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로건설사업을 추진할 때 소음에 대한 피해가 예상되는 지역에는 소음 저감 방안을 수립하여야 한다. 특히 도심지 내를 통과하는 도로 주변의 주택, 학교, 병원, 도서관 등 조용한 환경을 필요로 하거나 인구밀도가 높은 지역에는 소음 개선 민원에 따라 방음벽의 설치가 계속 증가하고 있으며, 도로 주변 건물의 고층화로 인하여 방음벽의 설치 높이 또한 증가하고 있다. 도로 교통 소음을 저감시 키기 위해서 설치되는 방음벽은 강풍ㆍ강우ㆍ진동에 의하여 변형 또는 파괴되지 않도록 안전한 구조로 하여야 한다. 그 중 풍하중은 교량 설계하중에서 정하는 지역별 설계풍속을 적용하여 설계하거나 방음벽 기초 표준도의 표준풍하중을 적용하고 있으며, 방음벽에 시공되는 방음판은 국가건설기준인 KCS 44 80 05 방음벽과 KS F 4770-1~4에 따른 내하중 등급을 만족하여야 한다. 한편 최근 IPCC(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는 강력한 열대저기압의 비율과 최고 풍속이 전지구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방음벽 설치 높이가 높아지는 현장 여건과 기후 여건을 고려하였을 때 현재 적용하고 있는 시 험하중이 적합한지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방음벽 현장 조건을 달리하여 풍하중에 대한 설계하중과 시험하중을 산정하였고, 현행 시험 하중과 비교ㆍ분석하여 개선 필요성 여부를 확인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possibility of upcycling extracts of Angelica keiskei and Oenanthe javanica juice by-products through comparing enzyme extraction (EE) and complex extraction (CE) methods to increase the extraction yield and flavor of materials. A higher extraction yield was obtained for free amino acid content with EE and CE for A. keiskei and O. javanica juice by-products, respectively, and a higher extraction efficiency was achieved with juice by-products than with extracts prepared from raw materials before juice production. The content of major amino acids varied depending on the extraction method used. When us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extract, their use as a functional material was confirmed along with improvement in the flavor of the food. Consistently high extraction yields for organic acid and sugar levels were obtained with CE in A. keiskei and O. javanica juice by-products. The DPPH radical scavenging ability and TPC were consistently high with CE in A. keiskei and O. javanica juice by-products; the increase in extracted content was likely because of the reaction between the ethanol used for CE and the phenolic compounds. However, because the antioxidant capacity of the juice by-product extracts was somewhat lower than that of the extracts from raw materials before juice production, the amount used should be reviewed. The TFC was found to be higher in extracts obtained with EE than with CE for A. keiskei juice by-products; however,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between EE and CE in the O. javanica juice by-products. Through this study, the taste compounds and antioxidant properties of extracts obtained from juice by-products produced after the production of A. keiskei and O. javanica green juice were analyzed, and the availability of high value-added materials was confirmed.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expanding specific R&D for practical use should be explored.
To identify sand crab Ovalipes punctatus populations and establish management units for each population, mtDNA COI regions were analyzed. As a result, the clade of O. punctatus in Korea were separated by two with a genetic distance of 0.17 – 2.08%,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result of pairwise FST values representing genetic differentiation by sampling areas (p > 0.05). Also, no geographical separation found in the distribution of haplotypes and the results of the haplotype network. This result suggests that O. punctatus larvae were dispersed for a long time by the ocean current by suffering meroplanktonic period for 1 month, and increased the gene flow due to the development of the swimming legs for the increase in mobility. Therefore, in the results of mtDNA COI region analysis of O. punctatus in the East Sea, Yellow Sea, South Sea and East China Sea (Ieodo) of Korea, no clear intra-species differentiation was found.
