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8

        8.
        201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황색점착트랩의 설치각도에 따른 해충의 유인특성을 구명하고자 실시하였다. 고설재배 딸기농장에서 황색점착트랩을 수직(단 면), 수평 앞면 및 뒷면, 45도 앞면 및 뒷면 등 5개 각도처리로 설치하고 유인된 해충수를 조사하였다. 총채벌레류(꽃노랑총채벌레 우점)와 뿌리파 리류(작은뿌리파리 우점)의 경우 45도 윗면, 수직, 수평 윗면은 45도 뒷면이나 수평 뒷면보다 많은 수가 유인되었다. 매미충류(괴테애매미충)는 수직 또는 45도 위면 트랩에서 통계적으로 많은 수가 유살되었고 전체적으로 45도 뒷면, 수평 윗면이나 뒷면은 적은 수가 유살되었다. 진딧물류 (목화진딧물 우점)와 가루이류(딸기가루이 우점)는 발생밀도가 낮은 관계로 뚜렷한 경향이 나타나지 않았다.
        4,000원
        9.
        2019.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점착트랩은 특정 광파장에 유인되는 곤충의 반응을 이용하여 비행 곤충의 유살 및 모니터링에 널리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유색 점착트랩은 해당 색상에 반응을 보이는 모든 곤충을 유인하기 때문에 비표적곤충(Non target insect)이 부착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비표적곤충은 부착면을 차지하여 표적곤충의 유인을 방해하며, 해충밀도 모니터링에 필요한 노력과 시간 소요를 증대시킨다. 본 연구에서는 비표적 곤충과 이물질의 부착을 물리적으로 방지하기 위하여 내경 5mm, 10mm의 방지망을 설치하였을 때, 각 처리에 따른 유입 곤충의 종다양성 지수를 분석하여 방지망의 현장 적용 가능성을 검정하였다. 그 결과 망을 처리하지 않은 트랩과 5mm, 10mm 방지망을 설치한 트랩 간 종다양성 지수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포획된 총 종의 수는 망을 처리하지 않은 트랩에서 높게 나타났는데 이는 대형 비표적 곤충의 포획수가 높은 것이 주 요인이었다. 표적 해충인 총채벌레, 가루이 등 미소해충의 유입 빈도 또한 무처리, 5mm, 10mm 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아 방지망의 설치가 표적곤충인 미소해충의 유입에 악영향이 없으며, 5mm 망을 적용하여도 무방하다는 결과를 얻었다.
        10.
        201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이동성 해충인 벼 멸구류를 조사하기 위해 우리나라를 포함한 아시아지역 12개국 13기관에서 농촌진흥청 아시아식량작물협력협의체(AFACI)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아시아지역 이동성 병해충 국제협력 네트워크 구축”프로젝트를 수행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벼 멸구류 및 거미류 의 포장 발생 실태를 파악하기 위해 2016년부터 2018년까지 경남 밀양, 전남 신안, 전북 완주지역의 무농약 논포장에서 6월말부터 9월말까지 점착트랩을 이용한 타락법으로 멸구류 발생 상황을 조사하였다. 2018년도에 애멸구는 7월 중순 이후에 밀도가 높아졌고, 흰등멸구는 신안지역에서 8월 이후에 밀도가 증가하기 시작하였다. 벼멸구는 모두 지역에서 발견되지 않았다. 거미류는 모든 지역에서 후반기로 갈수록 개체수가 증가하고, 9월 초순에 가장 많이 발생하였다.
        11.
