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

        1.
        2024.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article focuses on the kanji learning textbook “小野篁歌字盡”, which was published in the Edo period. This textbook was used by the learning and education institution Terakoya. However, the kanji it contains are complicated for beginners. In addition, the book has a training pronunciation, so it is clear how the words were pronounced at that time. Although “小野篁歌字盡” was complex, it was revised repeatedly and used until the end of Edo period. These revisions were made in accordance with the educational requirements of the time. In other words, the revisions of “小野篁歌字盡” and its contents reflect the educational and living conditions of Japan at that time. The kanji learning materials of Terakoya include “名盡” (a kanji learning material for names), “千字文”, and “国盡” (a kanji learning material for regional names). In addition, moral education is conducted using “the Analects of Confucius” and “Daxue”. So, what role did the “小野篁歌字盡” play in education? In this article, we will also introduce “小野篁歌字盡”, which was collected by Shiga’s Jishusai and Sakai City’s Seigakuin. The Edo period in Japan was the period when the Tokugawa Shogunate ruled the country after a long period of war and lasted for about 260 years. In particular, after the Shimabara Rebellion (1637), the samurai lost their role as warriors and the structure of rule changed. Ruling required political power rather than force. This created a particular need for education. Against this backdrop of the times, “小野篁歌字盡” was published.
        6,100원
        2.
        2023.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자가 중국에서 한국으로 전래된 후 한자의 학습과 사용을 편리하게 하기 위해 한자교육 방면의 동몽 독서물이 대량으로 정리되고 편찬되었다. 󰡔한국유학교육자료집해󰡕 제1권 󰡔동몽교 육편󰡕은 조선시대에 간행된 19종의 동몽 독본을 수록하여 조선시대 민중의 한자에 대한 인식과 문자 사용 실태를 전반적으로 이해하는 데 귀중한 자료를 제공한다. 19종의 한자 동몽 자료는 많은 이체 속자를 사용하여 중국의 한자 사용과 다른 특징을 보여준다. 총체적으로 볼 때 조선시 대 동몽 문헌에 보이는 속자는 크게 두 가지 유형이 있다. 하나는 필획의 증감, 필획의 형태 변화, 간접 부건과 기타 부건의 혼재, 부건 배치의 차이, 초서의 해서화 등의 요인으로 형성된 異寫俗字이고, 다른 하나는 조자 방법의 차이, 조자 방법은 같지만 부건이 다른 경우, 구조적 속성은 같지만 부건 수량이 다르거나 필사의 변이로 인한 구조의 차이 등의 요인으로 형성된 異構俗字이다. 조선시대 동몽 문헌의 속자 사용에서도 주목할 만한 특징이 나타난다. 예컨대 고문과 예서의 정서법을 많이 보존하고 있고, 중국 고대 속자의 변형된 정서법을 전승 및 사용하 고 있으며, 문자의 속자가 체계성을 갖추고 있는 등을 들 수 있다.
        8,4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