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7

        1.
        202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현재 주요 수목병해 방제는 육안조사 등을 기반으로 한 현장조사를 통해 실시 되고 있으나, 목적 달성에 있어 그 효율성 높지 않다. 수목병의 예찰 방법을 고도화하고 적기방제를 통해 그 피해를 저감시키기 위해, 본 연구는 메타지놈 분석을 이용하여 두릅나무에서의 곰팡이 다양성을 조사하였다. 속(Genus) 수준에서 메타지놈 분석결과 총 20개의 곰팡이 상이 해당 재배지 내 두릅나무에 분포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 중, Alternaria속과 Puccinia속이 우점하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이는 두릅나무 재배지 내 전체에서 개체별로 일관되게 나타났으며, 특히 해당 재배지 내 두릅나무 녹병이 우점적으로 발생함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두릅나무에서의 주요 곰팡이 다양성에 대한 스크리닝과 함께 주요 또는 잠재적 수목병원균류를 대상으로 메타지놈 기법으로 확인할 수 있음을 본 연구결과를 통해 확인되었다.
        4,000원
        2.
        2020.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explores the frequency distribution of the verb seem together with its three alternating complement structures: to-infinitive, that-clause, and adjectival/nominal complements. Based on an analysis of sample data selected from COCA, we investigate the conditions that may influence the choice among these argument structures. Our analysis has shown the following results: First, of the three complement structures, the that-clause complement was rarely used, a pattern consistent with the findings of previous studies. Second, discourse pragmatic factors such as information status and topichood of the subject, and judgement/evaluative semantics of complements were shown to be involved in the selection of the argument structure. Third, the preference for simpler structures evidenced in the usage data suggests the economy principle as a possible force behind the argument selection. The preliminary findings of this study should be complemented by future research with bigger sample data.
        3.
        2013.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기능성 약용식물로 부가가치가 높은 두릅나무 선발클론을 대상으로 잎, 가시 그리고 동아의 형태적 특정을 조사하고 다변량 분석 방법을 통하여 선발클론 간 유연관계를 분석하였다. 주성분 분석 결과, 제4 주성분까지의 누적 기여율은 76%로 나타났으며, 유집분석 결과 거리 수준 2.0을 기준으로 I그룹은 강원 연곡 등 15클론, II그룹은 경기 여주 등 5클론, III그룹은 봉화와 울릉 클론, IV그룹은 용문과 보성 클론 그리고 V그룹은 신구 클론으로 총 5개 그룹으로 구분되었다.
        4.
        2005.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나무두릅이 새로운 소득작목으로 각광을 받음에 따라 이를 재배하는 농가가 증가하고 있어 나무두릅에 대한 단위 면적당 수량증대와 상품성을 높이기 위한 적정 재식거리를 구명하기 위하여 시험을 수행한 바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두릅의 수량은 매년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는데 정식 3년차까지는 밀식구에서 수량이 높았으나 4년차부터는 1m×50cm구에서 수량이 높은 결과를 얻었다. 재래종 나무두릅의 수량은 원가지 끝에 있는 정단부의 수량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데 정단 두릅 개당 무게는 평균 20~30g사이었고, 측아의 무게는 약 6~7g정도 되었으며, 측아의 상품화율은 약 50% 정도 되었다. 나무두릅에 대한 경제성을 분석한 결과 수량이 가장 높았던 1m×50cm구에서 10a당 소득이 1,229 천원으로 밀식구인 1m×30cm구보다 27%의 소득 증대 효과가 있었다. 초기 년도에는 소식구보다 밀식구에서 수량이 높았지만 두릅밭 조성시 묘목 구입비가 많이 들어 이에 대한 조성비 부문이 높았기 때문에 경영비가 많이 들어 소득이 적었다.
        5.
        1999.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오갈피나무의 묘목(苗木)을 실생(實生)으로 대량생산 체계를 확립하기 위한 일환으로 하우스를 이용한 육묘이식재배(育苗移植栽培) 시험을 수행하면서 출아율(出芽率), 활착률(活着率), 득묘율(得苗率) 및 생육특성(生育特性)을 조사하였다. 출아율(出芽率)은 하우스내 파종에서 약 90%의 수치를 보였으나 노지직파(露地直播)에서는 약 40%로 나타났으며, 이식할 때 본엽수(本葉數)에 따른 활착률(活着率)은 본엽 2~3매에서 100%이었으나 그보다 적거나 많으면 감소하였다. 그리고 이식시기에 따른 활착률(活着率)은 4월 하순부터, 5월 초순에는 100%로 나타났으나 그보다 이르거나 늦으면 감소하였다. 또한 득묘율(得苗率), 수고(樹高), 근장(根長) 및 생체중(生體重)은 노지직파재배구(露地直播栽培區)보다 육묘이식재배구(育苗移植栽培區)에서 모두 높은 수치를 보였다.
        6.
        1994.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Germination rate of encapsulated somatic embryos shelved significant differences under different concentrations of AgN03. The highest germination rate of 81.2% was found on MS medium withouthormones mixed with 10 mg/1 of AgN03. In vitro vermiculite planted with encapsulated embryostreated with 10 mg/1 of AgN03 induced 24.7% germination rate, and vermiculite planted with encap-sulated embryos treated with 40 mg/1 or 80 mg/1 of AgNO, induced no germination at all.
        7.
        1994.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조직배양에 의한 두릅나무 종묘의 대량생산을 목적으로 체세포배의 발아에 효과적인 배지 및 생장조철제의 적정조건을 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배지는 MS매지가 채세포배의 발아에 가장 효과적이었으며(65%) 그 중애서도 무기염류의 농도를 1/4로 감소하고 당농도도 1%로 줄인 MS배지에서 발아 및 기관생장인 양호하였다. 2. Gelling agent는 gelrite 0.2~0.3% 처리에서 발아가 촉진되었으며 (65~70%) shoot 및 root의 생장도 양호하였다. 3. Cytokinin은 0.1mg/l의 BA와 kinetin처리에서 발아율(65~70%)과 신초 및 뿌리 의 길이 및 건물중이 높게 나타났다. 4. Polyamine의 효과에 대한 실험결과 putrescine 1mg/l과 5mg/l, spermidine 10mg/l 처리에서 체세포배의 발아(90%) 및 기관생장이 양호하였으며 분화식물의 투명화도 억제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