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논문은 대학생 독서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목적으로 작성한 것이다. 교양 교과목에서 슬로리딩 즉 천천히 읽기 방법으로 한 학기에 한 권을 완독한다는 목표를 모두가 달성하도록 하였다. 그로써 대학생 학습자의 독서에 대한 관심을 불러일으키고, 완료 형태의 독서 경험을 바탕으로 다른 독서로 옮겨 가는 바람직한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책을 천천히 자세히 읽는 활동과 동시에 짝과의 토론을 통해 이해 하지 못한 어려운 부분을 해결함으로써 미진함이 남지 않도록 주의했다. 이 독서교육은 책을 읽고 감상문 을 쓰면 특정 점수를 얻거나 마일리지를 쌓는 방식으로 결과에 초점을 둔 방식이 아닌 읽는 과정에 중점을 두고 운영하는 과정중심 독서교육 프로그램이기에 내적 동기를 유발할 수 있다는 차별점 및 특수성이 있다. 이 경험을 활용하여 대학생 독자 스스로가 자신의 독서 습관을 점검하고 이후의 독서 계획을 세울 수 있다는 것이 이점이다.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을 대상으로 슬로라이프 에 기반을 둔 식생활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한 후 실제 적용 하여 그 효과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ADDIE 교수체제개발 모형을 적용하여 분석, 설계, 개발, 실행, 평가의 과정을 거 쳐 체계적인 5차시의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경기도 남양주시 소재의 Y초등학교 교육군 130명을 대상으로 프로 그램을 적용하였으며, 같은 소재의 J초등학교의 같은 학년 100명을 대조군으로 구성하여 프로그램의 효과성 여부를 평 가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을 대상으로 올바른 식생활의 주 체적인 실천을 도모하기 위하여 슬로라이프에 기반을 둔 식생활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프로그램은 아동 개인의 건강한 음식에 대한 인식 및 건강한 식생활 실천, 가정에서 의 가족식사를 통해 배려하고 감사하는 식생활 실천, 지역사 회의 농업의 중요성을 깨닫고 환경을 사랑하는 식생활 실천, 전통문화의 우수성을 깨닫고 전통음식을 즐기는 식생활의 실 천을 목표로 그 내용을 구성하였다. 또한 초등학교 아동의 특성을 반영하여 이야기하기 활동, 시각적 자료 등을 이용한 이론 학습 활동, 식재료를 이용한 감각체험 활동, 조리·조 형 활동 등 체험활동 위주의 교육 방법을 활용하였다. 연구 에서 개발된 슬로라이프 교육 프로그램의 실제 활용 가능성여부 파악을 위해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을 대상으로 프로그 램을 적용하였다. 2)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판정을 위하여 확장된 계획행동 이론(TPB)의 변수를 이용하여 교육군과 대조군의 교육 전· 후 차이를 비교하였다. 교육 전, 동질성 검증을 통해 지식 변수를 제외한 나머지 변수에 있어서 두 그룹은 유의적으로 다 르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교육 후 교육군은 모든 계 획행동이론(TPB) 변수에 있어서 유의적 변화(p< .01)가 나타난 반면, 대조군은 지식 및 행동 의도에 있어서만 약간의 유의적 차이(p< .05)가 나타나 교육에 의한 효과를 증명할 수 있었다. 3) 확장된 계획행동이론(TPB) 모형의 적합도 검정을 통해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슬로라이프 식생활 실천 행동에 미 치는 요인을 분석하고 행동 변화를 예측한 결과, 태도와 지 각된 행동통제, 행동 중요도 변수는 행동 의도의 선행 요인 이 되고, 지각된 행동통제와 행동 중요도, 행동 의도는 행동 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나 지식과 주관적 규범이 행동 의도의 독립 변수가 되지 못하 는 것으로 나타났다. 식생활교육의 목적이 지식 향상과 더불 어 바람직한 식습관을 형성하는 것임을 고려하였을 때 5주 간의 교육은 아동의 식생활 습관 전반에 걸쳐 행동의 변화 를 유도하기에는 짧은 기간으로 생각되어 연구의 한계를 나타낸다. 연구에서 보인 확장된 계획행동이론(TPB)의 행동 변 수의 변화는 일시적일 수 있다는 점에 근거하여 긍정적인 효과의 지속 여부를 명확히 밝히기 위해 추후 반복적인 교육 과 유사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교육의 효과성 검증을 위해 확장된 개념의 계획행동이론 (TPB)을 적용하였으나 교육 내용과의 일치 및 변수에의 적용 등을 고려하여 검증되지 못한 측정도구를 사용한 데에 있어서 연구의 한계를 나타냈다. 추후 개발되는 식생활교육 프 로그램의 효과성을 판단하기 위한 다양한 접근법 및 이론을 적용한 측정도구의 개발이 요구된다. 연구에서 개발된 슬로라이프 식생활교육 프로그램이 초등 학교 고학년 아동의 식생활의 변화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 났으므로, 향후 초등학생 대상의 바람직한 식생활 함양을 위한 교육에 활용 가능한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학습자의 특성과 지역의 특색을 고려한 다양한 맞춤형 식생활교육 프로그램의 활발한 개발과 적용을 통하여 아동의 발달과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하기를 기대한다.