This paper presents a literature review on the active technologies to regulate the levels of carbon dioxide and oxygen in Kimchi packaging. In this study, laser-etched pouches and O2 scavengers were used for Kimchi packaging, and the efficiency of each packaging technique to regulate the CO2 and O2 levels inside Kimchi packages was investigated. When Kimchi was packaged with a laser-etched pouch, the CO2 concentration in the sample with a high gas transmission rate was less than that in other pouches (p<0.05), and a low CO2 level had little effect on the expansion of the package volume. Kimchi treated with an O2 absorber exhibited a significantly lower (p<0.05) O2 concentration inside the packages relative to the control. A low O2 concentration inside the Kimchi package effectively inhibited the growth of total aerobic bacteria and lactic acid bacteria, as well as yeasts and molds on Kimchi. These results suggest that O2 absorbers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microbial quality of Kimchi. Therefore, packaging in a laser-etched pouch and the use of an O2 scavenger could provide a novel packaging material for regulating the CO2 and O2 levels during Kimchi packaging.
목 적 : Contrast enhancement MRA(이하 CE-MRA)를 검사할 때 가장 중요한 것은 조영제가 관심혈관을 지나가는 시기(조영제의 혈관도달/통과시간)를 포착하는 것이다. 대동맥과 같이 검사영역이 넓은 부위를 검사할 때는 검사영역을 여러 단계로 나눠서 검사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CE-MRA의 acquisition time은 조영제가 관심혈관을 통과하는 시간보다 길기 때문에 1단계 영역의 동맥상(arterial phase)에 비하여 2단계 영역의 동맥상이 늦어질 수 있다. 따라서 두 검사영역의 동맥상이 일치되도록 하기 위한 방안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Multi-Steps CE-MRA 검사 시 동맥상의 차이를 최소화하고자 test bolus와 k-space time to center 개념을 접목한 방법을 사용하여 그 유용성을 평가하였다.
대상 및 방법 : 조영제를 사용하여 복부 MRI 검사를 하는 환자를 대상으로 Multi-steps CE-MRA 검사를 시행하였다. 대동맥궁부터 총장골동맥을 두 개의 영역으로 나눠서 MRA 검사를 조영 전/후에 각각 시행하였다. Test bolus scan을 시행하여 관심혈관의 조영제 통과시간을 측정하였다. 대조군 실험으로 상부영역과 하부영역의 time to center를 최소로 적용하여 CE-MRA를 실시하였다. 실험군 실험으로 1단계 영역은 k-space time to center를 최대로 설정하였고 2단계 영역은 최소로 적용하였다. 대조군과 실험군에서 얻은 영상으로부터 venous contamination 여부를 평가하였다. 또한 1단계 영역과 2단계 영역의 signal intensity를 측정하여 평가하였다.
결 과 : K-space timing control method를 사용하므로써 venous contamination이 더 적게 발생하였으며 검사영역 사이의 signal intensity도 더 균일하게 나타났다.
결 론 : K-space timing control method는 multi-steps CE-MRA에서 발생할 수 있는 venous contamination 발생을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이며 이 방법을 활용하면 보다 편리하고 정확한 검사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사료된다.
0.8%(w/w) 밀가루를 첨가 시 증자 쌀가루 내부온도를 달리하여 제조한 가래떡을 4oC에서 28일간 저장하면서 노화억제효과를 분석하였다. 저장 기간에 따른 가래떡 전분의 표면미세구조는 처리구의 경우 저장 초기나 대조구에 비하여 표면에 작은 구멍이 보였으며 이는 저장 중 밀가루의 가수분해효소작용에 의한 것으로 판단된다. 저장 기간에 따른 blue value를 측정한 결과 대조구는 감소한 반면에 처리구는 증가하였다. 결정구조에서는 대조구와 첨가온도 95oC의 경우 저장 28일 후 B-type과 V-type이 혼합된 형태의 XRD pattern의 peak가 날카로워지면서 크기가 커지는 것을 관찰되었고 첨가온도 55oC와 75oC의 경우는 단일 피크의 XRD pattern을 그대로 유지하고 있었다. 저장기간에 따른 대조구의 용융엔탈피(ΔE)는 처리구보다 높게 나타났고 첨가온도 55oC가 가장 적은 용융엔탈피 값을 보였다. 저장 28일 후의 경도와 씹힘성은 첨가온도 55oC가 가장 낮았으며 각각 대조구의 0.7과 0.5% 수준이었다.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differences in the temperature of steamed rice powder at the additionof wheat flour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Injeolmi after storage for 7 days at 4℃. The L values in color ofthe control and with 75℃ and 95℃ treatments decreased after storage whereas that of the 55℃ treatment increasedfrom 94.24 to 96.07. The amylose content of the control increased from 4.13% to 12.43%, while that of the 55℃,75℃, and 95℃ treatments increased from 5.10%, 5.28%, and 5.14% to 20.43%, 19.8%, and 19.34% respectively.Hardness of the 55℃, 75℃, and 95℃ treatments after storage increased by 109.2%, 2,023.2%, and 2,886.5%respectively compared with that at the initial storage stage. Hardness of the 55℃ treatment after storage was 3.17%compared with that of the control, which shows that the 55℃ treatment significantly reduced retrogradation inInjeolmi during storage. Total aerobic bacteria content of the control and the 55℃ treatment was 3.55 and 3.98 logCFU/g respectively, which were slightly higher numbers than those of the 75℃ (3.62log CFU/g) and 95℃ (3.30logCFU/g) treatments after storage for 7 days at 4℃.
