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0

        1.
        202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bstract Purpose : This study analyzed physical properties using 1,6-Hexanediol diacrylate (HDDA) as an additive to improve functionality of hydrogel lens such as durability. It was checked whether HDDA can be applied as a crosslinking agent in place of ethylene glycol dimethacrylate (EGDMA). Methods : Polymerization used thermal polymerization and photopolymerization methods, and HDDA was added to each polymerization method at a ratio of 1∼20%. Optical and physical characteristics of the manufactured lens were evaluated by measuring spectral transmittance, refractive index, water content, tensile strength, contact angle, and AFM. Results : Regardless of the polymerization method, the tensile strength ranged from 0.232~0.408 kgf/mm2 in thermal polymerization and from 0.146~0.429 kgf/mm2 depending on the addition ratio of HDDA. In addition, as a result of using HDDA instead of EGDMA, it was confirmed that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the lens were similar to that of EGDMA, and in the case of tensile strength, HDDA was much improved. Conclusion : HDDA has been shown to be effective in improving the functionality of hydrogel lens and to improve stability and durability. In addition, it is believed that it can be used in various ways as an ophthalmic material as well as a photopolymerization crosslinking agent. Key words : Crosslinking agent, Tensile strength, 1,6-Hexanediol diacrylate, Hydrogel lens
        4,000원
        2.
        2021.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재질과 곡률반경이 다른 소프트렌즈 렌즈 착용 후 자동굴절검사계를 통한 덧댐검사 측정과 각막지형도 기기 측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 각막곡률 평균 7.77±0.24 mm인 20명(평균연령= 24.73±2.52세)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BC 8.5mm 와 9.0 mm의 BC를 가진 하이드로겔렌즈 그리고 실리콘하이드로겔렌즈 총 4가지의 동일도수의 렌즈(-3.00 D)를 참여자들이 무작위 순서로 착용하도록 하였으며, 렌즈 착용 전과 착용 중 자동굴절검사계를 이용한 덧댐검사 측정과 각막지형도의 측정을 하였으며, 변화량을 산출하기 위하여 착용한 렌즈의 도수를 보정한 후 분석하였다. 결과 : 자동굴절계 및 각막지형도 측정한 굴절력의 변화량의 4종의 렌즈간 통계적 유의성이 없었다(자동굴절계 p=0.691, 각막지형도 p=0.438). 재질별 자동굴절계 측정 차이는 하이드로겔 0.05±0.05 D, 실리콘하이드로겔 0.12±0.04 D(p=0.327), 베이스커브 따른 자동굴절계 측정 차이는 BC 9.0 mm은 0.06±0.05D, BC 8.5 mm 인 경우 0.11±0.05 D(p=0.482) 으로 통계적 유의성이 없었다. 재질별 각막지형도 굴절력 차이는 하이드로겔 0.30±0.05 D, 실리콘하이드로겔 0.38±0.05 D(p=0.298), BC에 따른 각막지형도 굴절력 차이는 BC 9.0 mm은 0.36±0.04 D, BC 8.5 mm는 0.32±0.06 D,(p=0.482)으로 통계적 유의성이 없었다(p=0.537). 결론 : 렌즈의 재질과 베이스커브에 따른 렌즈 착용전 후 자동굴절계를 통한 덧댐굴절검사 측정은 차이가 없지만 각막지형도상에서는 0.25 D 이상의 변화가 측정됨으로, 콘택트렌즈 처방 시, 세심한 주의가 필요시 된다.
        4,000원
        4.
