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1

        2.
        202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백한우는 한우에서 유래되었으며, 모색과 망막에 색소가 전혀 없는 전형적인 알비노 증상을 보인다. 본 연구는 mtDNA D-loop 영역 전체 서열에 기초하여 백한우의 모계유전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백한우에서 특이적으로 나타나는 TYR 유전자 exon 2 영역의 염기변이를 PCR-RFLP 분석을 통해 확인하였다. 이 결과를 통해서 본 연구에서 공시한 32두 모두 백한우임을 확인하였다. 백한우 32두에 대한 mtDNA D-loop 영역 전체 서열을 이용하여 염기변이 및 유전적 다양성을 확인하였다. A, T, C, G 염기 각각의 빈도는 32.8, 28.9, 24.4 및 13.9%, GC 함량은 38.3%로 확인되었으며, 이러한 빈도는 타 소품종들과 유사하였다. 또한 9개의 다형부위가 확인되었고, 6개의 haplotype으로 분류되었다. haplotype 다양성지수는 0.651, 염기변이율은 0.00181로 확인되었으며, 기존에 보고된 다른 소품종들보다 낮은 수치를 보였다. 염기변이 양상 비교 및 계통유전학적 분석 결과, 백한우에서 나타난 6개의 haplotype은 T1 및 T3 haplogroup으로 분류되었으며, 특히 5개 haplotype이 T3 haplogroup에 포함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백한우의 보존, 관리 및 활용을 위한 중요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4,000원
        5.
        2017.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migratory locust, Locusta migratoria, is one of the famous insect pests in the world. Although the species revealsseveral morphological variations, it is largely divided into two lineages, Southern (Africa, Southern Europe, Southern Asia,and Australian) and Northern (East Asia, Eurasian continent). In 2014, a large number of L. migratoria nymphs withred-brown color were suddenly occurred in the southern region (Haenam-gun, Jeollanam-do) of Korea. In this study, mitochondrialCOI sequences were analyzed to recognize the genetic identity of L. migratoria with nymph or adult samples collectedfrom 15 localities in Korea. The analysis results reveal that most of all samples are belonging to the Nothern lineage,and the Southern lineage was discovered only in Iksan and Chunju of Korea.
        6.
        2016.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Recently, the consumption of chickens meat has been gradually increased in Korea. However, most of the chickens breeds in Korea were imported from oversea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genetic distances and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 by the mtDNA D-loop control analysis method for the Korean native chickens(red plumage, red-line plumage, Ogol) and white leghorn. For the initial investigation of the relationships between Korean native chickens(red plumage(KCR), red-line plumage(KCRD), Ogol(KCO)) with white leghorn breeds, the sequences from D-loop control region in mitochondrial DNA (mtDNA) was used. The results from phylogenetic analysis indicated that both KNC and white leghorn breeds were classified well with wild duck breeds. However, KCR was not discriminated well with KCRD. The haplotype analysis indicated that KCR and KCO have ten different haplotypes with nineteen SNPs. Three haplotypes (haplotype 1, 2, 3, 5, 17) were shared both in KNC(KCR, KCRD) and KCO. On the other hand, haplotype 4, 6, 7 was appeared only KCR and haplotype 13, 16, 18 were identified only in KCRD population. In addition, haplotype 8, 9, 11, 12, 14, 15, 19 was appeared only KCO. With further verifications, the results presented here can be used for the on servation and commercialization of the Korean native chickens. This work was supported by a grant from the “Livestock Preservation of Genetic Resources",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Republic of Korea.
        7.
        2016.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Using a partial D-loop sequence of mtDNA, a comprehensive molecular evolutionary analysis was performed of the maternal lineages of the Jeju native pigs(JNPs) that presented in Jeju Island. A total of 100 DNA sequences from Asian domestic pigs(ADP), European domestic pigs(EDP), Asian wild boars(AWB), European wild boars(EWB), and JNPs were used for the molecular evolutionary analyses including phylogeny and network analyses. The most fitted model for the phylogenetic analysis was determined using hierarchical likelihood-ratio tests conducted by MrModeltest implemented in the PAUP package. A consensus tree was established from 5,000,000 iterations using the MR BAYS program. Three recognizable JNP groups–one(JNPE) in the European cluster and two(JNPA1 and JNPA2) in the Asian cluster–were detected in the estimated phylogenetic tree and network. The maternal lineage of JNPE was the most adjacent to that of EWB and a clear haplogroup sharing an identical haplotype(hap16) among 15 individuals of JNPE and 2 individuals of EWB was detected.
        8.
        2016.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migratory locust, Locusta migratoria, is one of the famous insect pests in the world. Although the species reveals several morphological variations, it is largely divided into two lineages, Southern (Africa, Southern Europe, Southern Asia, and Australian) and Northern (East Asia, Eurasian continent). In 2014, a large number of L. migratoria nymphs with red-brown color were suddenly occurred in the southern region (Haenam-gun, Jeollanam-do), Korea. In this study, mitochondrial COI sequences were analyzed to recognize the genetic identity of L. migratoria with nymph or adult samples collected from 9 localities in Korea. The analysis results reveal that all individuals are belonging to the Northern lineage.
