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7

        1.
        2014.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study, the concentrations of isoflavones, anthocyanins and total phenol content (TPC) in 19 soybean mutant lines changed seed coat color from yellow to black or brown were determined. Among 19 soybean mutant lines, 5 soybean mutant lines with black pigment were detected 3 anthocyanins (delphinidin-3-O-β-D-glucoside, D3G; cyaniding 3-O-β -D-glucoside, C3G; petunidin 3-O-β-D-glucoside, Pt3G). The highest concentration of anthocyanins among 5 soybean mutant lines was D-16 (1280.0 ± 19.4 mg/100g seed coat) derived from cv. Danbaek. Although isoflavone contents of all soybean mutant lines showed lower levels compared to original cultivars, glycitein was detected only 5 soybean mutant lines (DP-37-2, DP-38, DP-39, DP-40, and DP-41 derived from cv. Daepung). In TPC of 19 soybean mutant lines, DP-10 was increase levels compared to original cultivar, while DP-37-2, DP-40, and DP-41 were decrease levels of TPC. Using reduction of DPPH, we measured the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FRSA) among 19 soybean mutant lines. Five black and 4 brown soybean mutants showed significant increase in FRSA. On the basis of these results, it was concluded that gamma irradiation may change the isoflavone, anthocyanin, and total phenol contents of soybean. These mutant lines using in this study can be useful for the breeding of soybean varieties altering the nutritional values.
        2.
        2013.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새로운 팥 품종 새길 Vigna angularis은 년 밀양 국립식량과학원에서 개발하였다 새길 은 충주재래 를 모본으로 하고 충주팥전남재래 호 을 부본으로 교배하여 품종을 개발하였다 조숙 대립 내재해성 계통으로 선발된 품종으로 밀양 로 명명하였으며 년간 지역적응시험을 실시한 결과 고품질의 내재해 다수성 품종으로 선발하여 이후 새길 로 명명하였다 새길 은 개화기 및 성숙기가 대조군인 충주팥에 비해 일 빠르고 개화기간은 일 짧다 생산력검정시험 결과 립중은 으로 충주팥보다 무거웠으며 당 평균수량은 으로 나타났다
        3.
        2007.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우리나라에서 재배 생산된 콩을 지역별로 수집하여 단백질, 지방함량 및 지방산 조성의 변이를 구명하여 국내 콩 자원의 이용성을 증진하고 고품질의 국산콩 생산기반 구축 및 특산단지 조성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자 본 시험을 수행한 결과를 하면 다음과 같다. 1 황색콩의 백립중은 24.6~36.6 g(평균 29.0g)이었고, 검정콩은 27.7~33.1g (평균 31.2 g)의 변이를 보였으나 백립중 편차의 폭이 커 국내 유통 콩의 크기가 매우 다양함을 알 수 있었다. 2. 검정콩 59종의 단백질 함량은 38.6%로서 황색콩 58종의 단백질 함량 37.9%보다 높았으나 지방함량은 황색콩이 18.1%로서 검정콩의 17.6%보다 높아 종피색에 따른 변이를 보였다. 3. 우리나라 지역별 수집콩 117종의 지방산의 수준은 linoleic > oleic > palmitic > linolenic > stearic > arachidic > myristic > benhenic acid 순으로 높았으며, linoleic acid가 53.75%, oleic acid가 22.08%로서 지방산조성의 약 75.83%에 해당되었다. 4. 불포화지방산 수준은 수집 지역간에 통계적 유의차가 있었으나 linoleic acid 및 oleic acid수준은 수집지역에 따른 변이가 통계적으로 유의차를 보이지 않아 불포화지방산의 지역간 수준 차이는 주로 linolenic acid의 변이에 기인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5. 황색콩의 linoleic, oleic, palmitic, linolenic acid의 조성은 각각 53.43%, 22.73%, 12.23% 및 8.24%였으나 검정콩은 54.13%, 21.48%, 12.47% 및 8.31%로 나타나 콩의 종피색에 따른 지방산 수준에 변이가 존재함을 알 수 있었다. 6. Oleic acid의 수준은 종피색에 따른 뚜렷한 변이를 보였으며 황색콩이 검정콩에 비하여 oleic acid의 조성비가 높게 분포되어 있었다. 7. 황색콩의 경우 백립중이 무거울수록 불포화지방산의 수준이 유의하게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r=-0.513, P<0.01), 검정콩의 경우에는 백립중이 증가됨에 따라 불포화지방산의 수준이 증가되는 경향을 보였으나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r=0.154ns).
        7.
        1998.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From the evaluation of physical properties such as springiness, gumminess, adhesiveness, chewiness and hardness by the texture analyzer, vegetable soybean lines with green seed-coat were best as compared with those with black, brown, mixed, and yellow seed-coats. A panel test evaluated on the basis of taste, sweetness, chewiness, and total scores also indicated that soybean lines with green seed-coat were the best. The total scores of panel test was decreased in the order of green > yellow> black> brown seed-coat colored soybean. The mean value of sucrose content obtained by HPLC analysis was highest in black seed-coat colored soybean, and followed by green, yellow, and brown soybeans. The highest sucrose content (8.22%) was observed in 180362, a soybean line with green seed-coat. The full-season type soybeans showed much higher sucrose content than summer types which are mainly cultivated on farmer's fields for vegetable purposes. The final 13 lines selected from 300 colored soybeans showed nearly the same panel scores as Miwongreen. However, these lines had a great deal of variation in sucrose content, and much higher readings in texture analysis than Miwongreen, especially in chewiness and hardness which were the most important properties in vegetable soybea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