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6

        1.
        2012.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 목적 : 본 연구는 감각통합치료가 지적장애아동의 문제행동의 개선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 연구방법 : 본 연구는 과제이탈, 주의산만, 상동행동을 가지는 지적장애 9세 남아를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총 20회기, 주 3회, 40분, 1:1 감각통합치료를 통한 문제행동을 다중기초선 설계(multiple-based line)로 A-B설계를 사용하였으며 사건기록법으로 측정하고 분석하였다. ◉ 결과 : 대상아동은 감각통합치료를 통해서 과제이탈행동 23회에서 11.30회로 11.7회가 감소하였고, 주의산만은 22.57회에서 10.62회로 11.95회 감소하였고, 상동행동은 18.6회에서 7.4회로 11.2회 감소하였다. ◉ 결론 : 본 연구는 감각통합치료가 지적장애아동의 문제행동감소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4,500원
        2.
        2012.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전래동화는 전통사회의 질서와 종교적 세계관을 포함하고 있으며, 전통사상과 문화가 언어를 매개로 자연스럽게 후세에 전승되는 특징을 가진다. 특히, 전래동화는 학령기전에 성인과 아동이 음성이나 몸짓, 표정 등을 통해 즐거움을 함께하는 도구로 활용되며, 재미있는 이야기 속에 숨겨진 조상의 지혜와 슬기를 자연스럽게 익히는 계기가 된다. 또한, 아동의 언어교육을 위해 전래동화의 활용이 필요하다는 인식은 모두가 공유하고 있는 사실이다. 그러나 아동기는 언어발달이 급속하게 변화하는 시기로서 개인차가 크므로 언어발달에 적합한 교재의 선택은 매우 어려운 과제로 여겨지며, 일반적으로 전래동화를 0-3세아, 4세-8세아 등으로 폭넓게 구분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며, 이 시기의 언어발달은 양과 질에 있어 급격하게 변화하는 특성이 있어, 어휘력발달에 적합한 전래동화의 연령별 단계가 세밀할 필요성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아동의 어휘발달에 기초하여 전래동화의 어휘 구성이 아동의 연령 발달 변화에 적합한가를 평가하고 분석함으로써 아동의 어휘력 발달에 적합한 전래동화의 선택 기준을 제시하고자 한다.
        6,300원
        3.
        2011.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동화를 활용한 시-지각 프로그램을 개발을 통해서 지적장애 아동의 작업수행과 시-지각 기능이 향상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 연구방법 : 시-지각 기능에 문제를 보이는 지적장애 만 10세 남자 아동 대상으로 부모님의 동의를 얻어 총 15회기, 주3회, 30분, 1:1 동화를 활용한 시-지각 훈련을 하였다. 프로그램을 위해 사전 사후 평가로 운동 시-지각 검사-3(Motor visual perception test-3 ; MVPT-3)을 사용하였고, 작업수행 평가를 위해서는 캐나다 작업수행 측정(Canadian Occupational Performance Measure : COPM)을 사용하였다. ◉ 결과 : 대상아동은 동화를 통한 시-지각 훈련을 통해서 원점수 28점에서 33점으로 만 6세 6개월에서 만 9세 6개월로 향상되었다. ◉ 결론 : 동화를 활용한 시-지각 훈련을 통해서 지적장애 아동의 시-지각 기능을 촉진시키는데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대조군이 있는 집단연구를 통해서 프로그램의 일반화를 검증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4,200원
        4.
