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6

        1.
        202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Nitrogen-doped carbon dots (CDts) with tunable fluorescence properties in aqueous media were synthesized hydrothermally. The excitation wavelength variation to obtain the maximum emission produced a blue shift in the emission peaks upon dilution in an aqueous solution. The shift can be explained by a re-absorption phenomenon in a concentrated solution. The interparticle interaction within was responsible to show dilution-dependent optical behavior. The as-synthesized solution of CDts did not show any prominent absorption peak over a wide range. However, upon dilution, two peaks became predominant. The concentration-dependent behavior was observed during the interaction with metal cations. Cationic salts of Co(II) and Hg(II) caused quenching at different dilutions of CDts. This might be explained by the exposure of different surface functional groups during dilution and metal-ion–CDts charge transfer. The quenched fluorescence of CDts was rescued using ascorbic acid. Therefore, the one-pot detection of Co(II)/Hg(II) and ascorbic acid was designed through a ‘Turn Off/On’ phenomenon.
        4,600원
        2.
        2018.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인공구조물이 밀집된 도시환경에 의해 인간은 여러 가지 신체적 정신적 질병에 노출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로 Wellbeing, 로하스 등 친환경적인 삶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치유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치유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주요 치유인자인 피톤치드와 음이온의 발생 및 효과에 대한 연구가 조금씩 진행되고 있는데, 피톤치드 는 식물이 병원균, 해충, 곰팡이에 저항하기 위해 분비하는 물질로 테르펜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음이온은 공기정화 효과와 인체의 자율신경계를 조절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월악산국립공원 내 일본잎갈나무림을 대상으로 지형구조 차이에 따른 시간대별 음이온발생량을 측정하고, 기온, 상대습도, 일사, 풍속 등 기상요소를 측 정하여 시간대별 지형구조에 따른 기상요소와 음이온 발생 량의 상관관계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지는 행정구역상 북쪽으로는 제천시, 충주시와 단양군의 경계에 위치하고 남쪽으로는 문경시의 경계에 위치하고 있는 월악산국립공원을 대상으로 진행하였다. 측정 지점은 일본잎갈나무가 우점하고 있는 능선부와 계곡부로 두 지점에서 고정 측정하였다. 능선부와 계곡부에 방형구 (20m X 20m)를 설치하고 매목조사 및 음이온, 기온, 상대 습도, 풍속, 일사량을 측정하였다. 식생조사는 각 조사구에 대하여 수목의 크기에 따라 교목, 아교목, 관목으로 구분하 여 수종과 흉고직경을 측정하여 식생조사표에 기록하였다. 측정기간은 8월로 측정시간대는 11시부터 16시까지 진행 하였으며, 통계분석은 SPSS 18.0을 이용하여 상관성 및 일 원배치분산분석(DMRT), 독립표본 T 검정,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능선부와 계곡부의 교목층은 일본잎갈나무로 구성되어 있었으며, 능선부는 수고 17~28m, 흉고직경 15~33cm, 계 곡부 수고 20~32m, 흉고직경 17~42cm로 해발고에 따른 수고에 차이는 있었다. 능선부의 아교목층에서는 참나무류 인신갈나무, 굴참나무, 상수리나무 등이 조사되었으며, 수고 4~17m, 흉고직경 6~24cm였다. 아교목층에 참나무류가 우점하고 있는 것으로 보아 천이가 진행 중인 것으로 판단되 었다. 계곡부에서는 물푸레나무, 산뽕나무, 고로쇠나무 등이 있었으며, 수고 4~15m, 흉고직경 4~15cm로 조사되었다. 지형구조에 따른 평균기온은 능선부 27.94±1.11℃(26.36~ 29.46℃)였으며, 계곡부는 27.22±0.50℃(26.12~27.66℃)로 조사되었다. 시간대별 지형구조에 따라 기온은 통계적으로 유의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평균풍속은 능선부 0.15m/s, 계곡부 0.13m/s으로 조사되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성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평균 일사량은 능선부 71.83W/m2, 계곡부 38.13W/m2으로 조사되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성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지형구조에 따른 평균 음이온 발생량은 능선부 736.07ea/cm3, 계곡부 1,825.33ea/cm3으로 계곡부에서 1,089.26ea/cm3 높 은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시간대별 지형구조에 따라 음이온 발생량은 통계적으로 유의성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능 선부에서 음이온 발생량은 상대습도와 정의 상관관계로 분석 되었으며, 계곡부에서 음이온 발생량은 기온과 정의 상관관계로 분석되었다. 이 연구 결과로 국립공원 내 지형구조별 음이온 발생량의 차이를 파악하였다. 지형구조의 차이에 따른 시간대별 기상 요소와 음이온 발생량의 상관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3.
