temporary bleeding from an internal maxillary artery or other sites can be stopped, packed, and compressed. However, bleeding control is eventually achieved by ligation of the ECA or selective embolization. Herein, we report the case of a 60-year-old male with squamous cell carcinoma of the right maxilla, which was eventually treated with subtotal maxillectomy along with an elective ECA ligation for intraoperative bleeding control. The procedure produced no preoperative or postoperative bleeding. ECA ligation is a simple, effective, safe, and (at the operator’s discretion) recommended method of perioperative bleeding control during maxillectomy.
        4,000원
        3.
        2020.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Background: Due to aging, blood flow rate decreases, also posture and chewing habit may be changed. Objective: To identify that changes in blood velocity in the common carotid arteries (CCAs) in old persons with unilateral chewing habit (UCH) and forward head posture (FHP) in the elderly. Design: An observational cross-sectional study. Methods: Chewing habits, FHP, and CCAs velocities were assessed in 85 elderly subjects. Chewing habits were measured by visual observation. CCAs measured the peak systolic velocity (PSV), end-diastolic velocity (EDV), minimum diastolic velocity, and resistivity index.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UCH and bilateral chewing habit groups depending on chewing habit. The subjects were also divided into >49 degrees and <49 degrees for comparison of blood flow between the left and right CCAs. Results: In the UCH, the chewing side had significantly higher EDV (P=.003), PSV (P=.023) than the non-chewing sid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velocity between the CCAs in the FHP. Conclusion: This study shows that the blood flow velocity of the chewing side of UCH was higher, and unilateral chewing affects the CCAs velocity and thus highlight the importance of chewing habit in the elderly than head posture.
        4,000원
        4.
        2014.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Background and Purpose: The Ankle-Brachial Index (ABI) is the ratio of blood pressure in the lower legs to that in the arms. The intima-media thickness (IMT) of extracranial carotid arteries determined by B-mode ultrasound is a measurable index of the presence of atherosclerosis. A low ABI and a high carotid IMT are independently related to increased risk of cardiovascular events. This study examined the association between carotid IMT and ABI in patients with ischemic stroke. Materials and Methods: Retrospectively, 116 hospitalized patients with ischemic stroke were recruited. Using a pulse wave velocity ABI device along with carotid duplex sonography, we measured carotid IMT and ABI and investigated the correlation between average values. Result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carotid IMT between the normal and abnormal ABI groups (P=0.0262). The group with an abnormal ABI was more than five times as likely to have increased carotid IMT as the group with a normal ABI (age, sex-adjusted OR 5.67 (95% CI 1.85~17.38)). The ABI and carotid IMT showed a weak inverse linear correlation in patients with ischemic stroke (correlation coefficient −0.378 after adjusting for age and sex). Conclusion: Our study suggests that an abnormal ABI is associated with a high carotid IMT in patients with ischemic stroke.
        3,000원
        5.
        2014.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association between carotid artery calcification (CAC) on panoramic radiograph and intima-media thickeness (IMT) measured on ultrasound. Panoramic radiographs which were taken from dental patients aged 50 years and older who visited for dental treatment were screened for the presence of CAC. The study group was composed of seven patients (four males and three females, average age 74.4±4.2 yrs) with CAC detected on panoramic radiographs, and the control group eleven patients (seven males and four females, average age 64.5±10.1 yrs) without CAC. All the patients underwent carotid ultrasonography to measure carotid IMT. The IMT was compared between the groups by nonparametric analysis of covariance (ANCOVA). The range of IMT of the study group was 1.10~2.0 mm, while that of the control group 0.60~1.10 mm. The mean of IMT was 1.50±0.34 mm in the study group and 0.85±0.14 mm in the control group, and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p<.01). In conclusion, CAC detected on panoramic radiograph might have an association with atherosclerosis
        4,000원
        9.
        2011.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aim of this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SSP therapy on the internal carotid arteries blood flow of 24 tension type headache patients(study group) and non tension type headache patients(control group), and on the reduction of their headaches, when applied to the acupuncture points. It stimulated the acupuncture point of headache 6 place with the SSP. It measured VAS and the blood flow of the internal carotid arteries with TCD. When the internal carotid arteries blood flow of study group and control group were compared by period,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the 4th period(p<.05). When the Visual Analog Scale of study group and control group were compared by period,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the 4th period(p<.05). The comparison of each measurement result of the internal carotid arteries blood flow of the study group found significantly increased. The comparison of each measurement result of the VAS of study group found significantly decreased. With regard to the control group, the VAS significantly decreased. The silver spike point low frequency electrical stimulation treatment, when applied to the acupuncture point, can significantly influence the internal carotid arteries blood flow of headache patients and can significantly reduce their headaches.
        4,000원
        16.
