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9

        1.
        2011.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화병의 재질과 절화보존제 처리 여부가 절화의 화색, 엽색, 그리고 화경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해 조사하였다. 절화 장미 (Rosa hybrida) ‘Aqua’와 ‘Corvernet’ 및 거베라 (Gebera jamesonii) ‘Honeymoon’과 ‘Golden Time’을 수돗물 또는 절화보존제 용액이 들어있는 유리, 자기 및 옹 기 화병에 꽂고 화색, 엽색, 최대화경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처리 8일 후 화색에 있어서 장미 ‘Aqua’의 ΔE값은 옹기와 자기화병의 보존제 처리에서 작게 나타났다. 장미 ‘Covernet’은 옹기화병의 보존제 처리에서 ΔE값이 가장 작았고, L값도 처리 직전의 꽃잎 (대조구)과 가장 근접하였다. 거베라 ‘Honeymoon’의 경우 절화보존제 처리와 옹기화병에 의해 ΔE값이 가장 작게 나타났고, a와 b값도 58.81, 34.29로 대조구와 가장 유사하였기 때문에 옹기화병에 꽂은 절화의 화색이 처리 직전의 화색과 유사하였다. 거베라 ‘Golden Time’의 ΔE값은 옹기화병이 자기나 유리화병보다 크게 작았는데, a값은 옹 기화병의 보존제 처리에서 -7.81로 가장 근접하였고, b값 역시 옹기화병에서 높게 나타났다. 장미의 엽 색에 있어서는 옹기화병의 보존제 처리에서 L, a, b값이 처리 직전의 잎과 가까웠고 ΔE값은 옹기화병에 서 3.25로 나타나 자기나 유리에 비해 작았다. 화경은 장미 ‘Covernet’과 거베라 ‘Golden Time’ 모두 옹 기의 보존제 처리에서 크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보존용액에 절화보존제를 첨가함으로써 미생물 번 식을 감소시켜 절화수명이 연장되어 장미와 거베라의 품질 및 신선도를 증가시킬 수 있고, 다공질의 옹 기 화병을 사용하여 통기성을 증가시키면 화색과 엽색을 좀 더 좋게 하고, 화경도 증가시킬 수 있을 것 으로 판단된다.
        4,000원
        2.
        200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압화의 분야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 고 있는 풍경화 작품에 대해 조사하였다. 2000~2007 년 출품작 중에서 풍경화 80작품을 선택하여 풍경화작 품에 사용되는 식물소재 및 부재료 등을 조사하였다. 풍경화 작품에서 사용된 주요 식물소재의 종류를 조사 한 결과 초본식물 소재의 사용이 67%로 목본식물 소 재의 33%보다 사용되는 비중이 컸다. 많이 사용된 초 본식물 소재는 루모라고사리, 이끼, 아디안텀, 냉이 등 이었고, 목본식물 소재는 편백, 황금편백, 포도나무 등 이었다. 봄 풍경화작품에 많이 사용된 식물소재는 냉 이, 포도나무, 조팝나무 등이고, 여름 풍경화작품에는 편백, 세라기넬라, 아디안텀, 가을 풍경화작품은 기린 초, 편백, 단풍나무, 겨울 풍경화작품에는 포도나무, 백 묘국, 에버라스팅 순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었다. 식물 소재의 염색 유무조사에서 거의 대부분이 무염색 식물 소재였고, 일부 염색되는 식물소재는 조팝나무, 냉이, 쉬땅나무, 까치수염 등 흰색의 꽃과 편백, 세라기넬라 등의 잎이었다. 식물소재의 변색 정도에서 사계절 모두 변색이 잘 안 되는 소재가 67% 이상 사용되고 있었다. 식물소재 이외에 사용되는 부재료의 경우 바탕지는 압화전용 종이 65%, 한지 21%, 아크릴판 9% 등의 순이었고, 바탕지 위에 첨가된 부재료는 아크릴물감, 한지, 락카, 솜 등의 순으로 많이 사용되는 것으로 조 사되었다.
        4,000원
        7.
