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2

        1.
        202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고는 『헨리 6세』 2부와 3부가 가부장제의 이념을 바탕으로 남녀 간의 뚜렷한 역할 구분에 기초하고 있다고 보고 전통적인 성 역할에 따르지 않는 마가렛과 같은 여성의 양상을 살핀다. 주로 마가렛의 용맹성, 전투력과 성적 매력과 방종이 주변 남성 인물의 가부장적인 가치에 대립되는 모습을 추적한다. 마가렛과 일리노어 등이 권력을 추구하는 과정에서 남성들, 특히 영국 남성을 대표하는 기사도적 영웅들과 대항하는 양상을 보이는데 이 여성 전사들이 대표하는 가치가 어떻게 남성들의 이상적 영웅주의나 부자간의 혈연 중심 관계에 대립하는지도 살핀다. 일부 남성 인물들이 감정에 치중하는 연인의 모습을 보이며 남성간의 유대를 약화시키는 결과에 이르는 아이러니한 상황 또한 살펴본다. 남성들이 이들 여성과 관련하여 남성성을 잃게 되는 과정을 분석함으로써 『헨리 6세』 2부와 3부에 담긴 가부장제의 양상과 여성 전사의 전복적 힘을 충실히 고찰하고자 한다.
        4,600원
        2.
        2023.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물질주의는 다양한 사회적 사건에 의해서 촉발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물질주의를 정체성과 관련된 목표 달성 이라고 개념화하는 이론을 기반으로 사회적 배제가 자기 정체성과 관련된 욕구를 불러일으키며 이는 물질주의 수준 의 상승으로 이어질 것이라고 가정하였다. 구체적으로, 사회적 배제가 소속의 욕구와 통제의 욕구를 상승시켜 물질 주의를 상승시킬 것이라고 예상하였다. 또, 권력감의 접근 경향성을 기반으로 권력감이 높은 사람은 낮은 사람에 비해서 사회적 배제를 경험할 때 소속의 욕구와 통제의 욕구가 더 커질 것으로 예상하였다. 20 ̴30대 한국 여성 202 명을 대상으로 실험 연구를 진행한 결과, 사회적 배제는 통제 욕구의 상승을 통해서 물질주의를 상승시켰다. 또, 권 력감이 높은 사람의 경우, 권력감이 낮은 사람들보다 사회적 배제가 통제 욕구에 미치는 영향이 더 강해졌으며, 사회 적 배제가 통제 욕구를 통해 물질주의로 이어지는 경로는 권력이 높은 사람들에게만 유의했다. 사회적 배제는 소속 의 욕구를 상승시켰으나 소속의 욕구와 물질주의의 관계는 유의하지 않았고, 소속의 욕구의 매개 효과도 지지되지 않았다. 해당 결과를 기반으로 사회적 배제와 물질주의의 관계 및 연구의 한계에 대해 논의하였다.
        4,900원
        3.
        2023.07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Some well-known luxury fashion brands log off social media or deliberately keep their accounts empty. The article investigates how consumers of high-end fashion brands react to this social media strategy through a series of experiments. This study provides managerial implications for social media strategy of luxury fashion brands.
        4,000원
        4.
        2023.07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impact of firms' marketing communication on word of mouth (WOM) has been studied extensively in recent years, with a growing focus on electronic word of mouth (eWOM). The advent of the internet and the participatory web or Web 2.0 has dramatically changed the relationship between marketers and consumers, with consumers playing a more active role. However, there is a gap in understanding this area, including a lack of research on identifying specific groups of consumers that companies should focus on for eWOM marketing. Eye-tracking techniques have been suggested to address this issue, but these methods can be costly and rely on lab-based observations. Analyzing unstructured data from consumer-to-consumer interactions on social media is an underutilized approach in current marketing literature. The authenticity of eWOM is a highly valuable trait, but there can be a tension between commercial and communal norms, even in relatively informal settings like a blogger endorsing a product.
        6.