        201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가속된 이온이 전기장이 걸려있는 freestanding 단결정 실리콘 나노 박막에 충돌했을 때 발생하는 열-전계 전자 방출 특성을 여러 전계 및 열적 조건 아래 체계적으로 분석하였다. 이온 충돌에 의한 열-전계 전자 방출은 쇼트키 효과 (schottky effect)의 선형영역의 특성에 의해 예측된 바와 같이 전계의 세기가 증가할수록 선형적으로 증가했으며, 이온 충돌에 의해 발생하는 열에너지의 제곱에 비례하는 특성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특성들은 실리콘 나노 박막의 질량 분석기용 이온 검출기로의 사용 가능성을 보여준다.
        4,000원
        4.
        2006.12 KCI 등재후보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Ozone has become a significant pollutant not only outdoors but also indoors. The ozone emission test was conducted for the sum of forty five air cleaners selected in the online shops and department stores. Negative ion emission test was also conducted for the selected fifteen ones which had the function to generate negative ions. Filter-type and complex type air cleaners emitted ozone less than 0.05 ppm, the standard of indoor ozone emission of air cleaner. Wet type ones emitted no ozone. In the case of ionizer type, 66.7% in the nine ones emitted ozone about 1.4~10 times larger than 0.05ppm. Most of air cleaners used a pin corona discharge emitted large amount of ozone. Those which used carbon fiber emitted little ozone in spite of generating a lot of negative ions.
        4,200원
        5.
        1996.06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MOS 소자의 얇은산화막(thin oxide)불량을 화학적으로 식각하지 않고 불량부위를 광전자방사(photon emission)반응을 이용하여 위치를 확인하고, 이곳을 FIB로 절단하여 불량부위의 단면을 관찰했다. 20nm 두께의 SiO2불량은 셀(cell)영역의 위치에 따른 의존성은 없고, 불량은 저전계의 입자(particle)성 불량과 중간전계의 Si 기판 핏(pit)과 관련된 불량이 주였다. 고전계에서는 전형적인 SiO2 산화막의 절연파괴가 일어난 것이 관찰된다.
        4,000원
        6.
        2011.0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seasonal characteristics of metallic and ion elements of PM10(Particulate matter with aerodynamic diameter ≤10 ㎛) and the effects of vessels exhaust emission from ships harboring in Busan City. The PM10 samples were collected from January 2010 to October 2010 at Dongsam-dong(coastal area), in Busan City. The particulate matters were analyzed for major water soluble ionic components and metals. The ranges of the PM10 mass concentrations were from 29.8 ㎍/㎥ to 47.0 ㎍/㎥ in Dongsam-dong. The PM10 mass concentrations in Dongsam-dong are very similar to Gwangbok-dong during same sampling periods. These results were understood by the effects of the shipping source emitted from ships anchoraging and running. The concentrations of water-soluble ions and metals in the PM10 had a level of as high as the order of SO4 2- >NO3 - >Cl - and NH4 + >Na + >Ca 2+ >K + >Mg 2+ , respectively. The correlation coefficients(R 2 ) for SO4 2- /PM10 and NH4 + /PM10 of were 0.7446 and 0.7784, respectively, and it showed the high correlation with each oth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