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study explores EFL English learners’ reactions and achievements when exposed to two types of online learning, pre-recorded lectures and real-time lectures, in a semester-long English reading class. The participants were 60 Korean university English learners who attended both types of online lectures for six weeks each. They studied three parts: reading comprehension for top-down and bottom-up reading skills, grammar, and vocabulary. Midterm and final exams assessed the learners’ achievements, and one online surve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ir reaction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participants preferred to study recordings and were most satisfied with their grammar studies in recorded lectures but preferred real-time lectures for reading comprehension. The study also found that they attained better scores on top-down reading skills and vocabulary learning through recorded lessons and higher scores on bottom-up reading skills and grammar learning through real-time lectures. Finally, the study shows the participants preferred to attend a combination of both online methods. This study suggests salient online learning ways for an English reading course.
본 연구는 미용 전공 대학생의 비대면 수업 경험이 학습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 With Corona 시대에 맞는 미용 교육산업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함에 목적이 있다. 미용 전공 대학생 300명을 대상으로 2022년 06월 07일부터 06월 21일까지 자가기입식 설문법을 실시하였으며 총 286부를 표본으로 실증 분석하였다. SPSS ver. 21.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빈도분석, 요인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기 술통계분석,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법을 사용하여 연구하였다. 그 결과, 비대면 학습경험을 요인 분석 한 결과 수업만족 2개의 하위요인으로 분석되었으며 학습몰입을 요인 분석한 결과 학습 즐거움과 학습몰입 의 2개의 하위요인으로 분석되었다. 수업 활동이 학습몰입의 하위요인인 학습 즐거움(β=.279, p<.007)과 학습몰입(β=.221, p<.031)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p<.05). 수업 만족이 학습몰입의 하위요인인 학습몰입(β=.223, p<.041)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p<.05).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비대면 수업 경험이 학습몰입에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으며 이를 통해 시대에 맞는 효율적 비대면 교육 방안이 활발히 모색되기를 기대하는 바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비대면 온라인 강의를 경험한 간호대학생의 수업 만족도, 자기효능감, 비판 적 사고의 관계를 확인하고, 비판적 사고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연구이다. 연구 대상자 는 G시 소재 간호대학생 191명으로 자료수집은 2022년 5월 2일부터 5월 31일까지 진행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기술통계, t-test, ANOVA 및 Scheffe‘ test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비판적 사고는 수업 만족도 (r=.20, p=.005), 자기효능감(r=.61, p<.001)과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간호대학생의 비 판적 사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자기효능감(β=.66, p<.001), 전공에 대한 흥미도 중 매우 흥미 있는 경우(β=.41, p<.001), 수업 만족도(β=-.31, p<.001), 3학년(β=.26, p<.001), 전공에 대한 흥미도 중 흥 미 있는 경우(β=.21, p=.029), 2학년(β=.16, p<.001)순으로 나타났으며, 60.1%를 설명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간호대학생의 비판적 사고 증진을 위해 전공에 대한 흥미도, 학년별로 개별적인 상담과 지도가 필요하며 자기효능감과 수업 만족도를 향상할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시행하는 것 이 필요하다.
This study reports Chinese and Korean university EFL students’ perceptions of and attitudes toward online and face-to-face English language learning modes during COVID-19. Few previous studies have focused on how students thought of online and face-to-face learning experiences of subjects regarding new concept learning and delivery of new contents. Research gravitating around English courses showed students' mixed perceptions. The survey was conducted for 302 Korean and 337 Chinese university students who took communication-oriented English courses. Descriptive statistics and qualitative data analysis were used for analysis. Results indicated that students preferred face-to-face English learning with some specific indications of achieving a stronger help and quality for communicative competence in language. Online learning also benefited students with a sense of both flexibility and independence. Positive components of face-to-face learning for language education might be considered for online education while incorporation features such as flexibility and independence to enrich language education during COVID-19.
