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6

        2.
        2016.03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비외상성 자연적 장관 벽내 혈종은 항응고제 치료의 합병 증으로 발생하는 경우가 드물게 있다. 가장 흔한 호발 부위 는 공장이며, 회장, 십이지장 순으로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증상은 혈종의 위치와 크기에 따라 다양하지만 대개 복통, 구역 및 구토가 동반되고 일부에서는 혈뇨, 췌장염, 담관염이 드물게 보고 되었다. 하지만 국내에서는 십이지장 혈종의 2차적인 원인으로 폐쇄성 황달과 급성 담낭염이 발 생된 보고는 없었다. 본 증례에서는 항응고제 치료의 합병증 으로 십이지장 벽내 혈종이 발생되었고, 이로 인해 일시적인 폐쇄성 황달과 급성 담낭염이 발생했으나 보존적 방법으로 호전된 증례를 경험하였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고자 한다.
        4,000원
        3.
        2015.06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간세포암종 환자에서 황달은 불량한 예후를 시사하는 소견이다. 간세포암종에 의한 황달 중 담도폐쇄에 의한 황달은 그 차지하는 비중은 낮으나 적절한 담도배액술을 통해서 황달을 호전시킬 수가 있고 이를 통해 환자의 삶의 질을 향상 시키고 예후를 개선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임상적으로 중요 한 의의를 가진다. 간세포암종에 의해 담도폐쇄가 발생한 환 자의 적절한 치료를 위해서는 우선 담도폐쇄의 기전을 파악 하고 폐쇄 부위를 확인하는 것이 필요하며 그 결과에 따라서 담도배액의 방법을 선택하게 된다. 담도배액술은 내시경적 역행성 담췌관조영술을 이용한 내시경적 배액술을 우선적 으로 고려하고, 수술 등으로 인한 해부학적 구조의 변형으로 인하여 내시경적 접근이 불가능하거나 내시경적 배액술이 실패한 경우 등에서는 경피경간 담도배액술을 이용한 외배 액술 혹은 드물게 내시경 초음파 유도하 담도배액술을 시행 한다. 담도배액관은 플라스틱 스텐트와 자가 팽창형 금속 스텐트 중 적절한 것을 선택하여 사용하게 되는데, 둘 중 어느 것이 더 좋은지에 대해서는 연구가 부족한 상태이며 병변의특성과 환자의 여명을 고려하여 스텐트를 선택하는 것이 좋겠다.
        4,000원
        4.
        2014.06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간담도계 동맥에 의해 총담관이 압박된 예는 매우 드물다. 우간동맥에 의해 총담관이 압박되어 폐쇄황달이 발생하였을 경우, 수술적 감압으로 확진 및 치료를 할 수 있다. 20세 남자 환자가 황달을 주소로 내원하였다. 전산화 단층촬영 혈관 조영술에서 위십이지장 동맥에서 분지한 변이 우간동맥에 의한 총담관 압박으로 발생한 폐쇄황달 소견을 보였다. 내시경 경비담관 배액술을 시행하였고, 수일 후 복강경 담낭 절제술, 복강경 변이 우간동맥 가동술과 T자관 삽입술 시행 하였다. 환자는 별다른 급성기 합병증은 없었고, 이후 1년간 재발도 없었다.
        4,000원
        5.
        2014.03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Biliary invasion by hepatocellular carcinoma (HCC) is much less common. Patients manifest obstructive jaundice as the initial complaint, but most of them are inoperable. We report a case of completely improved biliary invasion in HCC after transcatheter arterial chemoembolization (TACE). A 61-year-old woman was referred for evaluation of jaundice. A biliary invasion of huge HCC was confirmed by image of abdominal computerized tomography (CT) and biopsy specimen. After improvement of jaundice by endoscopic retrograde biliary drainage and percutaneous transhepatic biliary drainage, she underwent TACE as a palliative treatment. Follow-up CT showed partial lipiodol uptake in hepatic tumor and its bile duct invasion. In follow-up endoscopic retrograde cholangiopancreatography, occluded cholangiogram showed neither luminal obstruction nor filling defect after removal of biliary stent. Our case suggests that obstructive jaundice, caused by inoperable huge HCC with biliary invasion, may be expected to resolve successfully biliary obstruction by a choice of TACE.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