        200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examines Celtic fairy tales relating to the sociocultural background of Ireland in Victorian Age. W. B. Yeats's Fairy and Folk Tales of the Irish Peasantry, 1888 and Irish Fairy Tales, 1892, The Celtic Twilight, 1893, and Joseph Jacobs's Celtic Fairy Tales, 1892 and More Celtic Fairy Tales, 1894 are correlated with the Irish celtic history, religion and culture. They are best known as collectors of fairy tales at that time. Jacobs thought that the fate of the Celt in the British Empire bids fair to resemble that of the Greeks among the Romans, "they went forth to battle, but they always fell, yet the captive Celt has enslaved his captor in the realm of imagination." And he insisted that nowhere else was there so large and consistent a body of oral tradition about the national and mythical heroes as amongst the Gaels, and especially concerned that the Irish tales and ballads had this peculiarity. The aim of Jacobs's volumes is to present to English children the vision and color, the magic and charm, of the Celtic folk-imagination. While Yeats's volumes show his interest in spiritual beings and his nationalism. Yeats who believes that faith to perpetuate in the three early Cycles of Irish folktales taught by the Druid sees in Tir-na-n'Og, the land of the Sidhe, Plato's and Plotinus' "yonder" when our souls descend whither they return. The Celtic beliefs in rebirth and in the otherworld are connected with beliefs surrounding the burial mounds of the Megalithic people. Among the Celts these tombs were connected with religious usages, chiefly with a cult of gods and fairy-like beings. Beginning with the Ulster Cycle, the sidhe and the Tuatha de Danann merge and become one, and renamed "fairy." A tale entitled "Connla and the Fairy Maiden" chosen by Jacobs is the earliest fairy tale of modern Europe and contains an early account of one of the most characteristic Celtic conceptions, that of the earthly paradise, the isle of Youth, Tir-na-n'Og. And in Fairy Folk Tales of the Irish Peasantry there are also new characters like changlings, merrow, leprechauns, banshee, pookas. Samain, the first of November is the beginning of Celtic Year and the biggest festival of Ireland. On the November Eve the sidhe dance with the ghosts and witches make their spells. When the soul has left the body, it is drawn away, sometimes, by fairies. The souls of the dead sometimes take the shapes of animals. And there are 'ghosts' in fairy tales. Yeats chose Lady Wilde's "The Black Lamb" in his volume. And there are 'witches' and 'fairy doctors' in Irish fairy tales. "The Horned Women" of Lady Wilde chosen by the two collectors is the famous tale of witches. Witches and fairy doctors receive their power from opposite dynasties; the witch from evil spirits and her own malignant will; the fairy doctor from the fairies. Samain was adopted by the Christian missionaries to serve their own purposes and renamed "All Souls Day." When the Christian missionaries came to Ireland in the fifth century AD they were able to infiltrate the oral traditions of the Celtic people and infuse Christian beliefs through process of recording the Celtic tales in written form. And the Christian missionaries create the biographies of Christian saints known as "The Legend of the Saint." So there are 'Saints' and 'Priests' in Irish fairy tales. When the pagan gods of Ireland, Tuatha de Danann, robbed of worship and offerings, grew smaller and smaller in the popular imagination, until they turned into the fairies, the pagan heroes grew bigger and bigger, until they turned into the giants. So there are 'giants' in Irish fairy tales like "A Legend of Knockmany." In three major Irish tales cycles (the Mythological cycle, the Ulster Cycle, and the Fenian Cycle) there are so many kings and queens and princesses. Beliefs in the fairy faith, the remnants of an earlier faith than Christianity, have influenced the more modern motifs and characters of Irish Celtic fairy tales.
        7,800원
        6.