        2019.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건강검진을 목적으로 내원하여 경동맥초음파를 실시한 11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경동맥의 내중막 두께는 심혈관 질환 및 뇌혈관 질환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임상에서 선별 검사로 많이 이용되고 있는 경동맥 초음파를 이용하여 경동맥 내중막 두께와 체질량지수, 허리둘레, 혈청 지질수치, 공복 혈당, 당화혈색소, 혈압등이 갖는 연관 관계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경동맥초음파상 IMT두께가 0.8 mm 이상을 비정상으로 간주하고 죽상경화증(atherosclerosis)의 유무를 평가하였으며, 혈청검사를 통하여 지질학적 수치 및 공복혈당수치, 당화혈색소를 분류하여 상관관계를 알아보았다. 그 결과 허리둘레(p=.022), 저밀도 콜레스테롤(p=.004), 공복혈당수치(p=.019), 당화혈색소 수치(p=.002)가 죽상경화증(at herosclerosis을 일으키는 예측인자로 분석되었다. ROC 곡선 분석에서 허리둘레에서 민감도 87.80%(95% CI : 73.8-95.9), 특이도 41.67%(95% CI : 30.2-53.9), 저밀도 콜레스테롤에서 민감도 78.05%(95% CI : 62.4-89.4), 특이도 50.00%(95% CI : 38.0-62.0 공복혈당에서 민감도 73.11%(95% CI : 57.1-85.8), 특이도 61.11 (95% CI : 48.9-72.4)), 당화혈색소에서 민감도 82.93%(67.9-91.8), 특이도 43.06%(31.4-55.3)를 나타내었다. 로지스틱 회귀분석에서 죽상경화증(atherosclerosis) 발생위험성은 허리둘레(WC)>76 cm에서 0.248배, 저밀도 콜레스테 롤(LDL-C)≥124 mg/dL에서 3.475배, 당화혈색소(HbA1C)>5.4%에서 0.618배로 나타났다. 향후 심뇌혈관질환의 효과적인 일차예방 역할을 위해 다수의 대상자를 대상으로 혈액검사수치를 고려하여 혈관의 추적관찰이 용이한 경동맥초음파를 통한 전향적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 된다.
        17.
        2018.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 목적은 연령별 대장용종의 발생과 경동맥 내중막 두께와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장내시경과 경동맥 초음파를 동시에 시행한 환자를 대상으로 연령별로 나누어 경동맥 내중막 두께에 따라 대장용종 발생의 상관관계를 교차분석을 토대로 확인하였다. 분석결과 대사증후군 환자 중 연령별로 대장용종과 경동맥 내중막 두께와의 연관성은 고령일수록 높은 일치결과를 나타냈고, 경동맥 내중막 두께가 1.1mm이상일 때 용종발생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대사증후군 환자의 용종발생비율은 경동맥 초음파 검사와 대장내시경과 높은 상관관계가 있었고, 고령일수록 경동맥 내중막 두께가 두꺼울수록 높았다.
        18.
        2016.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건강검진을 목적으로 내원하여 경동맥초음파를 실시한 140명을 대상으로 경동맥의 내중막 두께(IMT; intima media thickness)변화 및 죽상경화반(Plaque)의 유무와 혈액학적 검사와의 상호연관성을 알 아보고자 시행되었다. 경동맥초음파상 IMT두께가 1 mm 이상을 비정상으로 간주하고 죽상경화반의 유무를 평가하였으며, 혈청검사를 통하여 지질학적 수치 및 공복혈당수치를 분류하여 상관관계를 알아보았다. 그 결과 공복혈당수치가 죽상경화반을 일으키는 유일한 독립적인 예측인자로 분석되었고(p=0.033), ROC 곡선 분석에서 cut off value는 126 mg/dL(민감도 56.25%, 특이도 68.33%)로 결정되었다. 또한 로지스틱 회귀분석 에서 위험율(Odds ratio)은 1.01배로 나타났다. 따라서 향후 다수의 대상자로 장기적인 전향적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되며, 혈액검사수치를 고려하여 심뇌혈관질환의 효과적인 일차예방 역할과 혈관의 추적관찰을 위한 경동맥초음파가 적극적으로 권고 된다.
        19.
        2015.06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Spontaneous rupture of the carotid artery is rare, however, it is a fatal injury and early diagnosis is very important. We expe-rienced a 54-year-old male patient who presented to the emergency department with an expanding neck mass after cough. Rupture of the common carotid artery 2 cm before bifurcation with a pseudoaneurysm was diagnosed on neck computed tomography angiography. Focal tear of the artery was repaired surgically with suture. Herein, we report on a rare occurrence of a spontaneous carotid artery rupture and review other reports.
        20.
        2009.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총경동맥은 심장으로부터 혈액을 직접 대뇌로 전달하는 동맥 혈류 순환이 중요하며, 특히 동맥 혈관내의 혈액의 흐름을 방해하는 여러 변인들이 있다. 그 변인 중에서도 평균혈류속도, 맥박지수, 및 혈류 저항 변인 등이 있는데,이중 맥박지수나 혈류저항지수는 최대 수축기와 이완기시 혈류속도와 관련이 되어있기 때문에 혈압과도 중요한 변인들이 된다, 이와 같은 뇌혈류 속도 변인들의 변화에 대해서 관찰하는 데는 비침습적인 초음파를 이용한 도플러 뇌혈류 측정법을 이 용한다. 최대운동은 20대 남성에서 뇌로가는 혈류인 총경동맥의 혈류속도를 증가 시킬 수있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