        202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권력과 지위는 사회계층을 구분하는 핵심 요소들로 사회적 상호작용에 강한 영향을 미친다. 이 둘은 사회적 영향 력의 기반이 된다는 공통점을 가지지만, 서로 다른 원천에 의해 발생한다는 차이점을 보인다(Fragale et al., 2011). 권력은 주로 능력이나 법적, 제도적 정당성에 근거하지만 지위는 타인의 자발적인 지지에 근거한다. 따라서 권력자 는 자기중심적으로 행위하지만, 지위를 가진 사람은 관계중심적으로 행동하는 경향이 있다(Hasty & Maner, 2020). 사람들 또한 이러한 차이를 인식하여 권력과 지위에 따른 사람들의 행동에 대해 고정관념 혹은 기대를 가진다 (Magee, 2009). 본 연구는 권력 혹은 지위의 중요한 사회적 영향인 사회적 배제 행위에 대한 판단이 행위자의 권력과 지위에 따라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검증했다. 이를 위해 행위자의 권력, 지위, 익명성을 조작한 사회적 배제 시나리오 를 구성하여 참가자들에게 행위자의 고통과 행위 공정성을 평정하도록 요청했다. 그 결과 참가자들은 권력과 지위에 따라 행위자의 공정성과 고통이 달라질 것이라고 응답했으며(실험 1), 이는 앞서 언급한 고정관념과 일치하는 패턴을 보였다. 특히 권력이 낮을 때와 지위가 높을 때 익명성에 따른 효과가 유의미하게 달라졌으며(실험 2A, 2B) 이는 권력보다는 지위가 타인의 자발적인 지지에 근거한다는 주장에 대한 경험적인 증거를 제공한다.
        4,600원
        7.
        2018.07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Hospitality and tourism industries have recognized that engaging with customers via social media is now a critical element of their marketing strategy. Given the high variability of success with which firms have been attracting customer interest online, businesses are clearly struggling to determine exactly the right methods to use the newest technologies. This study presents a predictive model of attributes for online posts that evoke a high level of customer engagement. The contribution to the literature is a unique set of features that have significant impact on customer engagement, using a big-data set to support findings. In accordance with theories originating from Social Belongingness and Brand Community Marketing, findings indicate that appeals to a sense of community belonging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customer engagement in social media. Specifically, communities have idiomatic vocabularies consisting of “activation words” that are especially effective for engaging customers on social media. This has both theoretical implications in that it constitutes a large-scale, real-world confirmation of belongingness hypotheses, and managerial implications in that it suggests best practices for maintaining an online presence.
        8.
        2018.07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is study seeks to examine the effects of customer’s power motivation in the social media context, driven primarily by to extend the theory of how powerlessness induces compensatory consumption (Rucker and Galinsky, 2008). Power motivation refers to a chronic desire to strive and retain power (Maner, Gailliot, Butz, & Peruche, 2007). Given that positions of power are often associated with enjoyment of social and material rewards, naturally some individuals strive to achieve and retain positions of power as a satisfying goal in itself (Cassidy and Lynn, 1989). These ‘power-strivers’ are motivated to achieve status and superiority, and prone towards negative emotional states when confronted with situations that induce a state of powerlessness. The sense of inferiority have been shown to lead to greater desire for status-enhancing goods, such as luxury items with more prominently displayed brand names to restore their sense of wellbeing (Rucker and Galinsky, 2009). In the context of social media, research suggests that longterm exposure to upward social comparisons on social media resulted in lower levels of self-esteem (Vogel, Rose, Roberts, & Eckles, 2014). We argue that observing other people’s ‘highlight reel’ on social media may also negatively influence the consumers’ sense of power. Thus, these type of consumers are likely to be more receptive towards communications that advertise status-enhancing goods. However, this effect should be particularly pronounced in consumers who have high power motivation in the first place. Subsequently, our first proposition is that when exposed to negative social comparisons, power motivation would moderate the consumers’ sense of inferiority and lead to more positive attitude towards advertisements of luxury goods. Our second proposition points to mindfulness as a palliative to mitigate this sense of inferiority, since exercising mindfulness enables better self-regulation that contributes to behaviors and decisions that positive contribute towards one’s wellbeing (Brown and Ryan, 2003). Two experimental studies confirm our hypotheses that when exposed to upward social comparisons on social media, power-strivers exhibit more positive attitude towards advertisements of luxury goods, mediated by a sense of inferiority. In the second study we found that implicitly inducing mindfulness mitigates the effects of power motivation. This paper thus enriches the understanding of the role of consumers’ sense of power in the context of social media. Furthermore, we offer a balanced view that (1) unpacks how marketers could exploit social media features to induce desire for luxury goods but also (2) suggests ethical solutions that contributes to positive psychology literature in the context of social media usage.
        9.