        200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is on Irish Fairies in Fairy and Folk Tales in Ireland with a foreword by Kathleen Raine edited by Yeats for Korean readers. Nowadays many Korean editions about celtic culture were published after 2000. Fairy and Folk Tales in Ireland is the first American edition by Colin Smythe Limited in 1973. This volume contains Fairy and Folk Tales of Irish Peasantry, first published in 1888, and Irish Fairy Tales, first published in 1892. In this volume Yeats divided Irish Fairies into two great classes: the sociable and solitary and described the characteristics of each fairies, and then collected 8 fairy poems and 16 stories. Every poem and story in this volume is very interesting to me. Yeats is the best selector. The sociable fairies who go about in troops, and quarrel, and make love, much as men and women do, are divided into land fairies and water faires or Merrows(mermaid, merman). The solitary fairies who are nearly all gloomy and terrible in some way. However there are some among them who have light hearts and brave attire. There are the Lepracaun, the Cluricaun, the Far Darrig, the Pooka, the Dullahan, the Banshee. In Irish folk-lore Yeats had come across these fairies many others undiscovered.He had thanks to Patrick Kennedy, Miss Maclintock, Lady Wilde, Mr. Douglas Hyde. Mr. Allingham, Fergusson, and Miss O'Leary. He quoted from their works. His role is a vital linker in a chain of truly apostolic transmission of traditional lore. Evans-Wentz dedicated his first remarkable anthropological work, The Fairy Faith in Celtic Countries(1911) to Yeats and G. Russell(A.E). According to Kathleen Raine, Yeats's own interest in the "Matter of Faerie" was two fold. In part, certainly, it was a literary admiration for the highly formalized art of story-telling, and perhaps for the Irish use of the English language, those idiomatic turns of phase which arise from translation, by Gaelic-speakers, from one language to the other. Yeats who believed in Fairy-Faith to perpetuated in popular form mysterious taught by the Druids see, like A. E and Evans-Wentz, in Tir-na-N'Og, the land of the Sidhe, Ploto's and Plotinus' "yonder" when our souls descend and where they return. They also thought the Fairy-Faith belong to a doctrine of souls. In the Irish fairy poems and stories there are great beliefs in fairies. But Irish people remember the word, 'Be careful, and do not seek too much about fairies.'
        7,000원
        7.
        200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Yeats’s study of fairy had occupied him steadily for fifteen years from 1887 to 1902. He continued to study in connection with spiritualism until 1915. Yeats’s own collection of Fairy and Folk Tales of the Irish Peasantry had been published in 1888, Irish Fairy Tales in 1892 and The Celtic Twilight in 1893 before he met Lady Gregory. Any theory about nature of the fairy-faith shared with her came from Yeats, and he claims originality. In writing The Celtic Twilight(1902) his study of fairy was deepened by his collecting trips with Lady Gregory. The result of Yeats’s collaboration with lady Gregory was not to appear until 1920 when she published her two volume edition of Visions and Beliefs in West of Ireland, “Collected and arranged by Lady Gregory: with two essays and notes by W. B. Yeats.” Yeats’s essays(both dated 1914) were “Swedenborg, Mediums and Desolate Places” and “Witches and Wizards in Irish Folk-lore.” Like all the Irish antiquarians, Yeats also commonly referred to the fairies as “the people of Raths,” “the Danaan nations,” “The Tribes of the Goddess Danu,” In Fairy and Folk Tales he explains the Galic terms. The Irish word for fairy is sheehogue[sidheog], a diminutive of “shee” in banshee. Fairies are deenee shee[daoine shee](fairy people) In Irish tradition anyone may be taken by the sidhe, but there is, in fact a hierarchy of those who are most desirable. Yeats follows this tradition in one of his first poems about the sidhe, “The Stolen Child.” As Yeats understood the Irish tradition, the sidhe can do nothing the help of mortals and it is for this reason that they must always seek out humans. When the sidhe takes someone that person is said to be “away.” As a spiritualist would interpret this, it means that the soul has left the body and is travelling with the fairies. Often when appears ill or asleep or “lies in a dead faint upon the ground” it is because that the person is “away.” The Sidhe, according to Yeats’s countrymen, never takes anyone or anything without leaving some changeling in its place. In The Only Jealousy of Emer―Yeats’s most successful and moving dramatization and use of a changeling― Emer guesses that Cuchulain is “away.” When people are taken to live with the sidhe, they take on supernatural powers and work and live just as the Shape Changers that they are amongst. The chief distinction to be made between the shide and the dead is that the dead returns to the earth as ghosts of their former selves, whereas the sidhes are the everlasting ones. The idea that the fairy faith is in reality a doctrine of souls was lent supported by the fact that the country people say that almost all who are dead are taken by the sidhes. As the place where souls temporarily reside, the middle land of the sidhe is the Bardo of the Tibetans, the summerland of the Spiritualists, and ethereal world of theosophy and magic. Yeats saw his studies of spiritualism as a continuation of his studies of fairy, both of them as leading to the beginning of his philosophy. His study of fairy led him to the formulation of two theories that makes his system possible―that of Anima Mundi and that of the “airy body” or “vehicle” of the soul. A Vision is the result of his study about the fairy.