In order to improve the cryopreservation by vitrification or slow freezing of nuclear transplant rabbit embryos, the effects of factors affecting embryo cryopreservation such as cryoprotectants, equilibration, cooling rate and post-thaw dilution on post-thaw survial and development were determined using intact embryos of morular stage. And the post-thaw development of nuclear transplanted embryos cryopreserved under the optimal conditions examined was compared between vitrification and slow freezing. The cryoprotectant solution used was ethyleneglycol-ficoll-sucrose (EFS) or ethyleneglycol-poly-vinylpyrrolidone-galactose- I (EPG- I ) for vitrification, and EPG- II for slow freezing. To examine the viability of frozen-thawed embryos, the nuclear transplanted embryos were co-cultured in TCM-199 plus 10% FBS with bovine oviduct epithelial cells(BOEC) for 24 hrs and the intact morulae were co-cultured with BOEC for 5 days and 3 days to hatching blastocyst stage in 39 ˚C 5% incubator.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Following vitrification with EFS, the post-thaw development of rabbit morulae to hatching blastocyst was significantly(P<0.05) higher in compacted stage(82.4%) than in early morular stage(60.0%). The post-thaw development of compacted morulae to hatching blastocyst was similarly high in vitrification with EFS(82.4%), EPG- I (85.0%) and in slow freezing with EPG- II (83.3%). Following vitrification with EPG- I, the post-thaw development of intact rabbit morulae to hatching blastocyst was similar as 78.0% and 85.0% in 1-step and 2-step post-thaw dilution, respectively. The post-thaw development of nuclear transplanted rabbit embryos of compacted morulae stage to hatching blastocyst was similarly 43.6% and 40.0% in vitrification with EPG- Iand slow freezing with EPG- II, respectively.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the rabbit nuclear transplant and intact embryos of morulae stage could be well cryopreserved with either vitrification or slow freezing procedure.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vitrification and slow freezing methods on the post-thaw developmental rate of rabbit zygotes. After exposing rabbit zygotes in EFS solution for 0.5, 1, 2, 3 and S min at room temperature, they were washed with 0.5 M sucrose solution, D-PBS and TCM-199 and then cultured in TCM-199 plus 10% FBS with bovine oviduct epithelial cells(BOEC) to examine whether the cryoprotectant induced injury during the various exposure periods. The embryo development rates to hatched blastocyst after exposing in EFS solution for 3 and 5 min(40.0 and 16.7%)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in 0.5, 1 and 2 min(63.0, 72.0 and 54.5%), respectively. The post-thaw development rates to hatched blastocyst were significantly(P<0.05) higher in in vivo morula with intact mucin coat(85.2%) and mucin seperated morula(77.8%) than those of in vitro morula(58.5%) and zygote(5.9%), hut no difference was shown between in vitro morulae and mucin separated morula. The cryoprotectant dilution procedures showed no effects on the post-thaw development rates to hatched blastocyst under the present culture conditions. The post-thaw development to hatched blastocyst in the rabbit zygotes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slow freezing(12.8%) and vitrification(5.9%).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the rabbit frozen zygotes could he successfully developed in vitro to hatched blastocysts, though their developmental rate was very low, compared with morula stage embryos, in either vitrification or slow freezing procedure under the present condi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