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hen the COVID-19 pandemic hit, it drastically changed the way that many consumers conducted their shopping for almost all their needs. This created a dramatic increase in online purchases, causing global e-commerce sales to skyrocket to 26.7 billion dollars, up four percent from the previous year (UNCTAD, 2021). This surge in sales caused an increase in certain customer segments, resulting in many retailers rethinking their marketing and branding strategies. To many retailers’ surprise, elderly adults aged sixty-five and older began to adopt e-commerce shopping during the pandemic at an overwhelming rate.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의 인터넷 활용을 포함하는 정보활용 환경요인과 자기효능감, 사회적 유능감 간에 어떠한 인과관계가 있는지를 구명하는데 있다. 본 연구는 유의표집 방법으로 표집하였으며, 경기도에 소재한 초등학교 2개교, 중학교 2개교 학생 719명 이다. 설정된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해 SPSS/PC Win(ver. 20.0)과 AMOS 20.0을 프로 그램을 이용하여 설문 문항의 내적 신뢰도(Cronbach α), 상관관계분석, 및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의 자기효능감에는 교우관계, 교사관계, 인터넷활용이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사회적 유능감에는 교우관계, 인터넷 활용이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둘째, 청소년의 교우관계, 교사관계, 인터넷활용, 자기효능감, 사회적유능감 간에는 직간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자기효능감은 교우관계, 교사관계, 인터넷 환경, 자기 효능감, 사회적유능감 간에 매개역할을 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미래의 잠재적 일에 대한 개인들의 동기 수준은 진로와 관련된 개인들의 능력에 대한 믿음의 수준을 결정하는 중요한 변인이 된다고 할 수 있다.
현재 중국은 사회안정, 민족단결, 국가통일, 사회주의를 수호한다는 명분으로 인터넷의 민주적 기능을 엄격히 통제하고 강력한 검열시스템으로 관리하고 있다. 마찬가지로 종교에도 법치의 관철을 강조하며 규제를 강화하고 있다. 따라서 지금 중국에서 인터넷과 종교는 갈등의 현장이자 해결을 기다리는 모순이라고 할 수 있고 이 현상에 대한 이해와 파악이 필요하다. 본 논문은 우선 중국 인터넷의 발전에 따라 강화되어온 인터넷종교 유관정책들의 변화 추이를 살펴보고, 그런 다음 필자가 두 해 정도 온라인에서 주시해 왔던 중국 인터넷종교의 활동양상을 고찰했다. 그 활동주체에 따라서 4단계로 나누어 당정이 내놓은 인터넷종교 정책에 순응하거나 경계하는 양상을 살펴보았다.
Internet has become a crucial factor affecting children’s lives. Accordingly, researchers are paying attention to patterns and predictors of Internet use among children. However, little research exis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functioning and Internet use. In response to this gap, this study examines the association between family functioning and Internet use among school-aged children. As primary analyse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as employed and gender differences were examined. The findings highlight the importance of family functioning on Internet use among school-aged children. Lower levels of family functioning led to more time using the Internet and was mediated by the purposes of Internet usage. The findings suggest that parental and community efforts to improve family functioning may prevent Internet overuse or misuse among school-aged children. Also, there is a need to consider gender differences regarding Internet use within the context of policy-mak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English lecturers’ readiness toward internet use in English teaching and learning at selected universities in Jambi, Sumatra, Indonesia. A questionnaire was used as a research instrument to sixty-five participants who were recruited through a variety of networking sources, but forty-seven participants completed and returned the questionnaires. Data were analyzed by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 Product Moment Correlation, and a t-test. The major findings indicated that the English lecturers’ readiness toward Internet use for teaching and learning was at an average level. This study also foun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lecturers’ background of internet use and the level of lecturers’ readiness toward Internet use.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lecturers’ knowledge readiness and attitude readiness. However,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level of readiness between English lecturers at public institutions and private institutions. The findings of this study shed light on policy makers and leaders’ understanding of English lecturers’ readiness toward internet use in English teaching and learning in Indonesian higher education. Policy implications and future research are also discussed.