        9.
        2012.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Adoxophyes paraorana는 배, 사과 등의 주요 해충으로, 국내에는 A. honmai 및 A. orana와 혼재되어 있다가 2012년에 들어서야 새로운 신종으로 보고되었다(Byun et al., 2012). 이에 따르면 A. paraorana는 국내에 기 보고된 A. orana, A. honmai와 매우 유사한 형태적 특징을 가지고 있어 구분이 쉽지 않고, COI 바코드를 이용한 분자생물학적 연구에서는 약 5% 정도의 염기서열상의 차이를 보이고 있다. 그러나 최근 종간 구분 및 분류에 COI 바코드 유전자를 이용하는데 대한 문제점이 거론되고 있고, 특히 COI 유전자보다 다른 mtDNA 유전자에서 종간 구분에 필요한 차이가 더 많이 나타나기도 하여 이에 대한 비교연구가 진행되고 있는 상황이다. mtDNA 상의 12 가지 대표적인 단백질 발현 유전자들을 대상으로 Adoxophyes complex내 세 종의 염기서열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 COI에 비해 더 큰 차이를 나타내는 유전자들이 확인되었으며, 이를 속내 변이 수준에서 Cameron (unpubl. data)의 데이터와 비교한 결과, 서로 다른 속에서도 일정하게 큰 종간 차이를 나타내는 유전자는 COI 보다는 ND6, CytB, 그리고 ND5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Adoxophyes complex와 같은 유사 해충 종간의 구분을 위한 specific primer set의 개발은 ND6와 같은 유전자를 대상으로 하는 것이 COI에 비해 더 명확한 결과를 나타낼 것으로 판단된다.
        15.
        2005.03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젖소(Holstein종)의 mtDNA D-loop 영역 염기변이 다형성과 경제형질간의 관련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젖소의 mtDNA D-loop 영역에서 단일염기의 치환에 의해 총 35개의 polymorphic site가 확인되었다. 그중 주요 Polymorphic site의 염기변이 빈도는 106, 169, 16057, 16231 및 16255 지역에서 높은 빈도의 염기치환이 검출되었다. 169 지역은 A가 G로 염기치환이 일어났고 그 빈도는 0.555로 높게 나타났으며 염기치환에 의한 산유량 효과는 1259.6 kg(P<0.05)로 나타났다. 유지방과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16118 지역은 A가 G로 치환되는 빈도가 0.02로 검출되었으며, 16135 지역은 T가 C로 치환되는 빈도가 0.02로 검출되었고, 16302 지역은 G가 A로 치환되는 빈도가 0.04로 검출되었다. 이 지역들이 유지방에 미치는 변이 효과는 - 156, - 118.15 및 - 67.77 kg(P<0.1)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검출한 젖소 mtDNA내 D-loop 영역의 염기서열 변이 빈도와 유량, 유지방과의 연관성 분석 결과 등은 젖소집단의 유전적 변이성 추정과 좀 더 다양한 경제형질과의 관련성 분석으로 다양한 유전적 지표인자 발굴에 도움이 될 것이며 이를 통해 분자유전학적 기법을 이용한 젖소의 육종전략을 확립하는데 기초 자료가 되는 것은 물론 분자육종학적인 연구에 기초 자료로서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4,000원
        16.
        199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4,000원
        17.
        199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nopheles quadrimaculatus( Say) 자매종 간의 미토콘드리아 DNA의 제한효소 절단부위변이를 Aedes albopictus의 마토콘드리아 cDNA를 probe로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DNA hybridization에 의해 두 속간에는 mtDNA 영기서열의 상당한 상동성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개체 모기로부터 분리한 DNA를 제한효소를 사용하여 절단한 결과 자매종간에 다른 양상을 볼 수 있었으며 Hind III에 의한 mtDNA 절편만으로도 자매종들을 동정할 수 있었다.
        3,000원
        18.
        2011.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roduction of the sharp-toothed eel by commercial catch off waters of Korea is annually declined after 1978.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obtain the stock management of the sharp-toothed eel using the PCR-aided RFLP method. The mtDNA COI gene was amplified using species-specific primers and PCR product was observed to 700 bp. Amplified DNA fragments were treated with six kinds of restriction enzymes (BaeHI, EcoRI, PstI, Ksp22, HinfI and HaeIII). The treatment of HaeIII showed a distinct PCR product between Yeosu/Jinhae/Jeju/Goseoung and Jangheung/Haenam populations that were observed from 300 to 400 bp in reference to 100 bp molecular marker. However, DNA fragment within populations had an identical pattern. The phylogenetic homology is 82% between two populations inferred from RFLP PCR product pattern using NTsysPC ver. 2.1. The use of HaeIII plays an important role in discriminating populations. It is thought that adults after over-wintering in the southern part of Jeju migrate to the Yeosu, Jinhae and Goseoung regions to spawn instead of to southwestern waters. Individuals within populations showed a relatively active genetic mixing and migration regardless of geography. However, the genetic ancestor of Jangheung and Haenam populations is appeared to be more adjacent to China or Japan than Jeju.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