        2013.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실험은 스탠다드 국화 ‘백마’와 스프레이 국화 ‘오렌지엔디’ 품종에 있어서 재식밀도와 멀칭재료에 따른 절화 생육과 흰녹병 발생정도를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스탠다드 국화 ‘백마’는 6줄 정식 처리구에서 절화장, 줄기직경, 엽수, 절화무게, 화폭, 꽃무게 등의 생육이 8줄이나 10줄에 비해 양호하였다. 또한 흰녹병 발생률도 10줄 정식 처리구에서 68.9%로 가장 높았고, 6줄 정식 처리에서 48.9%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스프레이 국화 ‘오렌지엔디’는 6줄 정식 처리구에서 줄기직경, 엽수, 절화무게, 화폭 등 다른 처리에 비해 절화생육이 양호하였다. 흰녹병 발생률은 10줄 정식 처리구에서 68.9%로 가장 높았고, 6줄 처리에서 28.9%로 가장 낮았다. 스탠다드 국화 ‘백마’에 있어서 무멀칭에 비해 PE 필름으로 멀칭한 처리에서는 생육이 양호하였는데, PE 필름색에 따른 생육에는 큰 차이가 없었다. 흰녹병 발생률은 무멀칭 처리구에서 93.3%로 가장 높았고, 녹색과 흑색 PE 필름 멀칭 처리구에서 42.2~60%로 낮았고 감염 엽수 및 병징수가 적었다. 스프레이 국화 ‘오렌지엔디’의 절화장은 투명과 녹색 PE 필름으로 멀칭한 처리구에서 길었고, 줄기직경, 엽수, 화폭, 꽃수 등에서는 처리 간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흰녹병 발생률은 흑색 PE 필름 멀칭 처리에서 가장 낮았고. 흰녹병 발생엽수와 병징수도 흑색 PE 필름 멀칭 처리에서 가장 적었다.
        8.
        2009.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꽃장식에 있어서 침봉이나 플로랄 폼만큼 고정능력이 뛰어남과 동시에 환경에 무해하면서 미적 가치가 뛰어난 꽃 고정재료를 제시함으로써 친환경적인 꽃꽂이 방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은 2008년 8월 독일 GBF(Grunbergr Bildungszentrum Floristik)의 플로리스트 연수과정에서 제시된 작품을 분석하였다. 고정재료는 자연에서 얻을 수 있는 재료와 재활용으로 사용되어진 재료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식물의 기관, 즉 잎, 줄기, 뿌리, 열매를 꽃 고정재료로 이용하여 장식해 본 결과 플로랄 폼 이상으로 고정 능력이 뛰어났으며 세우는 기능까지도 탁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재활용으로사용되어지는 재료들도 자연물만큼 고정능력이 뛰어나지는 않지만 꽃 고정재료가 가지고 있는 빈공간과 지탱 할 수 있는 힘을 잘 파악한 뒤에 적합한 꽃을 선택한다면 고정기능과 세우는 기능이 가능한 것을 볼 수 있었다. 이와 같이 친환경적 꽃 고정재료로써 사용되어진 식물을 포함한 자연물과 생활 속 재활용품은 침봉이나 플로랄 폼과 비슷한 고정능력과 세우는 능력을 가지고 있었다. 따라서 가급적 플로랄 폼의 사용을 자제하고 환경에 피해를 주지 않는 친환경적 꽃장식을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9.
        2007.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research is intended to extrapolate the environmental problem caused by the flower fixation design materials and to find a solution by enabling ecological flower designing through discovering environment friendly materials that fix the flowers and analyzing their utilizations. Such use of pro-environmental materials shall lead changes in awareness among the professional florists as well as the consumers. The result of analyzing 67 flower works produced by the environment friendly flower fixation materials is as follows: 1) The design makes the most use of natural characteristics of the original plants used. 2) The pro-environmental materials were minimized to it functional usage, yet visual beautification was emphasized to make the design harmonized. 3) The design showed excellent coordination with vases. The vase was selected to match the color and shape of the flowers contained in it. This allows the vase to be included as part of the overall design of the work. The 67 flower design works reviewed in this research reveal a common design tendency: the environment friendly fixation materials not only were functionally solid, environmentally safe and recyclable but also played outstanding role as visually beautiful design element. This indeed is a revolutionary finding that could impact on the future of the flower design as a who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