        7,000원
        8.
        2018.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연구는 다문화수용성을 신장시키기 위해 전래동화 기반 다문화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다문화수용성의 차원과 2015 개정 교육과정의 핵심역량을 바탕으로 세계 여러 나라의 전래동화를 선정하여 총 12차시의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우리나라 체류외국인과 결혼이민자 수를 고려하여 한국, 중국, 일본, 베트남, 태국 각 나라별로 이야기의 구조, 주제, 교훈 등이 유사하며 문화적 특성이 잘 나타나 있는 각 나라의 대표 전래동화를 선정하였으며, 다문화수용성의 세 가지 차원인 다양성, 관계성, 보편성과 2015개정 교육과정의 핵심역량 중 다문화적 요소인 심미적 감성 역량과 공동체 역량에 중점을 두어 개발하였다. 프로그램은 ‘인식-내면화-행동’의 3단계로, 활동주제는 각 단계에 맞춰 ‘세계 전래동화 비교, 분석을 통해 문화의 보편성과 특수성 찾기’, ‘다양한 활동을 통해 타인의 감정 이해하고 공감하기’, ‘차별에 대해 적극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능력 기르기’로 구성하였다. 개발된 프로그램을 서울특별시 성동구 소재의 E초등학교 6학년 1개 학급을 대상으로 적용하였을 때, 실험집단이 비교집단에 비해 다문화수용성 지수가 유의미하게 증가하였고(p<.05), 실험집단의 다문화수용성 사후검사 평균은 사전검사에 비해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1). 활동지와 소감문 등의 자료를 분석하여 질적 효과성 평가도 병행한 결과, 다문화 가족에 대한 인식의 변화, 타인의 감정 이해, 차별에 대한 반성과 다짐, 행동 변화와 실천의지 등을 확인할 수 있었고 학생 스스로도 자신의 인식이 개선되었음을 느끼며 반성과 다짐 등을 통해 공언하는 모습을 보였다. 본 연구는 세계 전래동화를 활용하여 교육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다문화수용성 제고 교육 자료를 제공했다는 것에 큰 의미가 있으며, 향후 다양한 세계 전래동화를 활용하여 학교현장에서 체계적인 다문화교육이 가능함을 시사한다.
        10.
        2014.12 KCI 등재후보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동화를 활용하여 만드는 집단게임 활동이 유아 자율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울산광역시에 소재한 2개의 공립유치원에 재원중인 2학급 만 5세 유아 36명이었다. 연구도구는 유아 자율행동을 측정하기 위해 이학선(2007)에 의해 개발된「유아 자율행동 검사」도구를 사용하였다. 그 결과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자율행동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 동화를 활용하여 만드는 집단게임 활동이 유아 자율행동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11.
        2014.08 KCI 등재후보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동화를 통한 이야기나누기가 유아의 배려적 사고 수행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경기도 G시에 소재한 유치원의 2개 반으로 실험집단(18명)과 통제집단(18명)으로 배정하였다. 실험집단은 동화를 통한 이야기나누기 활동을 10주 동안 주 1회씩 총 10회의 교육활동을 적용하였으며, 통제집단은 같은 기간 동안 유치원 교육과정에 따른 교육활동을 실시하였다. 두 집단 간의 배려적 사고 수행능력 변화를 비교하기 위해 배려적 사고 관찰척도를 사용하여 평정하였다. 배려적 사고 수행능력에 집단 간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t-검증을 실시한 한 결과 실험집단은 배려적 사고의 하위요소인 가치부여적 사고, 규범적 사고, 정서적 사고, 감정이입적 사고, 행동적 사고의 수행능력이 통제집단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증가를 나타냈다. 본 연구를 통해 동화를 통한 이야기나누기가 유아의 배려적 사고 수행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12.
