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6

        1.
        201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풀무치의 전국적인 발생현황 및 밀도조사의 결과, 한국에서는 전라남도 해남군 산이면과 전라남도 무안군 망운면 간척지에서 2015년 이후 지속적으로 높은 밀도의 발생이 관찰되었다. 우리는 두 지점에서 발생하는 풀무치의 기원을 알아내기 위하여 NADH dehydrogenase subunit (NAD) 2, NAD4 와 NAD5의 염기서열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해남풀무치의 경우는 중국동북부의 Liaoning성 과 Heilongjiang성 개체군과 기 원이 비슷하고, 무안풀무치의 경우는 일본풀무치와 기원이 비슷하다는 결론에 도달했다. 이전의 전 세계적인 풀무치의 진화에 관한 연구에서 한 국의 풀무치가 포함이 되지 않아서 한반도 풀무치의 기원은 알 수 없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중국북동부 지방에서 8만 년 전에 분리된 풀무치 중 일부가 한반도로 이동을 하여 해남 지역에 정착을 하고 일부는 러시아 사할린과 일본 홋카이도섬을 거쳐서 무안으로 이동하였을 가능성을 보여주 고 있다. 하지만, 한반도로 내려온 풀무치가 해남과 무안계통으로 분리된 후 일본으로 이동하였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4,000원
        2.
        2014.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intracellular endosymbiont bacterium Wolbachia is currently considered the most abundant in arthropods and has also been isolated from nematodes, amphipods, isopods, mites and spiders. Recently, Wolbachia-based research was focused on the control of disease vector-population, such as several mosquitoes such as genus Aedes and Anopheles which cause dengue fever and malaria, respectively. For the analysis of regional difference between vector mosquito Aedes albopictus and Wolbachia, we selected different regions and collected Ae. albopictus which were distinguished with mountain chain and waterway. Whole genomic DNA were extracted from collected specimens with 9 regions. PCR analysis and sequencing were accomplished in each specimen for Wolbachia detection and identification using WSP gene. As a results, almost mosquitoes were infected with two strain of Wolbachia both wAlbA and wAlbB. However, regional separation of vector mosquitoes, wAlbA strain of Wolbachia were showed more than 98% sequence similarity. In this study, we first reported that Wolbachia infection and type of Wolbachia in Korea and endosymbiont Wolbachia was showed highly sequence homologies.
        3.
        200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nucleotide sequence of the Spodoptera litura granulovirus (SlGV) genome was determined and analysed. It was 124,121 bp long, with a 61.2% A+T content and contained 133 putative open reading frames (ORFs) of 150 nucleotides or larger. The 133 putative ORFs covered 86.3% of the genome. Among these, 29 ORFs were conserved in most completely sequenced baculovirus genomes, 44 were granuloviruses (GVs)-specific, 4 were nucleopolyhedroviruses (NPVs)-specific, and 56 were present in some NPVs and/or GVs. Especially, we proved that there were 9 SlGV-specific ORFs in 44 GV-specific ORFs by RT-PCR. Chitinase and cathepsin genes involved in the liquefaction of the infected hostwere not found in the SlGV genome, which explains why SlGV-infected insects do not degrade in a typical manner. When the phylogenic relationship was analyzed using the nucleotide sequence of granulin gene, SlGV was most closely related to Trichoplusia ni granulovirus (TnGV) and Xestia c-nigrum granulovirus (XcGV) which were belonged to TypeI granulovirus.
        5.
        2019.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국내 콩 유전체의 변이밀집영역(dVB)에서 유 래한 27개 InDel 마커를 신품종 20개에 적용하여 품종판별용 마커로서 범용성을 검증하고 신품종의 구별성과 국내 품종의 유전적 다양성을 확인하였다. 20개 신품종과 MyCrops에 포함된 기존 149개 품종과의 유사도는 평균 61.3%이고, 최저 25.9%에서 최대 96.3%의 유사도로 완전 일치(100%)되는 바코드는 없어 20개 신품종의 유전적 구별성을 모두 확인할 수 있었다. 유연관계를 분석한 결과에서는 신품종을 포함한 국내 169품종이 4개의 유전집단으로 구분되었으며 풋콩 및 단기성 콩의 80%가 I-2 소그룹, 나물콩의 65.9%가 II-2 소그룹에 주로 속한 반면, 장류 및 두부콩은 I-1 (44.4%), I-2 (26.4%), II-2 (23.6%) 소그룹에 고르게 분포하였다. 20개 신품종에 대한 계보도는 나물콩 주요 계보와 장류 및 두부콩으로 크게 두 그룹으로 나누어지며 유연 관계분석을 뒷받침하였다. 품종판별을 위한 최소 마커를 선발 하기 위해 PIC가 높은 공통마커와 품종별 특이마커를 선발하는 2단계 과정을 통해 품종에 따라 7~9개의 최소 마커로 신품종의 진위를 판별할 수 있었다. 이처럼 콩 변이밀집영역에서 유래된 27개 InDel 마커와 이를 이용한 신품종 바코드 정보의 지속적인 업데이트는 수입산에 대한 국산 품종의 보호와 육성가의 권리 증진에 기여하며, 더불어 육종과정 중 신규 유전변이를 도입하고 목표형질을 선발하는 등 육종 효율을 개선하는데도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6.
        2012.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Panax ginseng C.A. Meyer, commonly known as Korean or Asian ginseng, is a perennial herb which is native to Korea and China. Its roots are highly prized for several medicinal properties. Therefore, Ginseng has been a top-ranked subject of many fields of scientific research worldwide. However, very limited number of research work has been published on species authentication using DNA marker system. In this study, 22 simple sequence repeat (SSR) markers were used to analyze the genetic diversity and population structure of 167 ginseng cultivars from 11 regions and 10 breed varieties. A total number of 111 alleles were detected, with an average of 5.05 per locus. The average expected heterozygosity and polymorphism information content (PIC) for SSR locus were 0.35 and 0.30, respectively. The model-based structure analysis revealed that 66.5% of all cultivars could be grouped into three populations with inferred value (allele shared >70%) membership. More than 33% of tested cultivars derived from two ancestries, which was basically consistent with clustering based on genetic distance. Almost all of the cultivars shared the ancestry with S1 and S2 except 1 China Jilin and 3 USA cultivars. The result indicated that most of Korean ginsengs are closely interrelated between the two ancestors but USA ginsengs are totally different from Asian cultiva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