        2014.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Purpose: This study evaluated the physical and optical characteristics of hydrophilic contact lens polymerized with addition of 1-vinylimidazole in the basic hydrogel contact lens material, and in particular, the utility of 1-vinylimidazole as a contact lens material for ophthalmologic devices was investigated. Methods: This study used 1-vinylimidazole with the cross-linker EGDMA (ethylene glycol dimethacrylate), HEMA (2-hydroxyethyl methacrylate) and the initiator AIBN (azobisisobutyronitrile) for copolymerization. The polymerization of the contact lens material was conducted through thermal polymerization in 100°C for about 40 mins. To produce the high functional contact lenses, a cast mould method was used. Results: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hydrogel ophthalmic material were investigated by measuring the average value of refractive index, water content and optical transmittance. The refractive index of 1.4330~1.4408, water content of 36.10~38.59%, UV-A transmittance of 90.0~72.2% and UV-B transmittance of 88.6%~64.2% and visible ray transmittance of 89.2~91.8% were obtained. The transmittance for visible light was over 89% in all combinations with 1-vinylimidazole and the transmittance for UV reduced up to a certain level in certain combinations with 1-vinylimidazole. Conclusion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produced copolymer can be estimated to be suitable for use as ophthalmic lens material for UV- blocking effects.
        5.
        201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본 연구는 trimethylsilyl methacrylate와 titanium silicon oxide 나노입자를 사용하여 친수성 하이드로젤 콘택트렌즈 재질을 중합하고 제조된 친수성 콘택트렌즈의 물리적, 광학적 특성을 분석하여 이들 물질들의 콘택트렌즈 재료로서의 활용도를 알아보았다. 방법: 고분자의 중합은 2-hydroxyethyl methacrylate, methyl methacrylate 및 n-vinyl pyrrolidone과 가교제인 ethylene glycol dimethacrylate를 기본 조합으로 하였으며, 개시제로는 AIBN을 사용하였다. 제조된 렌즈의 물성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trimethylsilyl methacrylate와 titanium silicon oxide를 첨가하여 중합하고 함수율, 굴절률, 산소투과도, 분광투과율을 측정하였다. 결과: 제조된 친수성 콘택트렌즈는 하이드로젤 콘택트렌즈의 기본물성을 만족하였으며, 첨가제인 trimethylsilyl methacrylate의 양이 증가함에 따라 산소투과도는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titanium silicon oxide 나노입자의 첨가는 친수성 렌즈 소재의 기본적인 물성을 변화시키지 않으면서 자외선을 차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해 trimethylsilyl methacrylate와 titanium silicon oxide는 콘택트렌즈의 기본적인 물성을 만족시키면서 고산소투과성 및 자외선 차단 콘택트렌즈 재료로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4,000원
        6.
        2011.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 적: 본 연구는 3-VPBA(3-vinylphenylboronic acid)를 기존의 콘택트렌즈 재료에 첨가하여 공중합하였으며, 제조된 콘택트렌즈의 물리적 특성을 비교하여 내구성을 갖는 안의료용 고분자로서의 활용을 알아보았다. 방 법: 실험에 사용한 콘택트렌즈를 제조하기 위해 ca캐스트 몰드법을 사용하였으며, 배합한 재료들을 몰드에 주입시키고, 진공 오븐(vacuum oven)을 사용하여 70℃에서 40분, 80℃에서 40분, 100℃에서 40분간 가열하여 중합 및 제조하였다. 개시제로는 0.10%(wt) AIBN(azobisisobutyronitrile)을 사용하였다. 결 과: 3-VPBA를 첨가한 콘택트렌즈 재료의 경우, 3-VPBA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인장강도와 굴절률이 각각 1.437~1.461과 0.295~0.789 kgf으로 점차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결 론: 본 실험결과를 토대로 했을 때 생성된 공중합체는 높은 내구성과 고 굴절률을 갖는 안 의료용 재료로 사용되기에 적합할 것으로 판단된다.
        4,200원
        7.