        2018.07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Do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CSR) activities really influence firm value, and if so, what is the mechanism that is at work? In this study, we especially focused on publicizing CSR (PCSR) and tried to examine the effect of PCSR on firm value. We merged the data from different archival sources and obtained balanced panel data consisting of 385 firmyear observation across 77 firms for 5 years. The data contained several variables such as Publicizing CSR, WOM, Tobin's q, Advertising intensity, Contribution to sales ratio, ROE, Sales increase, Asset, GDP, and other financial indicators. This study provides several implications for marketing theory and practice. First, it simultaneously reveals the preceding and following factors of word of mouth. Second, our evidence suggests that marketing managers could obtain benefits if they concentrate not only on finding good CSR activities but also on publicizing them well, and that PCSR could be a great help for companies that want to improve the public awareness and interes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publicizing CSR (PCSR) and firm value, and the mechanism by which the influence is conveyed. Our findings are as below. First, the higher the PCSR, the greater the firm value even though the ratio of contribution to sales is added. Because the contribution is known as a representative proxy for corporate socially responsible investment, this result implies that PCSR is significant even though the effect of CSR itself is controlled. Second, WOM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PCSR and firm value. This suggests that publicizing CSR could attract people's attention and then contribute positively to firm value. Finally, this study found that the effects of PCSR on firm value are mediated through positive WOM in the context of controlling negative WOM. This result implies that PCSR increases the amount of positive WOM, rather than negative WOM, which helps improve corporate value.
        10.
        2016.07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research aims to look at the contradictory effects of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s conducted by luxury brands. On the one hand,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CSR) is known to product positive effects on brands such as the transfer of goodwill and image but on the other hand because of the purported impact of disfluency, previous research has argued that the emphasis on self enhancement runs counter to the more social agenda of CSR. In this study we examine of power and how that can mediate when positive and negative impact of CSR when such campaigns are implemented by luxury brands.
        3,000원
        11.
        2011.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동시대 사회적 변혁에 있어서 디지털 미디어의 역할에 대한 도구적 관점은 정치 적으로 조망되고 있다. 방송미디어의 가치는 평가 절상되었고 시민들이 사적으로 소통하는 미디어는 가치 평가 절하되었다. 그러나 중동사태, 영국폭동, 일본 쓰나미 와 후쿠시마 원전 폭발사전, 한국에서의 시장선거(2011)에서처럼, 소셜미디어는 기 득권 미디어의 대안으로서의 역할을 분명히 하고 있으며 의제설정의 힘을 획득하 고 있다. 본 연구는 소셜 미디어가 사람들로 하여금 인식을 공유케 하는 역할을 점 검하고 보수적인 권력이 소셜 미디어와 네트워킹 현상에 대해 대처하는 방식을 검 토하고 있다. 또한 본 연구는 소셜 미디어가 사회적 합리성을 증진시키는 도구로서 의 역할을 수행함에도 불구하고 소수의 엘리트에 의해 과점적으로 지배되어 권력 의 면역시스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는 점에 우려를 표명하고 있다.
        4,600원
        12.
        2012.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최근 들어 빅데이터(Big Data)가 경제, 사회적으로 주목을 받고 있다. 지난 10여 년간 IT 기술의 발전, 인터넷의 대중화, 데이터 분석 기술의 발전이 눈에 띄게 이루어져 엄청난 데이터가 생성되었다. 특히 스마트 폰을 비롯한 모바일 기기가 광범위하게 보급되고 소셜 미디어 (Social Media)의 사용이 급속도로 늘면서 개인정보부터 정치, 환경에 이르기까지 폭넓은 데이터의 수집이 가능해졌다. 과거에는 특정 용량 이상이나 기존 데이터베이스로 처리가 불가능한 규모의 데이터를 칭했고, 대용량 데이터를 다루는 일부 소수 전문가나 기업의 기술적 이슈에 불과했으나, 이제는 경제, 경영, 사회의 각 영역에서 필수 자산으로 인식되고 있다. 특히 빅데이터가 가진 잠재가치는 다양한 산업의 글로벌 기업들이 경쟁우위를 확보하고자 앞 다투어 투자를 할 정도로 크며 사회 문화적 파급효과의 측면에서도 중요한 주제가 되고 있다. 본 연구는 빅데이터가 가질 수 있는 핵심적인 맥락을 살펴보고, 그에 기초하여 빅데이터가 내포하는 여러 다양한 가능성과 함의들을 짚어보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