        201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황색점착트랩의 설치각도에 따른 고설재배 딸기해충의 유인 특성을 구명하기 위해 수직, 수평 앞면 및 뒷면, 45도 앞면 및 뒷면 등으로 달리 설치하고 유인된 해충수를 조사하였다. 모든 트랩은 딸기 포기 정상부로부터 30cm 높이에 트랩의 중심이 오도록 설치하였다. 총채벌레류의 경우 45도 윗면, 수직, 수평 윗면은 45도 뒷면이나 수평 뒷면보다 많은 수가 유인되었다. 또한 트랩내 공간위치에 따라 유인수가 달랐는데, 수직트랩에서는 주로 상단부와 좌우 가장자리에 많은 수가 유살되는 경향이었다. 다른 각도의 트랩은 위치에 따른 경향성이 없었다. 뿌리파리류는 수직, 45도 위면, 수평 윗면 순으로 많은 유인수를 보였으며, 45도 뒷면과 수평 뒷면보다 유인수가 높았다. 수직과 45도 윗면 트랩에서는 좌우 가장자리에 많은 유살수를 보였다. 매미충류는 수직 또는 45도 위면 트랩에서 통계적으로 많은 수가 유살되었고 전체적으로 45도 뒷면, 수평 윗면이나 뒷면은 적은 수가 유살되었다. 수직과 45도 윗면, 수평 윗면 트랩에서 중앙자리를 중심으로 높은 유살수가 나타났다. 진딧물과 가루이류는 발생밀도가 낮은 관계로 뚜렷한 경향이 나타나지 않았다.
        12.
        2018.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솔껍질깍지벌레(Matsucoccus thunbergianae)는 우리나라 곰솔(Pinus thunbergiane)림의 주요 해충중의 하나이다. 솔껍질깍지벌레는 단목 (丹木)마다 밀도에 차이가 있고, 수관 내 가지별로도 밀도차이가 있어 예찰이 어렵다. 따라서 본 연구는 황색 끈끈이트랩을 이용하여 솔껍질깍지 벌레의 분포나 발생을 예찰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곰솔림에서 끈끈이 트랩에 유인된 솔껍질깍지벌레 수컷 성충의 밀도와 가지 내 약충의 밀도는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끈끈이트랩에 유인된 솔껍질깍지벌레 수컷성충의 밀도는 곰솔의 상층부가 하층부보다 높았으나 통계적 차이는 없었다. 곰솔 가지의 단위면적당 솔껍질깍지벌레 밀도는 흉고직경이 클수록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으며 1~2.5 cm 사이의 굵기 내에서는 통계적 차이가 없었다. 곰솔 가지의 방향이 지면을 향하는 쪽이 반대 방향을 향하는 쪽에 비하여 솔껍질깍지벌레의 밀도가 높았다. 솔껍 질깍지벌레의 예찰에 끈끈이 트랩의 사용을 제안하며, 가지에서의 밀도는 2~2.5 cm 굵기의 가지를 선택하여 지면쪽의 밀도 조사를 추천한다.
        4,000원
        13.
        2018.07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시설 토마토 온실에서 다양한 발광 램프가 장착된 트랩을 가지고 온실가루이의 유인 효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설치된 램프의 종류는 청색, 황색 그리고 흰색 발광 램프가 장착된 트랩을 이용하였다. 실험 결과 청색 발광 램프가 설치된 트랩에서 110마리로 가장 많은 온실가루이 성충이 유인되었고 황색램프 트랩과 흰색램프 트랩에서는 각각 71마리와 45마리가 포획 되었다. 이때 청색 발광램프 트랩의 파장대역은 330nm에서 430nm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황색광과 흰색광 발광램프 트랩에서도 청색광 램프의 파장대역을 가지고는 있었으나 한편으로 온실가루이가 회피하는 파장대역 또한 동시에 포함하고 있었다. 이 결과 이들 두 개의 트랩에서 보다 청색광 발광트랩이 유인 포획률이 높아 시설 토마토 온실에서 온실가루이의 방제와 예찰에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4,000원
        14.
        2018.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시설재배 딸기에서 작은뿌리파리의 친환경 방제법 개발을 위하여 2년간 수행하였다. 피복재로 배지를 피복하고, 고리형 점착트랩을 설치하면 효과적이었다. 피복재 종류별 작은뿌리파리 발생정도는 무피복에서 트랩 당 67.1마리로 가장 많았고, 흑백필름 등 나머지 피복재에서는 2~5마리로 낮은 밀도를 유지하였다. 피복재 종류별 딸기 생육특성에서 초장, 엽장, 엽폭은 처리간에 비슷한 경향이었으나, 화방수는 무피복에서 9.7개로 가장 적었고, 수량은 적색필름과 흑백필름 피복이 무피복에 비해 14.6~9.2% 증수하였다. 하절기 피복재 종류별 근권 온도는 흑백필름과 적색필름이 주야간 편차가 적고 안정적이었으며, 동절기에도 적색필름은 다른 피복재보다 근권 온도가 높고 안정적이었다. 점착트랩 색상별 작은뿌리파리 유살정도는 큰 차이가 없었고, 트랩 형태별에서는 고리형이 원반형보다 다소 많았고, 설치 노력이 57.1% 절감되었다.