목적 : 본 연구는 신체적 장애로 인해 사회로의 복귀, 사회통합의 어려움을 가지는 척수손상 환자에게 있어 인터넷의 활용이 삶의 질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함으로써 바람직한 척수손상 장애인의 재활치료 계획의 방향 설정에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 : 척수손상 후 6개월 이상 경과한자로써 경기도 소재 병원 및 재활원에서 치료중인 154명에게 자기 기입식 설문지를 통해 수집된 자료를 활용하였고, 자료 분석을 위해 SAS 8.2 version을 사용하였다. 인터넷 사용에 따른 삶의 질을 분석한 후 손상부위에 따라 경추손상 환자와 흉추손상 환자로 분류한 후 삶의 질의 차이를 비교해 보았다. 또한 인터넷을 사용하는 집단 내에서 인터넷 활용 관련 특성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결과 : 본 연구 경추손상 환자에게 있어서는 인터넷 사용이 삶의 질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고, 흉추손상 환자에게 있어서는 인터넷의 사용이 정서상태영역 삶의 질을 낮추는 것으로 나타났다(p<.05). 인터넷을 사용하는 척수 손상 환자들의 삶의 질에 영향을 끼치는 인터넷 활용 관련 특성에 대한 분석 결과 활용수준이 높을수록, 사용시간이 길수록 삶의 질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p<.05). 정서상태 영역에서는 보조도구를 사용하는 집단과 활용수준이 최고단계인 집단에서 높았고, 신체상태와 기능영역에서는 활용수준이 최고단계인 집단에서 높았다(p<.05). 또한 자아존중감 영역에서는 인터넷 사용시간이 긴 집단, 활용수준이 최고 단계, 인터넷을 장애를 얻은 후 사용한 집단, 인터넷 주 사용용도가 이메일이나 채팅, 홈페이지 방문 등 친교의 목적인 집단에서 높게 나타났다(p<.05). 결론 : 다양한 장애를 가진 척수손상 환자의 인터넷 사용에 복잡한 요소들이 영향을 끼치고 있다. 앞으로 척수손상 환자의 인터넷 활용에 영향을 끼치는 요인에 대해 심층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하겠다.
The most important concern in the internet service organizations in competitive market circumstances is to focus on formation and maintenance of continuous relationship with custome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effect of perception of the fairness - procedural fairness for recovery, interactional fairness, fairness for reward on customer's satisfaction and trust, behavior when the internet service company failed to service such as disclosure of personal information. This study aims to apply justice theories to service recovery. As a result, first, the customer's perceived justice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customer satisfaction and trust in service recovery. Second, the customer's satisfaction positive effect on trust. Third, customer's satisfaction formed by service recovery had a effect on the customer's behavior such as continuous usage intention. Therefore, this study was reveal how the extent of justice perception felt by customers in the service recovery process, causes positive causation relationship which affect customer behavior intention.
인터넷에서의‘상표의 사용’에 관하여 이를 전통적인 의미의 상표의 사용 개념과 같은 관점에서 보아야 하는지 아니면 수정된 관점이 필요한지에 대해서 전 세계적으로 혼란이 일어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특히 Google의 AdWords 서비스를 비롯한 인터넷 검색엔진의 검색어를 이용한 광고서비스에 관련하여 미국과 유럽의 법원들은 해당국내에서조차 일관된 모습을 보이지 못하고 있다. 최근 미국 연방 제2항소법원은 Rescuecom 사건에서 Google이 AdWords 프로그램을 통하여 상표를 검색어로서 판매하고 추천하는 것은“상업적사용”에 해당한다고 판시함으로써 미국에서의 인터넷상 상표의 사용에 관한 논란에 대하여 중요한 기준점을 마련하였다. 프랑스와 독일의 법원 또한 이에 관한 혼란을 해결하기 위하여 유럽사법재판소에 회부하여 통일적 기준 마련을 시도하고 있다. 우리나라 법원은‘상표적 사용’이라는 개념을 발전시켜 왔고 인터넷에서의 상표 사용에 대하여 이를 특별히 다르게 취급하고 있지는 아니하다. 그러나 인터넷에서의 상표의 사용에 대해서는 다소 다른 접근이 필요하다. 즉 상표가 가지는 본질적 기능인 출처식별기능과 달리 이를 위한 보조적 수단인 인식가능성은 인터넷상 상표 사용 여부의 판단에 결정적인 요소라고 보기는 어렵다. 그리고 인터넷에서의 상표의 사용 문제는 사용 요건에 관한 독자적인 검토보다는 혼동가능성의 문제와 함께 동시에 고려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인터넷상에서의 새로운 상표의 사용 행위에 대응하기 위하여 전통적인 상표법상의 사용 개념을 확대할 필요가 있으나 그 범위는 상표의 출처식별기능을 넘을 수는 없다고 본다.