        2010.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urpose : In this study, we manufactured functional contact Jens using 2-hydroxyethyl methacrylate, N-vinyl-2-pyrrolidone, methyl methacrylate and nano Au, platinum with antibiosis. Methods : The resulting mixture was copolymerized by heating at 70"C for about 40 minutes, at 80"C for about 40 minutes, and finally at wo·c for about 40 minutes. Results :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produced polymers were measured as followings. The refractive index of 1.431-1.432, water content of 38.58-39.53%, visible transmittance of 89.8- 91.5%, and oxygen transmissibility of 6.5934 xl0-9 cm/s ml Oz/ml xmmHg were obtained. Conclusions : In this study, we manufactured high-performance ophthalmic material containing nano gold and pJatinum which could protect eye from envirorunental factors. lt is judged that functional polymer materia! with the physical properties required to produce contact Jens was made.
        4,000원
        8.
        200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최근 소프트 콘택트렌즈는 소재의 연구개발 뿐만 아니라 기능성의 연구개발도 함께 이루 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Ag를 이용하여 항균성을 갖는 기능성 콘택트렌즈를 제조하였다. 방법: 기존 소프트 콘택트렌즈의 재료와 AgNO3을 혼합하여 교반한 후, 70℃에서 약 40분, 80℃에서 약 40분 건조하였다. 마지막으로 100℃에서 약 40분 열처리 공정을 거처 공중합하였다. 결과: 물리적 특성으로는 건조 후와 수화 후의 굴절률은 1.502~1.504와 1436~1.445, 함수율은 34.54%~39.03% 그리고 가시광선 투과율은 79.1%~83.8%를 나타내었다. 결론: 기존 소프트 콘택트렌즈의 소재와 은과의 중합을 통해 콘택트렌즈의 물리적 특성에도 부합되는 폴리머가 생성된 것으로 판단된다.
        4,000원
        9.
        2009.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본 연구에서는 Polyphosphazene을 고산소투과성 콘택트렌즈 재료로 활용하기 위하여 vinyl기와 2-hydroxyethyl methacrylate로 치환된 poly(vinylphosphazene)을 합성하였다. 방법: HEMA와 Vinyl기로 치환된 polyphosphazene은 거대분자 치환법을 사용하여 합성하였다. poly(dichlorophosphazene)를 고리 열림 고분자 중합법을 사용하여 합성한 후, Grignard 시약인 (CH2=CH-MgBr)을 가하여 vinyl기로 치환시켰으며, 합성한 폴리머를 다시 HEMA(2-hydroxyethyl methacrylate)와 반응시켰다. 결과: 1H-NMR spectrum 분석결과 중합가능한 vinyl기와 2-hydroxyethyl methacry-late로 치환된 poly(vinylphosphazene)을 확인하였다. 결론: 합성된 물질은 고산소투과성 콘택트렌즈 재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4,000원
        10.
        200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콘택트렌즈 단백칠 침전물의 양은 착용하는 콘택트렌즈의 재질과 사용하는 관리용 액의 종류에 따라서 크게 다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인공눈물을 이용한 m vitro 방법으로 Group 1, Group III, Group IV 의 소프트콘택트렌즈에 단백질 침전물 을 오염시킨 후 계면활성세척액과 다목적용액을 사용하여 콘택트렌즈뜰 세척하고 콘 택트렌즈에 남아있는 단백질을 Bradford 법으로 처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륜 얻었다. 세척 후 남아있는 단백질 침전물은 Group IV 렌즈가 Group 1 렌즈보다 16 레 이상 많았으며, 모든 재질의 렌즈에서 계면활성서l 척액은 다목적용액보다 세척효과가 우수힌 것으로 나타나 다목적용액으로 Group IV 렌즈틀 세착한 경우에는 계떤활성세척액으로 Group 1 렌즈플 세착한 경우보다 단백칠 침전물이 30 배 이상 증가하였다 그러나 실리 콘하이드로젤렌즈의 경우 비이온성, 이온성 재질에서 모두 단백질 침전불이 잘 부착되 지 않았으며 반복오염에 의해서도 침전물이 적게 부착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단백질 침전물의 양은 렌즈의 재잘과 표면처리방법과 판리용액에 의해 영 향을 받는 것으로 사료된다.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