        15.
        2017.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attraction of the tomato whiteflies Trialeurodes vaporariorum, to four type of traps combined with a colored stickyboard and an light emitting lamp was investigated in 2016 in an tomato greenhouse. The colors of the sticky boardswere yellow and the peak wavelengths of the light emitting traps were 470nm(blue), 590nm(yellow) and 450~625nm(white).The type of traps was designed to directly illuminate the plants with an light emitting lamp and set along the lowerpart of the crops whose each sticky board was directed to the plants. This experiments showed that T. vaporariorumadults on average preferred (p>0.05) traps in blue lights(110±3.2adults/trap) compared to traps in yellow lights (71±1.4adults/trap)and white light traps(45±1.1adults/trap). The blue light trap(470nm) showed the most attractive to T. vaporariorum adults,followed by a similarly attraction to the yellow light trap(590nm), whereas the control (no light trap) was little attractiveto T. vaporariorum adults.
        16.
        2015.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Insect pests on cruciferous crops and their natural enemies were surveyed during 2009~2011 in Daegwallyeong highland region which has been famous for summer Kimchi cabbage production in Korea since 1970s. Totally 15 insect pests have been reported in cabbage field in Daegwallyeong. Diamondback moth (DBM, Plutella xylostella) imported cabbage worm (Artogeia rapae L.), cabbage armyworm (CAW, Mamestra brassicae L.), cabbage looper (CL, Trichoplusia ni), cabbage sawfly (Athalia rosae ruficornis Jakovlev), and turnip aphid (Liphapis pseudobrassicae (Davis)) were the dominant pest species among the 15 species. For monitoring as well as controlling insects with weak flight, yellow sticky cards (10×15㎝) were used in cabbage fields. The sticky cards were hanged on plastic stick and placed at a 2-5 m distance within cabbage field (1,000㎡). Sex pheromone traps were employed for monitoring and controlling insects with strong flight. The survey result showed that there was significantly reduced pest occurrences in treated, compared to untreated condition. Similarly, The results from the sex pheromone traps were coincident with those of sticky trap. DBM, CAW and CL were found less in the treated than untreated fields; by 67.5%, 70.6% and 44.0%, respectively. Although the control efficacy of such traps was less than that of chemical spray, the use of sticky card trap combined with sex pheromone trap could be useful management tools for controlling insect pests in cabbage fields.
        18.
        2017.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develop control method for Bemisia tabaci (Gennadius) on eggplant using sticky trap method. According to the color of the sticky traps, the attractiveness of the B. tabaci was the highest in the yellow trap, followed by the green and orange. However, white, blue, red, black and green sticky traps have reduced attractiveness of B. tabaci. In order to improve the efficiency and attractiveness of sticky trap to the B. tabaci, the different kinds of sugars such as glucose, fructose, oligosaccharide, starch syrup and pure sugar were added to sticky traps respectively. However, the effect of B. tabaci attractiveness was low in starch syrup, pure sugar, and non-treated sticky traps. The attracting effect of B. tabaci was depending on the location of sticky trap. The highest value was obtained where sticky traps were located in the top of the eggplant, followed by 30 cm above from the top level. In addition, we were installed up to 40 sticky traps to determine the optimal amount of sticky traps to control B. tabaci in eggplant. When increasing the sticky traps, the number of adult and nymphs of B. tabaci were tended to be decreased significantly. This tendency was more effective in the latter stages than in the early stages. As the number of sticky traps increased, not only the growth rate of eggplant, leaf length, and stem diameter were to be better. But also number of fruits and product marketable value were increased at the early stage of growing as well. The study had proven that the sticky traps had an effect on increasing the yield at the early stage of growth, but the efficiency of controlling decreased due to the high density of B. tabaci of the next generation.