본 연구는 청각장애학생의 인터넷 게임 이용 실태를 파악하기 위하여 청각장애 초 중 고등학생 301명을 대상으로 인터넷 게임중독 척도 검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 청각장애 초등학생들에 비해 중 고등학생이 될수록 방과 후 보호자가 없는 경우가 많았다. 청각장애학생들의 하루 평균 수면시간은 일반학생과 비슷하거나 많았으며, 하루 평균 인터넷 사용시간과 인터넷 게임시간은 비장애학생에 비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인터넷 게임 사용 유형은 청각장애 남학생이 여학생에 비해 위험자 군으로 분류되는 학생의 비율이 많았고, 비장애학생과 비교했을 때 위험사용자 군이 훨씬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현재 실시되고 있는 국가적 인터넷 게임 사용자 실태조사에서 장애학생들을 포함시켜야하며, 장애학생들을 위한 게임 과몰입 예방 프로그램의 개발 필요성이 시급함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논란 속에 도입된 인터넷 셧다운제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요인들을 살펴보고자했다. 이에 게임 이용 빈도, 뉴스 이용정도, 게임의 효과에 대한 평가, 게임의 부정적 효과에 대한 원인 등이 셧다운제에 대한 동의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셧다운제가 도입된 직후에 서울시민 496명에 대한 1대1 면접조사를 실시하여 온라인게임 규제제도인 셧다운제에 대한 태도를 살펴본 결과, 뉴스미디어를 더 많이 이용할수록, 게임의 부정적 영향을 더 많이 인식할수록, 그리고 게임의 부정적인 영향에 대한 책임이 정부에 있다고 인식할수록 셧다운제를 더 찬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귀인이론을 중심으로 결과에 대한 논의와 연구의 함의를 제시했다.
본 연구는 유치원에서 운영하는 인터넷 커뮤니티를 대상으로 활용의 실태를 알아보고 역할을 탐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 대상은 유치원에서 운영하고 있는 인터넷 커뮤니티 6개 사이트를 대상으로 전체 게시판을 분석하고 일정기간동안의 회원 참여도를 조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커뮤니티의 게시판이 특정 게시판이 과도하게 구성되어 있고, 부족하거나 개설되어 있지 않은 게시판도 있어 게시판의 구성이나 이용이 비효율적으로 이루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상호작용의 장인 인터넷 커뮤니티의 특성을 제대로 살리지 못하고 단지 필요에 의한 운영을 하고 있어서 운영자와 교사, 학부모, 유아들 간의 올바른 협의와 활발한 상호작용을 위한 소통의 노력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인터넷 커뮤니티 안에서 일반회원, 즉, 학부모나 유아보다는 교사와 원장, 원감등 유치원 운영관리자가 더 많은 활동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치원 인터넷 커뮤니티 전체 가입자 중에서 실제로 글을 올리고 댓글을 다는 게시판 활동을 하는 회원은 전체 1% 미만으로 나타났다. 실제로 활동하는 회원 중에서 교사나 원감과 회원간의 활동 비율이 각각 50%정도인 곳은 한곳에 불과했다. 넷째, 운영자 스스로 인터넷 커뮤니티의 목적이 무엇인지 명확히 규정할 필요가 있다. 유치원은 가장 먼저 커뮤니티의 목적이 무엇인지 명확히 규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커뮤니티에서 제공하고자 하는 정보와 관심사에 대한 토론, 주제 등에 대한 요구사항에 대해 운영자, 교사, 학부모, 유아 모두의 입장에서 정확하게 파악하여 커뮤니티의 상호작용이 활발하고 올바르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