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6

        1.
        2011.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사면안정해석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잣나무, 낙엽송, 소나무, 신갈나무, 오리나무를 대상으로 교목류 뿌리의 인장력 및 인장강도를 측정 분석하였다. 그 결과 인장력은 대부분 뿌리 직경의 거듭제곱의 형태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뿌리의 평균 인장강도는 잣나무 165.38kgf/cm2, 낙엽송 172.78kgf/cm2, 소나무 176.25kgf/cm2, 오리나무 214.29kgf/cm2, 신갈나무 224.19kgf/cm2로 나타났으며, 뿌리의 직경이 커질수록 인장강도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측정 분석된 인장강도를 기초자료로 토양의 전단강도 증가값을 산출한 결과 잣나무 0.099kgf/cm2, 낙엽송 0.104kgf/cm2, 소나무 0.106kgf/cm2, 오리나무 0.129kgf/cm2, 신갈나무 0.135kgf/cm2인 것으로 나타났다.
        4,000원
        2.
        201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시범적으로 빗물 자원화 시설을 설치하여 대상 단면에 대해서 그 운영과정을 가 정하여 안정해석 방안을 검토하여 그 결과를 정리하였다. 안정해석에서는 시설물이 정상적으로 운 영되는 경우와 비정상적인 상황을 가상하여 실제 지반조사 자료를 근거로 컴퓨터 모델을 이용하여 해석을 실시하였다. 해석결과 이상상황에 대한 해석결과보다는 정상상태로 운용하는 경우에 안정성 이 낮은 것으로 나타나 설계나 유지관리를 위해서는 저수조의 규격결정시 토질조사가 중요한 것으 로 판단되었다.
        4,000원
        3.
        1991.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 slope stability analysis has been done on Daesungri area by a computer program using limit equilibrium (Sarma method,1979). For this study, the authors modified the iteration technique and menu system of the algorithm which has been suggested by Hoek(1986). Sarma method is known as a suitable tool for evaluation of slope failure taking into account the kinematics of sliding blocks, and can be used for analysis of slopes of complex profiles such as circular, non-circular, planar sliding surfaces or any combination of these. The insertion of iteration technique and hydrodynamics in this method is very efficient, and gives an accurate estimate of static factor of safety. The analysis allows to specify different shear strength for each slice side and base, and therefore the submergence of any part of slopes is automatically analysed by taking the coordinates of phreatic surface. This program in combination with those stereographic technique developed by Appfied Geology Division of KIER(Korea Institute of Energy and Resources) in 1988 can be expected to give a useful result into evaluation of slope stability
        4,200원
        4.
        2014.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 cut slope mudstone formed due to construction work has usually been accompanied such as a joint and fracture zone so it especially is required to be significant care when cutting rock construction. Therefore, in this study was analyzed about engineering characteristics through case of a slope activity. In addition, two-dimensional finite element analysis with construction stages and actual measurement results were compared by each displacements. Through this, application between finite element analysis and actual field condition was investigated for stable slope design and construction.
        5.
        2012.07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최근 기후변화에 따른 집중호우의 증가 및 무분별한 유역개발에 의한 산사태 발생빈도 및 재해복구비용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본 연구에서는 2011년 7월에 발생한 서울시 우면산 지역을 대상으로 뿌리 점착력을 고려한 GIS기반의 무한사면안정모형을 이용하여 사면안정해석을 수행하였다. 무한사면안정모형의 중요 매개변수인 습윤지수의 공간분포화를 위해 비 집수면적 개념을 도입하였으며, 세가지 기법(일방향 흐름기법, 다방향 흐름기법, 무한방향 흐름기법)를 이용하여 비 집수면적을 산정하고, 각 기법에 따른 대상유역내의 격자별 사면안전율의 변화양상을 분석하였다. 또한, 기존의 무한사면안정모형을 이용한 사면안정해석에 일반적으로 적용되고 있는 공간집중형 습윤지수 결과와의 비교를 통하여 우면산 지역의 사면안정 해석의 차이점을 비교·분석하였다. 무한사면안정모형을 이용하여 산정된 사면안전율 분석결과, 거주지 주변의 절개지 부근과 산지정상부근의 급경사지에서 불안정 지역이 집중적으로 분포하고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IFD와 집중형 습윤지수에 의한 불안정지역은 유사하게 나타난 반면, SFD와 MFD에 의한 불안정지역은 앞선 두 가지 기법에 비해 작게 산정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