연구목적은 코로나-19 확산 속에서 비대면 수업의 적용에 따른 보건계열 학과 1, 2 학년 학생들의 전공 몰입과 전공 만족도의 변화를 분석하는 데 있다. 연구대상은 보건계열학과에 재학 중인 1, 2학년 학생으로 총 181명이 참여하였다. 대상자들은 COVID-19 확산에 따라, 15주간 비대면 수업에 참여하였으며, 비대면 수업은 교육부 지침에 근거하여, 실시간 온라인 강의와 영상콘텐츠를 활용한 수업으로 구성되었다. 전공 몰입 평가는 전공몰입척도를 활용하여 수행되었고, 전공 만족도는 전공만족도척도를 활용하여 수행되었다. 분석결과, 비대면 수업의 적용 후 대상자들의 전공 몰입과 전공 만족 정도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감소되었다. 본 연구결과에 따라, 비대면 수업의 적용은 대상자들의 전공 몰입과 전공 만족도의 감소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이다. 따라서, 비대면 수업의 적용에서 보건계열 학과 1, 2학년 학생들의 전공 몰입과 전공 만족도의 향상을 위해서, 적절한 고려가 필요할 것이다.
Global depression has brought the Korean economy into the period of low growth. The notion of lifetime employment has long crumbled, while economic recession is gradually taking away quality jobs. Furthermore, the average lifespan for the population has neared 100, while baby-boomer retirement is swinging into high gear.
The simultaneous inrush of social and economic problems is threatening our wellbeing. However, there has been insufficient amount of research conducted on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e satisfaction with lectures in lifelong education designed to address the problems. If we look at the earlier studies, most of them are on the satisfaction with lectures in regular courses. Our society demands that jobs be created for retirees including the baby boomers and that quality jobs be provided for those who want to go back to work after they have withdrawn from previous employment. In this light, the current study aims to bring light on the causal relation between the influential factors and variables involved in the satisfaction of lectures of non-degree programs with a view to solving those problems, and suggests the need to draw up marketing strategy that uses it.
Specifically, the purpose and method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o develop variables to be used in this study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field staff in the industry and training staff. Second, to identify predisposing factors that influence the satisfaction with the lectures of non-degree programs. Third, to identify the variables mediating predisposing factors and satisfaction with lectures. Fourth, to propose marketing strategy for non-degree programs using the results of the study.
As identified through this study, the influencing factors for satisfaction with lectures are physical environment, composition of contents, and instructor ability and attitude, while mediating variables are interaction and immersion in lectures. If these factors are reflected in education, a higher level of satisfaction with lectures will be ensured for business starting youths, retirees, and those who want to have some other job after withdrawing from their previous ones. Educational institutions will be able to use it in ensuring stabler recruiting of trainees and establish a more efficient guidance and marketing strategy. Reflecting the results of the study in education will contribute to heightening educational sustainability, social sustainability, and economic sustainability.
본 논문에서는 1926년 1월에서 3월까지 행해진 클라크 강연에서 엘리 엇이 형이상학을 어떠한 방식으로 정의하려 하였는지에 대하여 보여주 고자 한다. 이 강연에서 엘리엇은 흔히 형이상학 시인으로 불리는 시인 들에 대한 자신의 생각을 정리하고자 하고 있다. 엘리엇은 존 드라이든 이 내리고 사무엘 존슨이 사용한 형이상학의 정의에 대해 문제를 제기 하고, 형이상학적 시기를 사유의 영역에 있는 추상적인 사고가 시의 영 역으로 편입되는 시기라 정의 내린다. 이러한 정의 하에 엘리엇은 단테 를 위시한 14세기 이탈리아, 던을 비롯한 17세기의 영국, 라포르그와 코 르비에르로 대표되는 19세기 프랑스를 세 개의 형이상학적 시기로 보고 있다. 강연에서 엘리엇은 단테를 감성과 이성을 하나로 통합시킨 작가 로 보는 반면, 던은 이 둘의 분열을 대표하는 작가로 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