        2012.12 KCI 등재후보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전래동화그림책의 흉내말을 활용한 이야기 꾸미기 과정에서 나타난 유아의 흉내말 특성이 어떠한지 알아보고자 하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만 5세 유아 20명이며, 실시기간은 총 12주였다. 연구방법은 흉내말을 넣어 유아들이 이야기꾸미기 한 활동 자료를 수집한 뒤, 흉내말 범주 체크리스트를 사용하여 흉내말 특성 변화를 측정하고, 유아의 반응 특성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전래동화그림책의 흉내말을 활용한 이야기 꾸미기 과정이 지속됨에 따라 전체적으로 유아들의 흉내말 사용 빈도가 증가하였고 문장에서 다양하게 사용하는 특성을 보였다. 유아들이 사용한 흉내말의 의미적 특성에서는 실시과정이 지속됨에 따라 사용빈도가 점차 증가하였고 기존의 관습화된 흉내말과 새롭게 창조된 흉내말이 나타났으며 어감을 인식하는 특성을 보였다. 유아들이 사용한 흉내말의 형태적 특성에서는 실시과정이 지속됨에 따라 문장에서의 위치를 적절히 찾았으며, 반복적 형태가 주는 리듬감을 인식하였고, 새로운 흉내말을 창조하는 특성을 보였다.
        13.
        2011.02 KCI 등재후보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전래동화를 활용한 창의적 교수 학습 방법이 유아의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관련문헌을 기초로 유아에게 적절한 전래동화를 선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5단계의 창의적인 교수 학습 방법을 고안하여 경기도에 소재한 초등학교병설유치원 2개 학급 만 4,5 세 유아 33명을 선정하여 8주간 주 5회씩 총 40회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전래동화를 활용한 창의적 교수 학습 방법을 실시한 실험집단과 전래동화를 들려주기만 한 통제집단 간 유아의 창의성 및 창의성 하위요인인 유창성, 융통성, 독창성에 있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창의성과 언어의 결정적 시기에 있는 유아들에게 창의성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과 전래동화에 대한 다각적 연구들에 대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14.
        2011.02 KCI 등재후보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전래동화의 도덕적 갈등상황에 대한 토의활동이 유아의 도덕적 판단력 및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지 밝히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 대상은 경상북도 영천시에 소재하고 있는 공립유치원 2개원에 재원 중인 만 5세 유아 36명으로 실험 집단은 A초등학교병설유치원 만 5세 유아 18명(남: 14명, 여: 4명)이며, 통제 집단은 B초등학교병설유치원 유아 18명(남: 15명, 여: 3명)이었다. 도덕적 판단력 검사일을 기준으로 하여 실험집단의 평균연령은 6년 3개월, 통제집단의 평균연령은 6년 2개월이었다. 실험 집단은 3그룹으로 나누어 11주간 토의활동을 18회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전래동화의 도덕적 갈등상황에 대한 토의활동이 유아의 도덕적 판단력과 도덕적 행동에 있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수준에서 차이가 있었다.
        15.
        2007.02 KCI 등재후보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전래동화를 활용한 개작활동이 유아의 조망수용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경기도 파주시 소재 공립유치원에 재원 중인 만 5세 유아 32명이었으며, 실험집단 유아에게 8주간 주 3회씩 전래동화를 듣고 개작하는 활동을 실시하였다. 연구도구는 조망수용능력 검사도구와 개작활동을 위한 전래동화 8편을 사용하였고,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하여 SPSS for Windows 12.0 프로그램으로 통계분석이 이루어졌다. 그 결과 유아의 조망수용능력은 인지 조망수용능력과 감정 조망수용능력에서 전래동화를 활용한 개작활동을 경험한 실험집단과 전래동화를 활용한 개작활동을 경험하지 않은 통제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6.
        2006.02 KCI 등재후보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동화의 후속이야기 짓기 활동이 유아의 언어 표현력 및 언어 창의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대상은 전라남도 담양군에 소재한 2개의 초등학교 병설유치원 만 5세 유아 30명으로 실험 집단 15명(남: 9명, 여: 6명), 통제집단 15명(남: 7명, 여: 8명)이었으며, 3그룹으로 나누어 9주간 주 1회씩 총 27회 실시 하였다. 연구 결과 동화의 후속이야기 짓기 활동을 한 실험집단과 동화를 듣기만 한 통제집단간 유아의 언어 표현력과 언어 창의성에 있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수준에서 차이가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