This study was performed to analyze the degree in the reduction of retrogradation in Garaetteok during 3 days at4oC with the addition of 0.8% wheat flour. The water holding capacity of the control (CO) and Garaetteok with0.8% wheat flour added (TR) after storage for 3 days was 45.8% and 76.0% respectively compared with that inthe initial storage stage. The water solubility of TR showed higher values than that of CO throughout the storageperiod, and the difference between CO and TR increased as the storage period increased. For the X-ray diffraction(XRD) pattern, CO showed an A-type pattern and the peak was sharp with the peak size increasing as the storageperiod increased, whereas TR showed a single peak throughout the storage period. Enthalpy changes (∆E) by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er (DSC) of CO and TR after storage for 3 days were 851.8 and 16.1J/kg respectivelywith hardness of 96.3 and 4.0N respectively, which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t the 0.1% level.
귀리, 콩, 감자, 밀에서 유래한 다양한 식이섬유를 밀가루 대신 10-40%까지 대체함에 따른 수화능, 동적점탄성, 용매흡착능 및 in vitro starch digestion을 비교하였다. 귀리, 콩, 감자, 밀에서 유래한 다양한 식이섬유를 식이섬유의 대체비율이 증가할수록 수분흡착능과 팽윤력은 증가한 반면, 수분용해도는 감소하였다. 밀가루 대신 콩과 감자 식이섬유를 대체함에 따라 동적점탄성은 증가하였으나, 귀리와 밀 식이섬유 대체에서는 오히려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식이섬유 대체에 따른 밀가루의 용매흡착능 변화를 분석한 결과, 낮은 대체량의 귀리 식이섬유와 높은 대체량의 콩과 감자 식이섬유가 활용 가능성을 보였다. 원료별 식이섬유 대체 시 밀가루 겔의 전분소화 패턴은 식이섬유 대체비율이 증가함에 따라 glucose 방출은 감소하였으나, 원료별 특성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특히, 밀식이섬유를 제외한 귀리, 콩, 감자 식이섬유는 모두 RDS감소와 RS증가에 따른 pGI 저하를 보여 실제 식품소재로 활용 시 가공적성을 유지할 수 있다면 전분소화지연효과를 기대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식이섬유의 원료에 따른 식이섬유 조성과 전분소화 관련 특성 간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전분소화를 지연시키는 효과는 수용성 식이섬유보다는 불용성과 총식이섬유 함량이 중요한 인자임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떡 굳음방지기술의 적용하여 저장성이 개선된 건강지향형 잡곡 떡을 제조하기 위하여 멥쌀의 일부를 보리 분말 0, 15, 30, 45%로 대체한 가래떡을 제조한 후 4oC에서 3일간 저장하면서 수분, 색도, 텍스처 및 기호도 검사를 수행하였고, 이들간의 상관성을 분석하였다. 떡굳음방지기술을 적용하여 제조한 가래떡의 경도는 보리 분말로 45% 대체한 가래떡을 제외하고 저장 기간이 경과하였음에도 경도 증가가 억제되었다. 색도는 보리 분말 대체량이 증가할수록 명도(L값)는 감소하고, 적색도(a값) 및 황색도(b값)는 증가하였다. 떡 굳음방지기술을 적용한 가래떡의 전반적인 기호도는 제조 직후에는 보리 분말을 함유하지 않은 가래떡이 가장 높은 결과를 보였으며, 보리 분말 대체량이 증가할수록 전반적 기호도는 저하되었으나, 보리분말 0, 15% 대체 가래떡은 저장 3일 후 유의적 차이가 없었다. 가래떡의 기계적 및 관능적 품질 특성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가래떡의 전반적인 기호도는 수분 함량과 높은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제조 직후와 저장 3일 후 기호도 평가에서는 각각 경도와 점착성이 높은 음의 상관성을 나타내었다(p < 0.01). 이상과 같이, 굳음방지기술을 적용한 보리 분말 대체 가래떡의 저장 후 노화지연, 기계적 텍스처 및 관능적인 기호도를 고려할 때 보리 분말 대체량 15%가 적합한 것으로 사료된다.
일반적으로 버섯류는 항암, 면역, 항염증 등 여러 가지 기능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기 능성 내용을 표시/광고할 수 있는 “건강기능식품”은 2000년 11월 29일 발의되어 2002년 8월 26일 공포되어 시 행된“건강기능식품에 관한 법률”에따른 과학적 근거자료를 토대로 그 기능성을 입증할 수 있는 것이어야 한 다. 건강기능식품은 건강기능식품 공전에 등재되어 있는 고시형 건강기능식품과 등재되어 있지 않아 새로이 인정받아야 하는 개별인정형 건강기능식품으로 나눌 수 있다. 식약청은 2004년부터 3년 간 고시형 품목(대부 분이 건강보조식품으로 분류되던 품목들)의 기능성 재평가 연구사업을 수행하였고, 2007~2008년에는 연구사 업의 결과물을 우선 입안예고 한 후 각 계의 의견을 취합하는 과정을 밟았으며 2008년에는 이를 반영한 건강 기능식품 기준 및 규격 전면개정을 하기 이르렀다(식약청 고시 제2008-12호). 재평가 사업 결과 버섯제품 중 과학적 근거자료가 확보된 “영지버섯 자실체 추출물”과 “목이버섯”은 당/탄수화물 원료의 일부로서 잔류하게 되었으나 나머지 기존의 버섯제품은 “일반원료”로 분류되어 2009년 12월31일 까지 고시형으로 잔류하였으나 현재는 식품공전의 기타식품류 중 버섯가공식품으로 이관되었다(2010년 1월7일 “식품의 기준 및 규격” 전면 개정). 현재 건강기능식품공전에 등재된 버섯 원료는 당/탄수화물 중 식이섬유 중 “목이버섯(배변활동 원활)” 과 당/탄수화물 중 “영지버섯 자실체 추출물(혈행개선)”이며, 개별인정받은 원료로는 “금사상황버섯(면역기 능개선)”, “표고버섯균사체 AHCC(면역기능증진)”및 “표고버섯균사체추출물분말(간 건강)”의 3가지이다. 따 라서 신규 버섯의 건강기능식품 원료인정("기능성표시"를 위해서)을 위해서는 개별인정형을 위한 조건을 충족 시켜야 할 것이다. 기능성 원료로 인정받기 위한 개별인정 제출 자료는 법에 자세히 명시되어있다. 기능성분 또는 지표성분을 명확히 해야 하는데 기능성분은 말 그대로 기능성을 나타내는 성분으로서 추출물 자체가 될 수도 있고 특정 버섯 추출물에 함유된 특정한 베타글루칸 등이 될 수도 있다. 지표물질은 기능성 원료의 identity를 결정짓는 중요한 물질로서 버섯의 제조 형태에 따른 표준화 관리 목적으로 반드시 설정해야 한다. 즉, 버섯이 건강기능식품 기능성 원료로 인정받기 위해서는 버섯마다, 사용부위마다, 제조방법, 기능성분에 따른 기능성과 안전성 등에 차이가 있음을 인식하고 in vitro, in vivo, human study에 이르는 체계화 되고 일관 성 있는 연구 및 개발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